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11 (일)

  • 흐림동두천 16.8℃
  • 흐림강릉 18.5℃
  • 천둥번개서울 20.3℃
  • 구름많음대전 19.8℃
  • 구름많음대구 23.6℃
  • 구름많음울산 21.4℃
  • 맑음광주 21.8℃
  • 구름많음부산 21.2℃
  • 구름조금고창 18.7℃
  • 구름조금제주 20.5℃
  • 흐림강화 17.9℃
  • 구름조금보은 17.6℃
  • 구름많음금산 16.7℃
  • 구름많음강진군 22.3℃
  • 구름많음경주시 21.3℃
  • 구름많음거제 20.4℃
기상청 제공

작년 12월 '역대 수출액 최고치 경신'에도 무역수지는 적자 

수출은 18.3%, 수입은 37.1% 증가...무역수지는 5억 달러 적자

 

(조세금융신문=홍채린 기자) 관세청이 발표한 '2021년 12월 월간 수출입 현황'에 따르면 12월 수출이 월간 역대 수출액 최고치를 경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무역수지는 5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17일 '2021년 12월 월간 수출입 현황'에 따르면 작년 12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8.3% 증가한 607억 달러, 수입은 37.1% 증가한 612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역대 월간 수출액 1위를 기록했으며, 14개월 연속 증가한 셈이다. 

 

2020년 12월 수출은 512억 달러를 기록했고, 수입은 467억 달러를 달성했다. 하지만 2021년 12월 수출은 607억 달러를 기록해 증가세를 보였다. 수입은 특히 제작년에 비해 37.1% 증가해 612억 달러까지 증가한 셈이다. 

 

다만 수출보다 수입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무역수지는 5억 달러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해석된다. 

 

수출 주요 품목은 반도체(34.1%), 승용차(18.6%), 가전제품(22.2%) 등이 증가했다. 반면, 무선통신기기(-15.6%), 자동차 부품(-1.5%), 선박(-50.8%), 액정디바이스(-20.9%) 등이 감소했다. 

 

국가별 수출 주요 품목으로는 중국(20.8%), 미국(22.8%), 유럽연합(17.1%) 베트남(7.2%), 일본(16.2%), 대만(31.4%), 중동(42.7%) 등이 증가했다. 

 

수입 주요 품목 중에 원유가 86.2% 증가해 가장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이어 메모리 반도체(49.8%), 의류(20.4%) 등이 증가했다. 반면 승용차(-28.9%), 자동차 부품(-4.1%) 등은 감소했다. 

 

특히 수입 품목 중에 원자재 품목이 63.8%로 가장 크게 차지했다. 이어 자본재 18.5%, 소비재 12.3%를 차지했다. 

 

주요 수입대상국 중에서는 호주가 102.6%로 가장 크게 올랐다. 이어 중동이 97.7%, 베트남 28.1%, 중국 27.1%, 유럽연합 22.5%, 미국 16.1%, 일본 8.9% 등이 증가했다. 

 

◈ 작년 12월 수출, 600억 달러 연속 돌파 

 

작년 12월 수출은 전월에 이어 600억 달러를 연속 돌파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10개월 연속 500억 달러를 돌파한 셈이다. 

 

이는 역대 월수출 실적 1위로서, 14개월 연속 증가했다. 1월부터 12월까지 누계 수출액으로 따지면 역대 최고 기록이다. 

 

수출 중량도 증가했는데, 전월 동기 대비 0.8% 증가하면서 3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국가별로는 중국이 14개월 연속 증가했고, 미국과 유럽연합은 16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수출 품목으로는 반도체가 역대 최대 실적인 130억 달러를 달성하면서, 8개우러 연속 100억 달러를 돌파했다. 이는 18개월 연속 증가한 수치이며, 9개월 연속 20% 이상 증가했다. 석유제품은 10개월 연속 큰 폭으로 증가했다. 

 

다만, 원유 수입단가는 국제유가가 상승세를 보이며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다. 

