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성그룹이 국립생태원 등과 협업해 멸종위기 곤충 인공증식을 통해 생태계 복원을 실시한다. [사진출처=효성그룹]](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250417/art_17452970643423_b10bda.jpg)
(조세금융신문=김필주 기자) 효성그룹이 멸종위기 곤충 인공증식을 통해 생태계 복원에 나선다. 국립생태원에 따르면 현재 멸종위기 곤충류는 총 29종(1급 8종, 2급 21종)에 속한다.
22일 효성그룹은 국립생태원, 숲속의작은친구들과 함께 ‘멸종위기곤충 복원 및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지난 21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에는 지주사 효성을 포함해 효성티앤씨, 효성중공업, 효성화학 등 주요 계열사가 참여했다. 이중 효성은 지난 2024년에도 숲속의작은친구들에 비단벌레와 물장군 인공 증식을 위한 설비를 지원한 바 있다.
먼저 효성은 오는 2027년까지 비단벌레, 소똥구리, 물장군 등 멸종위기 곤충의 증식과 복원을 위한 기금을 지원한다.
이에 국립생태원은 소똥구리 인공증식 기술을 비롯한 생태계 복원 노하우를 이전하고 곤충 전문기업인 숲속의작은친구들이 이를 활용해 멸종위기곤충 복원에 나선다. 효성이 지원하는 기금은 인공 증식을 위한 생육 시스템 구축 및 먹이 구입 등에 사용된다.
이와함께 효성은 인공 증식된 곤충의 자연 방사도 실시한다. 오는 6월에는 경남 밀양 표충사에서 비단벌레 방사 행사를 열어 임직원들이 생태 복원활동에 참여할 예정이다.
황윤언 효성 대표는 “해양생태계 보전을 위한 잘피 숲 조성 활동, 멸종위기 조류의 보호를 위한 철새 먹이 지원 등 다양한 생물종 보전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며 “이번 곤충 복원 협약을 계기로 육지·바다·하늘을 아우르는 생태 보전 활동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