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01 (일)

  • 맑음동두천 16.0℃
  • 맑음강릉 17.5℃
  • 맑음서울 19.2℃
  • 맑음대전 16.0℃
  • 맑음대구 18.5℃
  • 맑음울산 17.5℃
  • 맑음광주 19.0℃
  • 맑음부산 20.3℃
  • 맑음고창 15.3℃
  • 구름많음제주 22.1℃
  • 맑음강화 13.6℃
  • 맑음보은 12.6℃
  • 맑음금산 13.4℃
  • 맑음강진군 19.2℃
  • 맑음경주시 15.8℃
  • 맑음거제 17.1℃
기상청 제공

‘면세한도 800달러로 상향’…면세업계, “매출 회복하기엔 턱없는 상향폭”

올해 엔데믹 흐름으로 관광객 점차 늘었지만, 매출 회복세는 ‘미미’
면세한도 상향폭 너무 적어…“매출 상승에 영향 줬다고 보기 힘들어”
중국이 면세업계 매출 90%이상 차지…중국 봉쇄, 매출에 영향 커

 

(조세금융신문=권영지 기자) 정부가 어려움을 겪고있는 면세업계를 지원하기 위해 '2022년 세제개편안'에 면세한도를 현행 600달러에서 800달러로 상향하겠다고 밝혔다.

 

면세업계는 이번 면세한도 상향에 환영하는 분위기지만 코로나19 영향으로 바닥까지 떨어졌던 매출을 끌어 올리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국내 면세점들을 취재한 결과, 팬데믹(감염병의 세계적 유행)에서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 전환에 따라 늘어난 관광객으로 면세업계 매출은 미미하게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 회복 기미가 정부의 면세한도 상향 정책 효과라고 보기는 어렵다.

 

정부 정책이 효과를 보려면, 운선 팬데믹이 잡히고 본격적으로 법안이 시행되는 내년에나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A면세점 관계자는 “매출은 적지만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며 “면세한도가 200달러 오르긴 했지만 25만원 정도밖에 안 되는 금액이라 화장품이나 잡화들을 조금 더 살 수 있는 정도라 매우 아쉽다”고 말했다.

 

B면세점 관계자도 “현재 여름 성수기에 최근 해외 출입국객이 늘어나 매출이 점진적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긴 하다”면서도 “면세한도가 200달러 상향하기로 한 것과 매출 회복세를 연관시키긴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또 “정부가 어려워진 면세업계를 돕기 위해 면세한도 상향 등 규제완화에 나선 것은 칭찬할 일”이라면서도 “특허 수수료 산정 기준이나 역직구 활성화 등 더욱 적극적인 정부 지원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 면세업계 매출 회복세가 더딘 것에는 코로나19에 따른 중국의 봉쇄 영향이 크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A면세점 관계자는 “중국이 국내 면세업계매출의 90%이상을 차지한다”며 “중국 봉쇄가 풀리지 않으면 상황이 쉽게 나아진다고 보기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7월 기획재정부가 공개한 '2022 세제개편안'에는 여행자 휴대품 면세한도를 600달러에서 800달러로 상향한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해당 방안은 국회 논의를 거친 뒤 이르면 내년부터 시행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인터뷰] 팔꿈치 절단 딛고 '요식업계 큰손 등극' 백세장어마을 윤명환 대표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무더운 여름을 지내면서 몸에 좋다는 여러 보양식을 찾게 된다. 장어도 그중 하나다. 부천에서 꽤 많은 손님이 찾는 ‘백세장어마을’은 상동 웅진플레이도시 워터파크 앞에 자리하고 있다. 평일 점심에도 꽤 많은 손님이 이곳을 찾고 있었다. 사업가 윤명환 대표 이야기 백세장어마을 윤명환 대표는 현재 7년째 이곳을 운영하고 있다. 이전 창업자가 5년간 운영한 것을 이어받았으니 합치면 12년째다. 이곳뿐 아니다. 같은 웅진플레이도시 내에 자리한 중식집 ‘The 차이나’도 함께 운영하고 있으며 인천광역시 삼산동에는 고깃집 ‘백세미소가’를 창업해 현재 아들이 운영을 맡고 있다. 요식업계에 발을 디딘 지는 벌써 16년째다. “요식업 창업을 하는 사람들의 70%는 망하고, 20%는 밥벌이 정도 하고, 10%는 성공한다.”라는 말이 있다. 그런 걸 보면 윤 대표는 요식업계에서 나름 성공한 CEO다. 처음 요식업을 시작한 것은 한창 한일월드컵으로 ‘대한민국~’을 외치던 2002년이다. 윤 대표는 당시 매우 절박한 마음으로 요식업계에 첫발을 내밀었다. 이전에 큰돈을 모아 투자했던 의료사업에서 실패한 이후다. 처음에는 직장인으로 출발했다. 인천전문대 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