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3 (목)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기상청 제공

금융

우리금융, 스타트업 프로그램 참여업체 선발…임종룡 “상생디딤돌 역할”

디노랩에 참여할 14개 업체 선발
1년간 무상 사무공간‧투자유치 기회 제공

 우리은행 본점 전경. [사진=우리은행]
▲  우리은행 본점 전경. [사진=우리은행]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우리금융그룹이 스타트업 협력 프로그램에 참여할 업체를 선발했다.

 

23일 우리금융은 스타트업 협력 프로그램 ‘디노랩(DINNOlab)’에 참여할 4기 14개 업체를 선발했다고 밝혔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공정한 심사를 위해 외부전문가를 포함한 총 10명의 평가를 바탕으로 핀테크, 플랫폼, 프롭테크, ESG 등 다양한 분야의 유망 스타트업을 선정했다”며 “우리은행 등 우리금융그룹의 실무자가 심사에 참여해 협업 가능성을 중심으로 유망 기업을 발굴했다”고 전했다.

 

최종 선발된 기업은 닉컴퍼니, 라이트하우스, 리사이클렛저, 빅테크플러스, 엑스바엑스, 왓섭, 웍스메이트, 위닝아이, 이자, 지크립토, 케이알지그룹, 포체인스, 피에로컴퍼니, 하이어엑스 등 총 14개사다.

 

디노랩 4기에 선발된 기업들은 ‘디노랩 제1센터’에 1년 동안 무상으로 사무공간이 제공되며, 우리금융 계열사와 사업협력과 IR 대회를 통한 투자유치 기회도 제공된다.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은 “국내외 협업 창출을 넘어 전략적 투자까지 작동되는 상생의 디딤돌 역할을 하겠다”며, “스타트업과 경계없는 협력으로 기업의 성장과 발전을 함께 이뤄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우리금융은 지난해 우리금융캐피탈을 중심으로 그룹사 펀드를 조성하고, 올해 3월 벤처캐피탈사인 ‘우리벤처파트너스’를 자회사로 편입하는 등 스타트업 대상으로 하는 사업협력 및 투자연계를 강화하고 있다.

 

또 하반기에는 코로나로 중단된 디노랩 베트남센터를 재가동해 해외진출을 희망하는 기업의 교두보 역할도 지원할 계획이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문가 코너

더보기



[김종규 칼럼] 나는 국세청 공무원입니다
(조세금융신문=김종규 본지 논설고문 겸 대기자) 세금 매기고 받아들이는 일에만 죽자살자고 일념으로 직진하다 보니 자기보호는 정작 ‘플랜B’다.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단다. 그런데도 60년이 다 가도록 국세청은 그대로다. 자신을 먼저 감싸기에 인색한 원초적 태생 탓일까. 초대 이낙선 청장 때부터 숱한 혼란스러운 사건, 그리고 납세자의 따가운 시선과 질타가 뒤섞인 비아냥을 당한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그간 과세권인 법적 강제성의 힘을 통해서 과잉과세 남용이 판을 친 추계과세 행정의 질곡 상황이 그대로 풍미(風靡)해 온다. 아날로그 시대의 과세 관행이 씨앗이나 된 듯 빈번한 조사권 남발이 오작동을 일으킨다. 끝내, 그들 탓에 세무비리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전이되듯 번졌던 때도 바로 그때다. 사실 과잉징수행정이 남용되어온 가운데 권위적이고 권력형 과세권 행사가 그 한복판에 혼재되어온 경우도 그 당시에는 드문 일만은 아니다. 과세권자의 추상같은 재량권이 파죽지세로 창궐했던 그 인정과세 때다. 마치 밀도 있게 주도해온 관치 세수 행정의 벽이 너무 높다 보니 세법 조문은 뒷전이고 명문 규정보다는 조사현장의 소득 적출 비율에 더 관심이 컸던 것처럼 말이다. 언필칭, 세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