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19 (화)

  • 구름많음동두천 7.0℃
  • 맑음강릉 9.4℃
  • 구름조금서울 7.1℃
  • 대전 5.9℃
  • 흐림대구 9.3℃
  • 흐림울산 11.2℃
  • 흐림광주 8.4℃
  • 흐림부산 11.0℃
  • 흐림고창 8.8℃
  • 구름많음제주 11.4℃
  • 구름많음강화 7.3℃
  • 흐림보은 5.1℃
  • 흐림금산 4.6℃
  • 구름많음강진군 9.6℃
  • 구름많음경주시 10.3℃
  • 구름많음거제 12.0℃
기상청 제공

문화

[전문가칼럼]WHAT → WHY → HOW 독자의 눈을 사로잡는 목차 만들기

(조세금융신문=이혁백 책인사 대표) 제목이 책 전체의 주제를 나타내는 리더의 역할을 한다면, 그 밑에는 제목을 돋보이게 하는 부제(소제목)가 있고, 책의 전체적인 흐름을 한눈에 보여주기 위한 목차의 중간단계, ‘장’(혹은 ‘부’)이 있다.

 

각 장의 제목이 필요한데, 이를 ‘장 제목’이라고 한다. 몇장으로 나눠야 하느냐에 대해서 정해진 것은 없다. 하지만 대부분의 책을 보면 4장에서 많게는 6장으로 구성된 경우가 많다. 그러나 요즘에는 이러한 원칙이 깨져서, 숫자를 붙이지 않고 장을 나누는 책도 많고, 6장에서 8장, 심지어 10장을 훌쩍 넘기는 책도 있다.

 

장을 나누는 목적은 작가의 원고 집필이 수월하도록 돕고, 독자로 하여금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주제를 쉽게 알아보게 하는 데 있다. 장은 얼마든지 자유롭게 나눠도 좋다. (보통 독자들의 눈에 익숙한 장 배열은 4장에서 6장 정도임을 참고하기 바란다).

 

WHAT → WHY → HOW

기존 책들을 분석해 보면 대부분 한 가지 공식을 가지고있다. 다음 공식을 이해하면 장의 제목을 더욱 쉽고 빠르게 만들 수 있다. 먼저, 《하루 1시간, 책 쓰기의 힘》의 장 배열을 예로 들어 보자. 총 4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 책은 다음과 같은 장 제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 어설픈 자기계발로 시간을 버리는 당신

2장 나를 완성하는 하루 1시간, 책 쓰기의 힘

3장 하루 1시간, 따라만 하면 되는 책 쓰기 실전 노하우

4장 몇백 그램의 책 한 권이 당신의 인생을 말한다

 

1장부터 4장의 제목을 들여다보면 ‘WHAT → WHY → HOW’라는 맥이 흐르고 있다. WHAT은 공감을 끌어내는 장이다. ‘무엇이 문제인가’라는 질문으로 독자에게 공감과 문제점, 원인, 계기 등을 찾아내게 한다. 쉽게 말해 문제점을 공론화시키는 것이다.

 

2장인 WHY는 앞장, 즉 공감에 대한 뒷받침이 되는 장을 의미한다. ‘왜 그랬어야 했는가’라는 질문으로 독자가 책을 통해 문제점, 원인 등의 이유를 찾게 하는 장이다. HOW는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에 초점을 맞춘다. 즉, 앞장들의 문제점들을 해소해 주는 솔루션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면서 구체적인 매뉴얼을 통해 작가가 제시하는 노하우나 실전법 등을 독자들에게 알려 준다.

 

마지막 장인 4장은 전체를 아우르며 정리하는 장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반드시 필요한 장은 아니다. 쉽게 말해, 장 제목의 흐름은 ‘문제점 발견’ → ‘해결’이라는 큰 흐름을 따라 전개된다. 이에 따라 작가가 제시하고, 독자가 공감한 문제점을 독자와 함께 해결해 간다고 생각하면 된다.

 

독자의 눈길을 사로잡는 목차 만들기

장 제목으로 원고 집필의 흐름을 잘 잡았다면, 이제 그 아래 생동감 있는 ‘꼭지’를 만들 차례다. 여기서 말하는 꼭지는 각 장의 제목 아래에 나열된 목차를 가리키는 출판 용어다. 이 꼭지들은 장 제목과 같은 톤을 지니지만, 각자 색깔은 달라야 한다. 마찬가지로 《하루 1시간, 책 쓰기의 힘》의1장 제목과 각 목차를 예로 들어 살펴보자.

 

1장 어설픈 자기계발로 시간을 버리는 당신

 

•하루 1시간, 한 달 30시간, 1년 365시간

•중요한 건 자기계발이 아닌 자기만족

•당신이 이렇게 사는 데는 다 이유가 있다

•도무지 시간이 없다는 당신에게

•인생이 달라지길 원한다면 부가 창출되는 공부를 하라

•사람들이 책 쓰기를 두려워하는 이유

•작가는 타고나는 것일까, 만들어지는 것일까

•진짜 매달려야 할 자기계발은 따로 있다

 

각 꼭지의 제목을 살펴보면 다양한 문장의 끝맺음이 다양한 형태를 지니고 있다. ‘~있다, 하라, 일까, 있다’의 동사 형태로 끝나는 문장이 있는가 하면, 명사나 형용사 그리고 부사 형태로 끝나는 문장도 있다. 그뿐만 아니라 ‘~하구나’와 같은 감탄사 형태로 끝나는 문장도 넣을 수 있다.

