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脫 디젤’ 속도…현대·기아차 디젤 판매 비중 ‘뚝’

규제 강화에 친환경차 판매 20% 급증…수입차 시장서도 디젤 위축

(조세금융신문=김성욱 기자) 디젤차에 대한 신뢰 하락과 규제 강화에 따른 이른바 ‘탈(脫) 디젤’ 현상이 장기화하고 있다.

 

18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현대·기아차가 지난해 국내에서 판매한 승용차와 레저용차량(RV) 101만3259대 가운데 디젤 엔진 차량은 34만2941대로 전체의 33.8%를 차지했다.

 

현대·기아차의 디젤차(상용차 제외) 판매 비중은 2011년에는 22.0%에 그쳤지만 그랜저와 K7 등 다양한 디젤 세단을 내놓자 2015년 41.9%까지 높아졌다.

 

그러나 세계적인 환경 규제에 따른 탈 디젤 바람이 불면서 이 비중은 2016년 39.9%로 꺾이더니 2017년 34.1%에 이어 지난해까지 3년째 내리막을 탔다.

 

이는 하이브리드와 전기차 등 친환경차 판매가 빠르게 늘면서 승용 부문의 디젤 판매가 꾸준히 감소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그랜저 디젤 모델은 3731대가 팔려 2017년 판매량(7838대)의 절반에도 못 미쳤고 K7 디젤 모델 역시 2017년 3893대에서 지난해 2019대로 48% 급감했다.

 

 

현대·기아차의 지난해 디젤차 판매 증가율은 4.1%로 디젤을 제외한 모델의 판매 증가율 5.3%보다 낮았다. 특히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최초 10만대 판매 기록을 세운 싼타페의 디젤 모델을 제외하면 현대·기아차의 디젤차 판매는 11.1%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현대·기아차의 친환경차 내수 판매는 지난해 8만5221대로 전년 대비 20.0% 급증했다. 현대차가 5만53대로 37.4% 늘었고 기아차는 3만5168대로 1.6% 증가했다.

 

코나 일렉트릭이 1만1193대 팔리는 등 전반적으로 전기차가 친환경차 판매량 증가를 이끌었다.

 

한편, 수입차 국내 판매 역시 지난해 디젤 비중이 41.0%로 2017년(47.2%)보다 크게 줄었다. 이는 폭스바겐의 디젤차 배기가스 조작 사태를 계기로 유럽 디젤차에 대한 소비자 불신이 커졌고 도요타와 렉서스의 하이브리드차 판매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국내 시장은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과 함께 친환경차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시장에도 전기차와 수소연료전기차가 선보이는 만큼 디젤차 판매 감소세는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젊기도 설워라커늘 짐을 조차 지라고 해서야
(조세금융신문=손영남 편집국 부국장) 식당이나 술집 계산대 앞에서 옥신각신하는 모습은 우리에겐 일상과도 같다. 서로 내겠다며 다툼 아닌 다툼을 벌이는 모습이야말로 그간의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모습이었달까. 주머니의 가벼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그런 대범함(?)은 그만큼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깔려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앞으론 그런 훈훈한 광경을 보지 못하게 될 확률이 높다. 요즘의 젊은 친구들, 그러니까 소위 MZ세대라고 불리는 층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가 먹지도 않은 것까지 계산해야 한다는 걸 받아들일 수 없는 이들이 MZ세대다. 누구보다 실리에 민감한 세대인 탓이다. 그들을 비난할 의도는 전혀 없다. 오히려 그게 더 합리적인 일인 까닭이다. 자기가 먹은 건 자기가 낸다는 데 누가 뭐랄까. 근데 그게 아니라면 어떨까. 바꿔 생각해보자. 다른 사람이 먹은 것까지 자기가 내야 한다면 그 상황을 쉬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더구나 그게 자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작금의 연금 개혁안을 두고 MZ세대들이 불만을 토하고 있는 현 상황이 딱 그 꼴이다. 어렵게 번 돈을 노후를 위해 미리 쟁여둔다는 것이 연금의 기본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