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연합뉴스]](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250625/art_17500371983565_64aadd.jpg)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수요가 급증하자 전 은행권을 긴급 소집했다. 은행권 가계 대출 담당 부행장들을 불러 모아 가계부채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날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서울 여의도 금감원 본원에서 전 은행권 가계 대출 담당 부행장들을 불러 비공개 ‘가계부채 간담회’를 개최한다.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 12일 기준 전월 말(748조812억원) 대비 1조9980억원 늘어난 750조97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달 들어 약 열흘 만에 지난달 증가폭인 4조9964억원과 비교해 절반 가까이 불어나면서 6월 가계대출 증가 폭이 5조원을 넘어설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이처럼 6월 가계대출이 폭증한 이유는 7월 3단계 DSR 규제가 시행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7월 1일 3단계 DSR 규제가 도입되면 수도권 주담대 한도가 기존 대비 1000~3000만원 가량 축소된다.
금감원은 이날 간담회에서 은행별 가계대출 현황에 대해 보고받고, 은행들을 향해 무리한 주택담보대출 자제와 가계대출 증가 목표치 준수 등을 당부할 예정이다.
금융위는 지난 11일 가계부채 점검회의에서 수도권 중심으로 금융사의 주담대 취급 실태에 대한 관리 감독을 강화하기로 한 바 있고, 이에 맞춰 금감원은 은행이 주담대를 취급하는 과정에서 DSR 등 대출 규제 우회 사례가 있는지 샘플링을 통해 점검에 나설 계획이다.
앞서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금융위, 금감원은 지난 12일 ‘부동산시장 점검 TF’ 회의를 열고 “서울 부동산 시장 상황이 엄중하다. 각 부처의 가용한 정책 수단을 총망라해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