 

각 꼭지에 좋은 제목을 붙이기 위해 내가 만든 다음 공식을 따르면 전체 목차를 수월하게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지난호 ‘제목 만들기’에서 공유한 방법으로 다양한 형태의 독특한 문장을 최소한 100개 이상 만든다.

 

둘째, 그렇게 만든 문장들을 각 장의 주제에 맞게 분류한다.

 

셋째, 분류한 문장들 가운데 의미가 중복되거나 장 제목의 분위기에서 벗어난 것들은 버리거나 다른 장으로 재배열한다.

 

넷째, 각 장에 배치된 꼭지의 수를 균등하게 배치한다(평균적으로 40~50개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만약 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각 장마다 10개, 6장으로 구성되었다면 각 장마다 7개 정도로 균등히 배분하면 된다).

 

위 공식들은 내가 작가들의 책을 기획하며 쌓은 노하우 중 일부다. 제목과 목차를 만드는 데 반드시 이 공식에 얽매일 필요는 없지만, 처음 책을 쓰는 예비 작가들에게는 정말 좋은 노하우가 될 것이기에 지속적으로 연습하는 것을 추천한다.

 

초보 작가들이 쓴 첫 책들을 살펴보다 보면, 대부분 목차가 엉성하게 구성된 것을 발견하게 된다. 1장에서 마지막 장까지 물 흐르듯 자연스럽게 하나의 주제로 이어져야 하는데, 각각 댐을 쌓아놓은 듯 어우러지지 않고 제각각인 경우가 많다. 그렇다 보니 각 장의 흐름이 자연스럽고 경쾌하게 흘러가지 않고, 통일성이 없거나 어색하게 느껴진다. 이런 부분을 염두에 두면, 독자들이 더욱 이해하기 쉽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는 목차를 만들 수 있다.

 

사실 목차를 만드는 과정은 가장 힘들면서도 또한 가장 즐거운 과정이다. 어려운 면이 분명 있겠지만, 책을 쓰는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작업이기도 하다. 그만큼 신중하게 해야 하는 작업이지만 제목과 목차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며 큰 즐거움을 느끼게 될 것이다.

 

하나만 팁을 알려준다면, 책의 전체적인 뼈대를 만들어 나아가는 데 있어 ‘어떻게 하면 독자에게 책을 열어보게 만들까?’라는 생각을 가져라. 그 생각만큼 즐겁고 신나는 일도 없다. 그렇게 당신만의 독특하고 재미있는 목차가 만들어지게 된다.

 

[프로필] 이혁백 출판 전문 교육기업 ‘책인사’ 대표

• 북콘텐츠 문화공간 ‘책인사 감동’ 운영

• 작가추천도서 전용 ‘이혁백 책방’ 운영

• MBC <내 손안의 책> 문화평론가

• 베스트셀러 「하루 1시간, 책 쓰기의 힘」, 「가장 위대한 메신저」, 「나는 작가다」, 「나는 작가다: 두 번째 이야기」, 「내 마음대로 사는 게 뭐 어때서?」 기획 등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인터뷰] 임채수 서울지방세무사회장 권역별 회원 교육에 초점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임채수 서울지방세무사회장은 지난해 6월 총회 선임으로 회장직을 맡은 후 이제 취임 1주년을 눈앞에 두고 있다. 임 회장은 회원에게 양질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지방회의 가장 큰 역할이라면서 서울 전역을 권역별로 구분해 인근 지역세무사회를 묶어 교육을 진행하고 있어 회원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올해 6월에 치러질 서울지방세무사회장 선거 이전에 관련 규정 개정으로 임기를 조정해 본회인 한국세무사회는 물론 다른 모든 지방세무사회와 임기를 맞춰야 한다는 견해도 밝혔다. 물론 임원의 임기 조정을 위해서는 규정 개정이 우선되어야 하지만, 임기 조정이라는 입장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은 처음이라 주목받고 있다. 임채수 회장을 만나 지난 임기 중의 성과와 함께 앞으로 서울지방세무사회가 나아갈 길에 대해 들어봤다. Q. 회장님께서 국세청과 세무사로서의 길을 걸어오셨고 지난 1년 동안 서울지방세무사회장으로서 활약하셨는데 지금까지 삶의 여정을 소개해 주시죠. A. 저는 1957년에 경남의 작은 시골 마을에서 8남매 중 여섯째로 태어났습니다. 어린 시절에는 대부분 그랬듯이 저도 가난한 집에서 자랐습니다. 그때의 배고픈 기억에 지금도 밥을 남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