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기상청 제공

11월 수출, 전년比 32.1% 증가...무역수지 감소했지만 31억 달러 흑자

[사진=관세청]
▲ [사진=관세청]

 

(조세금융신문=홍채린 기자) 11월 수출이 604억 달러, 수입 574억 달러를 기록하면서 무역수지 31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1일 관세청이 발표한 '2021년 11월 수출입 현황'에 따르면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32.1% 증가해 146.9억 달러가 올라갔고, 수입도 43.6% 증가해 174.1억 달러가 증가했다. 이는 무역수지 19개월 연속 흑자다. 

 

2020년 11월 수출은 461억 달러였지만, 올해 11월 수출은 604억 달러를 기록하면서 크게 증가했다. 조업일수가 2020년엔 23일, 2021년 24일을 고려해도 일평균수출액은 증가했다.

 

일평균수출액이 2020년엔 19.9억 달러, 2021년엔 25.2억 달러를 기록해 26.6% 증가한 셈이다. 

 

무역수지는 11월 31억 달러를 기록했다. 반면, 작년 같은 기간 무역수지를 보면 381억 달러로 올해는 작년보다 감소했다. 다만, 무역수지가 19개월 연속 흑자로 집계됐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상법 개정, ‘주주권 강화’ 명분에 가려진 기업 현실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지난 7월 3일, 기업 경영의 틀을 바꾸는 1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공포된 개정안에는 이사의 충실의무 명문화, 독립이사 제도 강화, 감사위원 선임 시 3%룰 확대,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번 상법 개정안은 단순한 법 조항의 손질을 넘어, 기업 지배구조의 권력 중심이 경영진에서 주주로 옮겨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추가로 논의 중인 법안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집중투표제 확대, 배임죄 적용 요건 정비 등 주주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재벌 중심의 폐쇄적 지배구조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가운데, 이번 개정은 우리 기업 환경이 '주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늘 그렇듯, 제도의 의도가 현실에서 그대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한 것은 자본시장에서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그간 다수의 이사들이 ‘회사를 위한 결정’이라며 무책임하게 의사결정을 내리고, 손실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해 왔던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법의 칼날은 양날이다. 충실의무가 자칫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