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은행

하나금융, 인천 청라에 인재육성 위한 ‘글로벌 캠퍼스’ 오픈

 

(조세금융신문=이기욱 기자) 하나금융그룹이 인천 청라국제도시에 그룹 인재 육성을 위한 연수 시설인 '하나글로벌캠퍼스'를 오픈하고 청라 하나드림타운 2단계 사업을 완성했다.

 

이번에 오픈한 하나글로벌캠퍼스는 하나금융그룹의 글로벌·디지털 인재 양성을 위해 조성됐다. KEB하나은행, 하나금융투자, 하나카드를 비롯한 그룹 내 전 관계사의 국내 직원 뿐만 아니라 전세계 24개국 190개 글로벌 네트워크에 소속된 해외 직원들이 핵심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요람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청라국제도시에 조성 중인 하나드림타운은 지난 2017년 6월 1단계 사업인 통합데이터센터 구축에 이어 2년 만에 2단계 사업인 하나글로벌캠퍼스를 완공함으로써 지난해 10월 선포한 ‘손님 중심의 데이터 기반 정보회사로의 전환’을 위한 디지털 비전 실현의 기반이 마련됐다.

 

김정태 하나금융 회장은 “하나글로벌캠퍼스는 손님 중심 데이터 기반 정보회사의 초석이 될 디지털 인재를 육성하고 전세계 하나금융그룹 임직원들이 지식과 경험을 소통하고 교류하는 글로벌 허브로서의 기능을 하게 될 것”이라며 “이번에 완공된 하나글로벌캠퍼스가 미래 성장 동력인 전문 금융인력 양성의 핵심기능을 수행해 향후 하나금융그룹이 글로벌 넘버원 금융그룹으로 도약하기 위한 기폭제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하나글로벌캠퍼스는 상암월드컵경기장의 약 5배에 달하는 17만6107㎡(약 5만3000여 평) 규모로 조성된 국내 최대 규모의 연수 시설이다. 교육동과 로비동, 숙소동 등 총 3개동의 건물과 실내체육관, 잔디구장, 글로벌필드로 구성돼 있다.

 

학습과 글로벌네트워킹을 위한 교육동(글로벌 러닝 센터)과 편안한 휴식을 위한 숙소동(하나 오픈 하우스), 그리고 두 공간을 연결하는 로비동(스페이스 원)이 모여 하나금융그룹을 상징하는 ‘H’자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지역사회와 함께 하는 휴머니티(Humanity) 실현의 장으로서 조성된 글로벌 필드(Global Field)는 지구를 10만분의 1로 축소한 대규모 원형 형태의 공원으로 지역주민들에게 휴식 공간이 될 예정이다.

 

또한 하나금융은 지난 4일 하나글로벌캠퍼스의 오픈을 기념해 청라에서 ‘하나 글로벌 페스티벌(Hana Global Festival)’ 행사를 갖고 손님 중심의 데이터 기반 정보회사로서 진정한 글로벌 넘버원 금융그룹으로 도약하기 위한 ‘청라시대’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렸다.

 

이 날 열린 하나 글로벌 페스티벌은 ‘글로벌, 디지털 그리고 휴머니티를 완성하다’ 라는 주제로 ▲세계적인 석학들과 함께하는 글로벌&디지털 컨퍼런스 ▲하나글로벌캠퍼스 오프닝 세레모니(글로벌 식수식) ▲인천시민과 함께 하는 하나 푸른 음악회 ▲어린이날 행사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진행됐다.

 

글로벌&디지털 컨퍼런스에서는 세계적인 투자가 짐 로저스 로저홀딩스 회장, 블록체인의 대가 마이클 케이시 MIT 미디어랩 수석 고문, 구글이 최고의 미래학자로 선정한 토마스 프레이 다빈치 연구소 소장, 언어천재로 불리는 조승연 작가가 함께 했다.

 

가정의 달을 맞아 지역주민들과 함께하기 위해 마련한 ‘하나 푸른 음악회’에서는 싸이, 인순이, 업텐션, 여자친구 등 인기가수들이 축하공연을 펼쳐 ‘함께 성장하며 행복을 나누는 금융’이라는 휴머니티 실현의 장을 마련했다.

 

하나금융은 “이번 하나글로벌캠퍼스의 오픈으로 완성된 하나드림타운 2단계 조성 사업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와 실질적인 부가가치 창출에도 기여할 것”이라며 “마지막 3단계 사업인 그룹 HQ까지 완성되면 명실 공히 대한민국 금융의 글로벌 허브로 자리매김하게 될 청라에서 글로벌 넘버원 금융그룹으로 도약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젊기도 설워라커늘 짐을 조차 지라고 해서야
(조세금융신문=손영남 편집국 부국장) 식당이나 술집 계산대 앞에서 옥신각신하는 모습은 우리에겐 일상과도 같다. 서로 내겠다며 다툼 아닌 다툼을 벌이는 모습이야말로 그간의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모습이었달까. 주머니의 가벼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그런 대범함(?)은 그만큼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깔려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앞으론 그런 훈훈한 광경을 보지 못하게 될 확률이 높다. 요즘의 젊은 친구들, 그러니까 소위 MZ세대라고 불리는 층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가 먹지도 않은 것까지 계산해야 한다는 걸 받아들일 수 없는 이들이 MZ세대다. 누구보다 실리에 민감한 세대인 탓이다. 그들을 비난할 의도는 전혀 없다. 오히려 그게 더 합리적인 일인 까닭이다. 자기가 먹은 건 자기가 낸다는 데 누가 뭐랄까. 근데 그게 아니라면 어떨까. 바꿔 생각해보자. 다른 사람이 먹은 것까지 자기가 내야 한다면 그 상황을 쉬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더구나 그게 자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작금의 연금 개혁안을 두고 MZ세대들이 불만을 토하고 있는 현 상황이 딱 그 꼴이다. 어렵게 번 돈을 노후를 위해 미리 쟁여둔다는 것이 연금의 기본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