2025.05.19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르포] 건설업계 1위 삼성 vs 맏형 현대 격돌…‘한남4구역’ 가보니①

조합원 100% 한강 조망 실현 논란 불식

 

(조세금융신문=이정욱 기자) 건설업계 1위 삼성물산과 맏형 격인 현대건설이 서울 용산 ‘한남4구역’ 재개발 수주전을 놓고 맞대결을 펼치고 있다. 양 측은 아파트 외관 디자인부터 고급화, 차별화를 내걸며 표심 확보에 나섰다.

 

최근에는 공사비 인하와 금융비용 절감, 책임 준공 등 조합원 이익 극대화를 위해 파격적인 조건을 앞다퉈 제안하고 있다. 이 가운데 부의 상징이자 최고의 자산인 ‘한강 조망권’ 전략은 서로 상반됐다.

 

노른자땅인만큼 시공사 경쟁은 치열하다. 업계 1,2위의 다툼이라 한쪽이 패배하면 비용과 이미지 측면에서 큰 타격을 입기 때문에 이 두 건설사 모두 사활을 내걸었다. 시공사 선정 결과는 내년 1월 18일에 나올 예정이다.

 

업계 빅2가 맞붙는 한남4구역 현장을 기자가 직접 다녀와 봤다.

 

◇중심지 중 중심 한남4

지하철 6호선 이태원역 4번 출구를 나와 살짝 완만한 내리막길을 따라 쭉 걸었다. 걷는 길목엔 이태원 엔틱 가구거리가 있어 눈이 심심할 틈이 없었다. 10분 정도 걷다보니 한국폴리텍1대학 정수 캠퍼스에 도착했는데 여기부터가 한남4구역 시작점이었다.

 

한남4구역은 서울 용산구 보광동 360번지 일대 부지로 총 16만258㎡ 면적에 들어선다. 용적률 226.98%, 건폐율 30.89%를 적용받아 지하7층~지상 22층 2331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한남뉴타운에서도 가장 중심도로인 보광로를 끼고 있는 한남4구역은 중심에 중심지다. 공사비만도 1조6000억원에 달해 사업성과 업계 이미지 등 모두 잡을 수 있어 건설사 입장에선 더욱 탐날 수밖에 없는 지역이다.

 

한남4구역은 구역 전체가 보광동에 소속돼 있다. 한남뉴타운에서 최 중심도로인 보광로를 끼고 있어 사업성도 아주 뛰어난 편이다. 맞은편엔 197개 동, 6190가구(임대아파트 876가구 포함) 규모로 들어서는 한남3구역이 있었다.

 

이 지역은 지리적 특성이 뛰어나 한강 조망권 확보에 따라 미래가치가 달라질 수 있어 조합원들의 관심이 매우 높아 보인다.

 

◇한강 조망권 확보, 삼성물산 압승 하지만?

우선 대안설계(안) 상 조망 확보는 삼성물산이 압도적이다. 삼성물산이 현대건설보다 약 2배 가량 많은 조망권 제안서를 들고 나왔다.

 

삼성물산이 제안한 한강 조망 가능한 세대 수는 1652가구로 해당 구역 조합원(1166명) 100% 한강 조망을 누릴 수 있는 제안서를 들고 나왔다.

 

하지만 일각에선 ‘조합원 100% 한강 조망’이란 조건을 두고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논란이 제기된 바 있다. 현장을 둘러보니 한남4구역과 한강을 가로막는 오산중·고등학교가 고지대에 위치해 있고 4구역과 인접해 있는 3‧5구역의 건축 계획안이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는 점이 논란이 돼 보였다.

 

 

한강을 정면으로 바라보고 있는 오산중·고등학교를 직접 올라봤다. 오산중·고는 한국에서 교실 ‘창문 뷰’가 아름답기로 소문난 서울의 학교로 한강이 내려다보이는 높은 언덕에 위치해 있었다.

 

해당 학교의 높이를 조금 더 체감하기 위해 학교와 인접해 있는 리버빌 아파트에서 오산중‧고를 올려봤다. 오산중‧고의 높이는 대략 아파트 5~6층 높이쯤 돼 보였다.

 

 

이와 관련해 삼성물산 관계자는 “고지대로 인해 조망 간섭 구역은 지대를 20m 가량 높여 조망을 확보할 계획이다”면서 “간섭되는 곳 없이 아파트를 지어 조합원들의 부의 상징인 한강 조망을 모두가 누릴 수 있게 약속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조합원들의 이익 극대화를 위해 꽤 오랫동안 준비한 끝에 얻어낸 결과다”면서 “지금도 조합원과 약속을 위해 끊임없이 시뮬레이션을 돌리고 있다”고 덧붙였다.

 

반면 현대건설은 단순 한강조망 대신 '프리미엄조망(한강‧남산‧용산공원)'이라는 전략을 펼쳤다. 또 한남3구역을 수주한 만큼 일대를 타운으로 조성하겠다는 복안이다.

 

한강을 조망할 수 있는 가구 수는 849세대로 경쟁사와 차이는 있지만 이를 실현하기 위해 AI(인공지능)기술을 활용한 점이 포인트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젊기도 설워라커늘 짐을 조차 지라고 해서야
(조세금융신문=손영남 편집국 부국장) 식당이나 술집 계산대 앞에서 옥신각신하는 모습은 우리에겐 일상과도 같다. 서로 내겠다며 다툼 아닌 다툼을 벌이는 모습이야말로 그간의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모습이었달까. 주머니의 가벼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그런 대범함(?)은 그만큼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깔려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앞으론 그런 훈훈한 광경을 보지 못하게 될 확률이 높다. 요즘의 젊은 친구들, 그러니까 소위 MZ세대라고 불리는 층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가 먹지도 않은 것까지 계산해야 한다는 걸 받아들일 수 없는 이들이 MZ세대다. 누구보다 실리에 민감한 세대인 탓이다. 그들을 비난할 의도는 전혀 없다. 오히려 그게 더 합리적인 일인 까닭이다. 자기가 먹은 건 자기가 낸다는 데 누가 뭐랄까. 근데 그게 아니라면 어떨까. 바꿔 생각해보자. 다른 사람이 먹은 것까지 자기가 내야 한다면 그 상황을 쉬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더구나 그게 자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작금의 연금 개혁안을 두고 MZ세대들이 불만을 토하고 있는 현 상황이 딱 그 꼴이다. 어렵게 번 돈을 노후를 위해 미리 쟁여둔다는 것이 연금의 기본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