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1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기상청 제공

가업상속공제 요건 까다로워…中企 사후관리 완화 필요성 제기

 21일 오후 중소기업중앙회 2층에서 열린 중소기업 가업승계 정책토론회’에서 발표하는 강성훈 한양대 정책학과 교수 [사진=박가람 기자]
▲  21일 오후 중소기업중앙회 2층에서 열린 중소기업 가업승계 정책토론회’에서 발표하는 강성훈 한양대 정책학과 교수 [사진=박가람 기자]

 

(조세금융신문=박가람 기자) 우리나라의 가업상속공제제도의 사후관리가 다른 국가에 비해 엄격해 중소기업의 가업승계를 더 어렵게 만든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1일 정성호 국회 기획재정위원장과 중소기업중앙회 주최로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중소기업 가업승계 정책토론회’에서 발제를 맡은 강성훈 한양대 정책학과 교수는 이 같이 말했다.

 

우리나라는 가업의 원활한 승계를 위해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중소기업과 매출액 기준 3천억원 미만 중견기업에 대해 최대 500억원 한도 내에서 가업승계자산 100%를 공제해주고 있다.

 

그러나 대상에 해당됨에도 이러한 가업상속공제제도를 신청한 기업은 2017년 기준 52.6%에 그쳤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해 500여 개 표본을 대상으로 가업승계 실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 기업의 70%가 가업승계 과정에서 상속세 등 조세 부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강성훈 교수는 “이는 사전요건, 사후요건 등이 까다롭게 엄격해 가업상속을 하지 않거나 제대로 알지 못해 신청하지 못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며 “현 상황에서 공제 한도액을 확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강 교수는 “현행 사후관리 제도는 공제혜택 규모, 정책대상 기업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것”이라며 “그러나 지나치게 엄격한 사후관리는 가업상속공제제도의 실효성을 저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강 교수는 가업상속재산가액 규모에 따라 사후관리를 차등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기업상속재산이 클수록 상속세 부담이 상당히 크게 발생하기 때문에 중견기업은 사후관리를 어느 정도 엄격하게 설계하는 것은 의미 있다”면서도 “중소기업은 중견기업에 비해 상속세 부담이 크지 않기 때문에 사후관리를 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 교수는 “공제혜택이 클수록 고용유지나 창출 등 경제적 효과를 볼 수 있다”며 “전체적으로 사후관리를 완화한다면 공제혜택 역시 축소되야한다”고 말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상법 개정, ‘주주권 강화’ 명분에 가려진 기업 현실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지난 7월 3일, 기업 경영의 틀을 바꾸는 1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공포된 개정안에는 이사의 충실의무 명문화, 독립이사 제도 강화, 감사위원 선임 시 3%룰 확대,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번 상법 개정안은 단순한 법 조항의 손질을 넘어, 기업 지배구조의 권력 중심이 경영진에서 주주로 옮겨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추가로 논의 중인 법안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집중투표제 확대, 배임죄 적용 요건 정비 등 주주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재벌 중심의 폐쇄적 지배구조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가운데, 이번 개정은 우리 기업 환경이 '주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늘 그렇듯, 제도의 의도가 현실에서 그대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한 것은 자본시장에서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그간 다수의 이사들이 ‘회사를 위한 결정’이라며 무책임하게 의사결정을 내리고, 손실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해 왔던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법의 칼날은 양날이다. 충실의무가 자칫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