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9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기아차, 1Q 영업익 94.4% 급증…“통상임금 충당금 환입”

판매량 0.5% 증가에도 매출액은 0.9% 감소…“RV 판매 부진 영향”

(조세금융신문=김성욱 기자) 기아자동차가 통상임금 소송 합의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2배 수준의 영업이익을 거뒀다. 다만 주력 차종의 노후화에 따라 전체 판매량은 늘었지만 매출액이 감소하는 등 외형 성장은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기아자동차는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594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4.4% 증가한 것으로 잠정집계됐다고 25일 공시했다.

 

이는 노동조합이 통상임금 소송과 관련해 사측과 합의하면서 대표소송을 취하함에 따라 기존에 쌓은 충당부채의 일부가 영업외수익으로 환입됐기 때문이다.

 

경상이익도 944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3.9% 급증했다. 경상이익의 증가 역시 통상임금 소송 충당금 이자분이 환입된 영향이 컸으며 외환환산이익도 늘어난 효과가 반영됐다.

 

이에 따라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50.3% 증가한 6491억원을 실현했다.

 

그러나 1분기 매출액은 12조444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9% 감소했다. 이는 1분기 글로벌 도매판매가 63만8913대로 0.5% 증가했지만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은 레저용 차량(RV) 판매 비중이 낮아졌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1분기 국내 판매는 11만4482대로 7.5% 감소했으며 해외 판매는 53만4431대로 2.4% 증가했다.

 

주요 지역별로는 미국에서는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텔루라이드의 판매 호조 등에 따라 5.0% 증가한 13만8259대를 기록했다.

 

반면 유럽에서는 2.1% 감소한 12만6664대, 구조조정이 진행 중인 중국에서도 0.3% 감소한 8만1979대를 각각 기록했다.

 

중남미와 중동, 아시아 등 기타 시장에서는 5.1% 증가한 18만7529대가 판매됐다. 신흥 시장에서는 K3와 스토닉 등 차급이 낮은 차종의 판매가 증가했다.

 

이밖에도 매출원가율은 환율과 충당금 환입 효과 등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2.5% 포인트 하락한 82.1%를 기록했고 판매관리비 비율은 0.1% 포인트 증가한 13.1%로 집계됐다.

 

기아자동차 관계자는 “국내 등 일부 지역 판매 감소와 레저용 차량(RV) 주력 모델 노후화에 따라 매출액은 소폭 줄었지만 판매단가 상승과 북미 수익성 개선, 통상임금 소송 충당금 환입 등에 따른 매출원가 감소로 영업이익은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글로벌 통상 분쟁과 주요 시장의 성장세 둔화 등으로 어려운 여건이 지속되고 있지만 최근 미국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론칭한 텔루라이드, 곧 선보일 하이클래스 소형 SUV(프로젝트명 SP2) 등 신규 RV 모델을 비롯한 신차 판매를 확대하고 신흥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해 판매목표 달성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시론] 이재명 vs 김문수, 조세정책의 길을 묻다
(조세금융신문=안경봉 국민대 명예교수, 법무법인 율촌 상임고문) 2025년 대선을 앞두고 조세정책은 단순한 세금의 많고 적음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의 철학과 재정의 지속 가능성을 가늠하는 척도가 되고 있다. 세금은 사회계약의 이행 수단이며, 공공서비스의 재원일 뿐 아니라 미래세대와의 약속이라는 점에서 각 후보의 조세 비전은 중요한 정책 선택의 기준이 된다. 이재명 후보는 ‘조세 정의’와 ‘보편 복지’를, 김문수 후보는 ‘감세와 시장 자율’을 중심 기조로 내세운다. 이처럼 상반된 철학이 세금 정책으로 어떻게 구체화되는지를 살펴보는 일은 유권자에게 실질적 판단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이재명 후보: 분배 정의와 조세 환류 이재명 후보는 국토보유세, 금융소득 통합과세, 디지털세, 탄소세 등 자산과 환경에 기반한 새로운 세목의 신설 또는 기존 세목의 강화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과세를 통해 형성된 세수를 ‘조세환급형 기본소득’ 형태로 전 국민에게 보편적으로 환급함으로써, 소득 재분배와 소비 진작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금융소득 통합과세는 기존의 분리과세 방식을 폐지하고 이자‧배당 등 금융소득을 종합소득에 포함시켜 누진세를 적용함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