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맑음강릉 20.3℃
기상청 제공

문화

[詩가 있는 아침] 겨울 이팝나무

 

겨울 이팝나무 / 황다연

 

계절의 끝까지에 매달려 있는

상념의 그림자가

앗아간 시간 속에 갇혀 있다

 

혹한의 칼바람이 춤추는 가운데

뒤엉킨 생각들이 묘안을 짠다

 

된바람 눈바람도 끄떡없이

붉게 채도를 높이는

위풍당당한 남천을 바라보며

비장한 각오로 봄을 그린다

 

쓰라린 고통 뒤에 따라오는

편안한 안식이

더 따뜻할 거라 믿으며

 

울긋불긋 남천의 다홍빛 치마와

겨울을 품어 안은 산호알 따위는

별것 아니라는 듯

 

파란 하늘과

푸르른 초원을 그리며

연초록 잎 사이

하얀 고봉밥을 퍼 담으리라 생각한다

 

겨울 이팝나무 시린 손끝에

벌써 봄이 들려있다

 

 

[시인] 황다연

경남 창원 거주

대한문학세계 시 부문 등단

(사)창작문학예술인협의회 회원

대한문인협회 경남지회

저서 : 시집 “때로는 아픔마저 사랑이었다”

 

 

[詩 감상] 박영애 시인

겨울옷을 벗고 봄꽃이 활짝 인사를 한다. 어느 사이 저렇게 꽃이 피었는지 정말 자연의 힘은 위대하다. 추위를 견디고 살포시 미소 짓는 매화꽃, 하얀 목련꽃, 노란 개나리꽃, 연분홍 진달래꽃이 지난 해 고통스럽고 힘들었던 때 묻은 모든 것을 털어 버릴 수 있는 매개체가 되길 이 봄에 희망한다. 겨울을 이겨내고 활짝 핀 봄꽃이 더욱 사랑스럽고 예쁘다. 이제 곧 하얀 이팝나무도 활짝 인사를 할 것이다. 새록새록 돋는 새싹과 화사한 봄꽃처럼 우리의 삶도 싱그럽고 행복의 봄날이길 바란다.

 

[낭송가] 박영애

충북 보은군 거주

대한문학세계 시 부문 등단

(사)창작문학예술인협의회 부이사장

대한문인협회 정회원

(현) 시인, 시낭송가, MC

(현) 대한창작문예대학 시창작과 교수

(현) 대한문학세계 심사위원

(현) 대한문인협회 금주의 시 선정위원장

(현) 시낭송 교육 지도교수

(전) 대한시낭송가협회 회장

(현) 대한시낭송가협회 명예회장

(현) 문화예술 종합방송 아트TV '명인 명시를 찾아서' MC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젊기도 설워라커늘 짐을 조차 지라고 해서야
(조세금융신문=손영남 편집국 부국장) 식당이나 술집 계산대 앞에서 옥신각신하는 모습은 우리에겐 일상과도 같다. 서로 내겠다며 다툼 아닌 다툼을 벌이는 모습이야말로 그간의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모습이었달까. 주머니의 가벼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그런 대범함(?)은 그만큼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깔려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앞으론 그런 훈훈한 광경을 보지 못하게 될 확률이 높다. 요즘의 젊은 친구들, 그러니까 소위 MZ세대라고 불리는 층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가 먹지도 않은 것까지 계산해야 한다는 걸 받아들일 수 없는 이들이 MZ세대다. 누구보다 실리에 민감한 세대인 탓이다. 그들을 비난할 의도는 전혀 없다. 오히려 그게 더 합리적인 일인 까닭이다. 자기가 먹은 건 자기가 낸다는 데 누가 뭐랄까. 근데 그게 아니라면 어떨까. 바꿔 생각해보자. 다른 사람이 먹은 것까지 자기가 내야 한다면 그 상황을 쉬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더구나 그게 자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작금의 연금 개혁안을 두고 MZ세대들이 불만을 토하고 있는 현 상황이 딱 그 꼴이다. 어렵게 번 돈을 노후를 위해 미리 쟁여둔다는 것이 연금의 기본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