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6 (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문화

[김대중 골프교실⑦]캐디교육의 새로운 트랜드(Trend): 인턴 캐디 제도 <上>

<연재순서>

 

1. 캐디는 무슨 일을 할까?

2. 그래서 얼마나 벌까? 

3. 골프장에서 캐디가 정말 필요한 이유?

4. 왜 캐디가 부족할까?

5. 캐디에도 종류가 있다. 

6. 어떻게 하면 캐디가 될까?

7. 캐디교육의 새로운 트랜드(Trend): 인턴 캐디 제도

8. R&A 골프 룰(Rule)로 본 캐디

9. 캐디는 언제부터 있었나?

10. 캐디의 역할은 어떻게 바뀌었나?

11. 최초의 캐디는 누구일까?

12. 가장 유명한 캐디는 누구일까?

13. 캐디 고용보험 시행이 골프장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14. 앞으로 캐디가 나아갈 방향은?

 

(조세금융신문=김대중 골프앤 공동대표) 인턴(Intern)의 정확한 의미는 최근에 학업을 마치고 단기간(Short time: 3개월~6개월) 동안 특수한 일이나 경험을 얻기 위해서 회사나 기관 등에서 일하는 학생이나 사람을 일컫는 말로서, 때로는 무보수로 일하기도 한다.

 

인턴이라는 말을 한국어로 번역하자면, ‘견습생(見習生)’, ‘견습사원(見習社員)’, ‘실습생(實習生)이라고 부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미국, 한국, 일본에서는 영어 그대로 인턴이라고 부르며, 인턴을 주제로 한 영화들도 韓·美·日 모두 특색 있게 만들었다.

 

아래 포스터는 미국에서 ‘앤 해서웨이’와 ‘로보트 드니로’가 주연한 인턴(Intern)을 주제로 한 영화와 일본과 한국에서 제작된 인턴에 관련된 영화이다.

 

 

원래 미국에서 사용되었던 '인턴'이라는 용어는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의사면허를 받은 후 병원에서 임상실습을 받는 전문의 1년차 과정을 일컫는 용어다. 

 

병원에서 인턴은 전문의 1년차 때에 배웠던 의학 이론을 실제 환자에게 적용시키는 방법을 제대로 배우기 위해서 만들었던 중간 단계 , 실습 위주로 배우게 된다. 이런 실습 단계를 거치지 않게 되면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는 것이 바로 의료사고이기 때문에 환자와 의사 모두를 위해서 생겨난 제도가 바로 인턴 제도이다.

 

이러한 유래를 가지고 있는 인턴제도는 국내에서는 IMF 이후 사회 전반에 걸쳐서 다양한 직군에서 도입되었는데, 국제기구, 대기업, 공공기관, 정부기관, 은행, 중소기업 등에서 이용되고 있다. 각 직종에 정식 구성원이 되기 전에 실습을 통한 훈련을 받는 사람이나 과정 전체를 일컫는 말로 인턴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범위가 매우 넓게 퍼졌다.

 

결국 인턴이라는 제도를 요약하자면, 어떤 업무인지 실제로 경험할 수 있는 제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인턴제도를 궁극적으로 인턴쉽을 마친 후 취업이 가능한가에 따라 분류를 하면, 인턴을 마치고 해당 회사에 고용되는 취업형 인턴제도와 취업과 연계되지 않은 체험형 인턴 제도로 나눌 수 있다.


캐디의 수요와 공급이 무너진 골프장업계에서도 신입 캐디 모집을 위하여 인턴 캐디 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인턴 캐디란 ‘하우스 캐디’가 되기 위해서 캐디 업무를 실습하고 있는 교육생으로, 골프와 캐디에 관한 기초 이론을 배우고, 실제로 캐디가 하는 업무를 실습하고 있는 교육생을 일컫는 말이다. 

 

개인적인 편차가 존재하지만 보통 6주~10주 과정동안 인턴 과정을 거치며, 과정 수료 후에는 취업까지 연계되는 과정을 통칭한다.

 

인턴 캐디를 통해서 캐디가 하는 역할을 배우고, 그 과정을 마친 후 캐디가 되기 때문에 캐디가 되고 싶은 많은 사람들이 지원을 하고 교육을 받지만, 약 40%는 중도에 포기한다. 최근에는 하우스 캐디들도 공백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교육을 받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

 

인턴 캐디 제도는 아래와 같은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캐디 교육의 체계가 없는 업체들로 인해서 부작용이 발생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인턴 캐디의 장점에 대해서 먼저 살펴보기로 하자. 인턴캐디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캐디라는 직업에 대해 A부터 Z까지 체험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인턴 캐디 제도가 만들어진 가장 핵심적인 이유이다. 취업이 어려운 사회적 환경 등을 비추어볼 때, 2개월 정도 짧게 인턴 캐디로 캐디업무를 배우고, 실습을 통해서 캐디가 하는 일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알아간다. 

