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1 (목)

  • 흐림강릉 30.6℃
기상청 제공

경제 · 산업

미성년 건물주 한해 임대소득 500억원 돌파…변칙 상속·증여 우려

300억원대에서 2017년 처음으로 504억원 껑충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미성년자들이 한 해 벌어들인 임대료가 지난 2017년 기준 500억원을 넘어섰다. 부동산 시세가 과열되는 가운데 인원과 금액, 모두 역대 최대 규모에 달했다.

 

김상훈 자유한국당 의원은 20일 2017년 기준 2415명의 미성년자가 한해 임대료로 벌어들인 소득이 약 504억원에 달했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와 국세청으로부터 받은 ‘종합소득세 신고현황’에 따른 것이다.

 

미성년자 건물주의 인원과 소득은 2016년 1891명, 381억원으로 3년 전인 2013년 1815명, 366억원에 비해 큰 변동이 없었다.

 

부동산 시세가 과열된 2017년 처음으로 2000여명을 넘어서면서 임대소득이 전년대비 30%에 달할 정도로 가파르게 올랐다.

 

미성년자 건물주의 1인 평균 임대료 수입도 성인 건물주 소득을 넘어섰다.

 

2017년 기준, 미성년자 건물주 1인당 연 임대소득은 2087만원인 반면, 성인 1인은 연 1994만원 수준이었다.

 

2013~2017년 임대소득 신고현황

귀속

연도

미성년자

성인

신고인원

소득금액

(억원)

1인평균소득

(만원)

신고인원

소득금액

(억원)

1인평균소득

(만원)

2013

1,815

366

2,017

764,112

135,731

1,776

2014

1,928

388

2,012

822,934

150,573

1,830

2015

1,795

350

1,950

855,079

170,257

1,991

2016

1,891

381

2,015

895,910

177,995

1,987

2017

2,415

504

2,087

951,555

189,705

1,994

9,844

1,989

2,020

4,289,590

824,261

1,922

[표=김상훈 의원실]

 

김 의원은 “지난 5년간 미성년자가 임대료소득이 올라가고 있으며, 특히 부동산 시세가 급등했던 작년 자료가 반영되는 시점에는 이런 추세가 깊어질 것”이며 “세금 탈루 여부에 대한 세무당국의 면밀한 주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상법 개정, ‘주주권 강화’ 명분에 가려진 기업 현실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지난 7월 3일, 기업 경영의 틀을 바꾸는 1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공포된 개정안에는 이사의 충실의무 명문화, 독립이사 제도 강화, 감사위원 선임 시 3%룰 확대,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번 상법 개정안은 단순한 법 조항의 손질을 넘어, 기업 지배구조의 권력 중심이 경영진에서 주주로 옮겨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추가로 논의 중인 법안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집중투표제 확대, 배임죄 적용 요건 정비 등 주주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재벌 중심의 폐쇄적 지배구조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가운데, 이번 개정은 우리 기업 환경이 '주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늘 그렇듯, 제도의 의도가 현실에서 그대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한 것은 자본시장에서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그간 다수의 이사들이 ‘회사를 위한 결정’이라며 무책임하게 의사결정을 내리고, 손실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해 왔던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법의 칼날은 양날이다. 충실의무가 자칫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