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09 (토)

  • 흐림동두천 13.0℃
  • 맑음강릉 16.2℃
  • 박무서울 13.1℃
  • 맑음대전 9.6℃
  • 맑음대구 7.3℃
  • 맑음울산 15.0℃
  • 구름많음광주 14.3℃
  • 구름많음부산 15.0℃
  • 구름많음고창 14.2℃
  • 맑음제주 11.6℃
  • 흐림강화 11.8℃
  • 맑음보은 2.4℃
  • 맑음금산 8.4℃
  • 맑음강진군 14.8℃
  • 맑음경주시 7.1℃
  • 맑음거제 15.3℃
기상청 제공

정부, "전세사기 초장에 잡는다"…'전세사기' 예방‧피해 지원방안 마련

전세금 집값에 90% 이하만 전세 보증보험 가입 가능해
감평사‧중개사 사기 다수 적발…‘원스트라이크 아웃제’ 도입

 

(조세금융신문=이정욱 기자) 올해 5월부터 전세보증금이 집값의 90% 이하인 주택만 전세금 반환 보증보험에 가입할 수 있게 된다. 또 전세사기에 가담한 공인중개사나 감정평가사에 대해 '원스트라이크 아웃제' 등 처벌이 강화된다.

 

국토교통부는 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4차 부동산관계장관회의 합동 브리핑’에서 이같은 내용이 담긴 '전세사기 예방 및 피해 지원방안'을 발표했다.

 

먼저 집값과 같은 가격에 전세를 들이는 무자본 갭투자 방식으로 주택 기하급수적으로 사들인 뒤 보증금을 떼먹는 ‘빌라왕’들의 전세사기를 막기 위해 집값의 90% 이하인 주택만 전세금 반환이 가능해진 것.

 

예를 들어 집값이 1억원이라면 전세금이 7000만원 이하여야 전세 보증보험에 가입이 허용된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전세금 보증보험 가입 대상을 전세가율(집값 대비 전세보증금 비율) 100%에서 90%로 낮추는 것이다.

 

다만 건전한 전세계약에 대해서는 충분한 보증이 공급되도록 서민임차인 보증료 할인을 확대하고 자본금 출자‧보증배수를 상향하는 등 보증기반 확충도 검토할 예정이다.

 

아울러 국토부는 그동안 일부 감정평가사나 공인중개사 등이 전세사기에 가담한 사례를 다수 적발함에 따라 이달부터 의심사례 전수 조사를 실시한다.

 

이와 함께 처벌도 강화된다. 공인중개사는 오는 6월께 공인중개사법 개정을 통해 사기 가담 시 '원스트라이크 아웃' 요건을 확대하고, 중개보조원 채용 상한제 도입도 추진할 계획이다.

 

현재 공인중개사들은 직무 위반으로 '징역형'이 선고될 경우 자격취소가 되고 있는데, 이를 앞으로는 '금고형(집행유예 포함)'만 선고받아도 취소되도록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공인중개사뿐만 아니라 전세사기에 가담한 감정평가사 역시 오는 6월 감정평가사법 개정을 추진, 자격 취소 사유를 '금고형(집유 포함) 2회'에서 '1회'로 강화할 예정이다.

 

등록임대사업자 역시 보증 제도를 무자본 갭투자의 수단으로 악용하고 있다는 지적에 따라 등록임대사업자의 의무 임대보증 관리도 강화된다.

 

임차인 거주 주택은 보증을 가입해야만 등록이 가능하고 공실은 등록후 가입을 허용하돼, 미가입시 임차인에게 통보해 계약을 해지하고 위약금을 지급하도록 제도가 개선된다. 또 보증 미가입으로 등록이 말소된 이대사업자는 임대주택을 추가로 등록할 수 없다.

 

이같은 제도는 보증 제도의 무자본 갭투자 수단 악용을 차단하기 위해 전세가율 요건 조정 등 세부적인 개선방안을 보증가입 의무화가 전면 시행되기 이전인 올해 7월까지 마련된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김우일의 세상 돋보기] 단식(斷食), 배고픔의 고통을 이기는 힘과 경영지혜
(조세금융신문=김우일 대우M&A 대표) 모 정치인이 갑작스레 단식을 이어가 많은 사람의 주의를 끌었다. 역사상 단식은 많은 사례가 있어 왔다. 단식(斷食)은 실타래 같이 이어져 있는 생명의 유지를 위한 음식공급망을 의식적으로 빠르게 끊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서서히 섭취를 줄이는 절식(節食)과는 다르게 그 배고픔의 고통은 이루 말할 수가 없이 크고 생물의 본능을 공격하는 것이라 정신과 육체 모두를 원시상태로 되돌리는 극기의 인내를 감수해야만 가능하다. 필자에게도 단식경험이 있다. 60년대 우리나라는 전쟁후유증으로 인한 궁핍한 경제로 국민학생들이 제대로 먹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지금도 생각나는 그때, 워낙 가난한 사정 때문에 하루에 한 끼도 못 채우고 수돗물로 배 채울 정도로 배고픔을 참아가며 열심히 공부해 항상 우등생 반열에 올랐던 절친이 있었다. 필자는 그 친구의 상황을 공감하기 위해 똑같이 하루에 한 끼로 하며 빈 배를 수돗물로 채우는 과정을 동반 체험해봤다. 결국 3일을 넘기지 못했다. 그 배고픔의 고통이 이루 말할 수 없었던 것이다. 필자는 배고픔을 수돗물로 채우고도 끝끝내 강한 의지로 항상 공부를 잘했던 그 친구를 정말 존경했고 후일 그 친
[초대석] 강호동 합천 율곡농협조합장 “현실로 다가온 농촌소멸…농업소득 증대가 해답”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황금빛 쌀보리가 넘실대던 농촌의 가을걷이가 막바지다. 땀방울로 일군 값진 곡식들은 전국으로 유통돼 식탁을 풍성하게 채운다. 국민 밥상의 근간이 되는 농촌 그리고 농업의 중요성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그런데 농촌 경로당은 80대가 막내고, 아이 울음소리가 뚝 끊긴 마을이 점차 늘고 있다. 고령화와 인구감소 문제가 해결되지 못한 채 농촌소멸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어 씁쓸한 뒷맛을 남긴다. 이제는 농촌과 농업이 식량안보의 핵심이라는 개념적 접근을 넘어 식품산업, 물류, 관광 등 부가가치 창출과 고용을 증대시킬 수 있는 혁신 성장이 가능한 무한한 잠재력을 가진 자원임을 인식해야 할 때다. 농촌을 지원해야 한다는 소극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미래 사회의 중심에 농촌을 올려놓고 새로운 포트폴리오를 설계해야 한다. 농업생산력을 증진시키고 농민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을 도모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이 있다. 농협이다. 올해로 창립 62년을 맞은 농협은 앞으로의 60년 대계를 위해 분주하다. 농업이 대우받고 농업인이 존경받는 미래를 구현하기 위한 청사진을 그리는 중이다. 첫 단추는 무엇일까. 농촌의 어려움과 농민들의 애로사항을 근거리에서 청취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