 

◈ '역대 수출액'임에도...무역수지는 20개월 만에 적자 

 

12월은 역대 1위 수출액을 달성했음에도 불구하고, 무역수지는 -5억 달러로 20개월 만에 적자를 기록했다. 

 

2021년 7월(17.9억 달러), 8월(15.8억 달러), 9월(42.8억 달러)로 무역수지는 꾸준히 증가했다. 하지만 10월부터 18.2억 달러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더니, 11월(30억 달러)에서 12월( -4.5억 달러)로 20개월 만에 적자를 기록했다. 

 

그 중 주요 흑자국도 있었다. 동남아는 80억 1천만 달러로 가장 높게 기록했고, 이어 베트남 34억 4천만 달러, 미국 30억 9천만 달러, 중국 15억 2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주요 적자국으로는 중동이 -62억 7천만 달러로 가장 크게 감소세를 보였다. 이어 호주 -27억 1천만 달러, 일본 -24억 2천만 달러, 유럽연합 -7억 3천만 달러 감소를 보였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칼럼] 히로시마 G7 정상회담 초청받은 한국, 진짜 실리는 지금부터
(조세금융신문=이상현 편집국 부국장) 선진 7개국 정상회담(G7)이 일본 히로시마에서 지난 21일 막을 내렸다. 예상대로 국내에서는 여야가 상반된 평가를 내렸다. 집권 국민의힘은 ‘실리외교를 위한 윤석열 정부의 노력이 결실을 맺기 시작했다’고 평가했다. 윤 대통령이 다자회의에서 G7과의 협력을 통해 취약국과 개발도상국을 지원하기로 하는 등 글로벌 중추국가 위상을 보여줬다는 것이다. 반면 야당은 ‘그림자에 그친 들러리 외교’였다고 비판했다. 윤 대통령이 후쿠시마 오염수와 수산물 문제에 침묵했다는 지적이 비판의 주된 초점이었다. 여야 각각의 평가에서 한걸음 물러나 G7 회원국 전체의 성과를 보자면 국제관계의 진영화를 돈독히 해서 ‘신냉전’의 공고화를 꾀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한때 지구촌 의제를 이끌던 G7이 2023년에는 크게 저하된 모습이다. 우선 금융 및 경제 안정을 위해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자임했던 G7 국가들은 2023년에 찾아 볼 수 없다. 2008년 금융위기 당시에도 극명해진 것처럼, 회원국 내의 의견 불일치는 명백히 드러나 버렸다. G7은 최근 몇 년간 경제는 물론 국제정치, 외교 영역에 그다지 큰 존재감을 보여주지 못했다. 중국과 인도 등의 급성
[초대석] 정재열 제27대 신임 한국관세사회장, "관세사 업무영역 확대에 총력"
(조세금융신문=대담 이지한 편집위원, 촬영 김종태 기자) 한국관세사회는 지난 3월 29일 개최된 47차 정기총회에서 서울본부세관장 출신의 정재열 후보를 제27대 회장으로 선출했다. 정재열 회장은 한국관세사회 역대 최대로 5명의 회장 후보가 치열한 경쟁을 벌인 끝에 35.9%의 득표율로 다른 후보들을 제치고 회장에 당선됐다. 정 회장은 회원들을 만나 많은 의견을 나누고 있다면서 회원들의 가장 큰 고충은 무엇보다 관세사 업역과 시장 규모의 확대라고 말했다. AI 등의 출현으로 관세사업계에도 큰 변화가 다가오면서 회원들은 절박함 속에 위기감을 느끼고 있어 기존 관세사 업무 외에 영역으로의 확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다짐이다. 한국관세사회관을 찾아 정재열 회장을 만났다. <편집자주> Q. 먼저 제27대 한국관세사회장으로 당선되신 것을 축하드립니다. 회원과 독자들에게 감사 인사를 전해주시죠. A. 축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당선 이후 정말 많은 분께서 축하해 주셨습니다. 이 자리를 빌려 다시 한 번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관세사업계가 처한 여러 현안이 많고 어려운 시기에 회장을 맡아 개인적으로 영광인 반면 동시에 막중한 책임감도 느끼고 있습니다. 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