 

자신의 직업에 대해 경험하면서 전문성을 얻고, 자신의 꿈에 대해 한 발자국 더 나아갈 수 있는 것이 인턴 캐디의 최고 장점이다.

 

둘째, 인턴 캐디를 통해 경력을 쌓고, 골프장으로 취업까지 된다.

 

캐디는 머리로만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머리가 알고 있는 일을 몸으로 체화(體化)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래서 골프 세미 프로들이 캐디에 도전해서, 제대로 배우고 캐디가 되려고 하지만, 지금까지 캐디 교육 경험에 비추어 봤을 때 소수의 인원만이 캐디가 될 수 있었다.

 

인턴 캐디 제도는 혼자서만 배우는 것이 아니라 같은 꿈을 이루기 위해서 노력하는 다른 동반자들과 함께, 협력하고 도우면서 하우스 캐디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 그 자체가 골프장업계에서 원하는 바이기도 하다. 서로 존중하고 상생하는 모습이 바로 인성이라는 이름으로 발전되어 인턴 캐디 자체가 자신의 경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지금까지 인턴 캐디과정을 거쳐 약 500 명 이상이 하우스 캐디가 되어서 현업에서 활동하고 있다.

 

셋째, 골프장입장에서 보면 지원자를 쉽게 검증할 수 있다.

 

캐디 지망생의 입장에서 보면, 인턴 캐디 제도는 캐디라는 직업에 대해서 미리 경험하고 캐디 생활을 미리 배울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골프장업계 입장에서도 인턴 캐디 제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매우 큰 장점이 있다.

 

바로 골프장 입장에서는 효율적으로 캐디를 채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 골프장에서 직접 신입 캐디를 모집하고 교육시켜서 하우스 캐디로 만들 수 있는 확률은 10~20% 정도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골프장에서 직접 신입 캐디를 모집하고 교육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골프장에서는 인턴 캐디 졸업자들을 대상으로 캐디가 갖추어야 할 스킬(Skill)과 적응력을 확인 가능하며, 신입을 하우스 캐디로 만드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다.

 

그리고, 인턴 캐디 과정을 거쳐 채용된 캐디는 아무 것도 모르는 신입 캐디에 비해서 비교적 쉽게 업무에 적응하며 캐디가 해야 할 일을 알고 있으므로, 코스를 숙지 시킨 후 바로 현장에 투입 가능하기 때문에 골프장 입장에서 본다면 캐디 수급에 훨씬 유용한 면을 가지고 있다.

 

이어서 "캐디교육의 새로운 트랜드(Trend): 인턴 캐디 제도 <下>"편이 계속됩니다. 

 

[프로필] 김대중

• 2019년~현재: (주)골프앤(www.golf-n.co.kr) 공동대표

• 2010년~2019년: 스프랭캠프 대표

• 건국대학교 국제무역학과 박사과정 수료

• 미국 UC Berkeley Extension 수료

• 일본 국립 츠쿠바대학(筑波大学) 경영정책과 석사과정 특별연구생

• 前) 한국무역협회, 홍익대학교, 가톨릭관동대학교 강사

• 저서: 인터넷마케팅길라잡이, 인터넷창업길라잡이, 인터넷무역실무 등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인터뷰] 임채수 서울지방세무사회장 권역별 회원 교육에 초점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임채수 서울지방세무사회장은 지난해 6월 총회 선임으로 회장직을 맡은 후 이제 취임 1주년을 눈앞에 두고 있다. 임 회장은 회원에게 양질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지방회의 가장 큰 역할이라면서 서울 전역을 권역별로 구분해 인근 지역세무사회를 묶어 교육을 진행하고 있어 회원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올해 6월에 치러질 서울지방세무사회장 선거 이전에 관련 규정 개정으로 임기를 조정해 본회인 한국세무사회는 물론 다른 모든 지방세무사회와 임기를 맞춰야 한다는 견해도 밝혔다. 물론 임원의 임기 조정을 위해서는 규정 개정이 우선되어야 하지만, 임기 조정이라는 입장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은 처음이라 주목받고 있다. 임채수 회장을 만나 지난 임기 중의 성과와 함께 앞으로 서울지방세무사회가 나아갈 길에 대해 들어봤다. Q. 회장님께서 국세청과 세무사로서의 길을 걸어오셨고 지난 1년 동안 서울지방세무사회장으로서 활약하셨는데 지금까지 삶의 여정을 소개해 주시죠. A. 저는 1957년에 경남의 작은 시골 마을에서 8남매 중 여섯째로 태어났습니다. 어린 시절에는 대부분 그랬듯이 저도 가난한 집에서 자랐습니다. 그때의 배고픈 기억에 지금도 밥을 남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