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은행

[이슈체크] H지수 ELS ‘원금손실’ 우려 확산…현장점검 나선 금감원

내년 만기 도래 물량 중 56% 손실영향권 진입
홍콩H지수 2021년 고점 찍고 반토막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금융감독원이 이번주 내내 KB국민은행 대상 현장 점검을 벌이고 있다.

 

홍콩H지수 하락으로 관련 투자상품의 대규모 손실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는 가운데, 주요 판매처였던 국민은행 대상으로 대응상황 등을 확인하기 위한 차원으로 해석된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이 이번주 국민은행 대상으로 홍콩H지수 관련 주가연계증권(ELS) 손실 현황 파악 차원에서 현장 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ELS는 개별 주식 가격이나 주가지수에 연동해 수익률이 결정되는 상품으로 계약기간 중 기초 자산 가격이 원금손실 구간에 진입하면, 가격 하락폭 만큼 원금 손실을 입을 수 있다.

 

최근 국민은행 비롯 주요 시중은행들이 홍콩H지수 연계 ELS(주가연계증권) 그래프를 초조하게 바라보고 있는 상황이다.

 

◇ 녹인형 ELS 집중된 국민銀

 

홍콩H지수를 기초 자산으로 한 ELS판매 잔액이 현재 기준 약 20조원인데 이중 약 16조원 가량이 은행을 통해 판매됐다.

 

내년 상반기 16조원 중 절반 수준인 8조3000억원 가량이 만기가 도래한다. 그런데 손실 영향권에 진입한 물량이 56%(4조7000억원)에 달한다. 이중 대부분이 국민은행에서 판매됐다.

 

특히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한홍(국민의힘) 의원이 금감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말 기준 은행을 통해 판매된 홍콩H지수 연계 ELS 중 내년 상반기 도래 물량은 KB국민은행(4조7447억원)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신한은행(1조3329억원), 하나은행(7389억원), 농협은행(7330억원), SC제일은행(6187억원) 등이었다.

 

금감원이 해당 사안을 두고 국민은행에 대한 점검을 가장 먼저 시작한 것은 가장 큰 판매처였기 때문이다.

 

문제는 판매규모가 큰 것뿐만이 아니다. 국민은행은 녹인(Knock-in·원금 손실)형 ELS를 집중 판매했고, 손실이 집중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그 만큼 더 높다는 것이다. 내년 상반기 만기가 도래하는 홍콩H지수 연계 ELS 중 국민은행에서 판매된 것 98%가 녹인 구간에 진입한 상태다.

 

그렇다면 현재 홍콩H지수 상황은 어떨까. 2021년 고점인 1만~1만2000선으로 치솟았다가 현재 하반기 중 H지수 흐름은 5800~6000선을 오가며 반토막이 났다.

 

이는 2021년 설정 물량이 대부분 손실 구간에 머무르고 있는 이유다.

 

투자자들이 원금을 보전하기 위해선 ELS 설정 시점 기준치의 60~70% 수준을 회복해야 하지만, 쉽진 않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다만 국민은행 이외 다른 은행들의 경우 노(no)녹인인 물량이 많다. 노녹인 상품은 계약 기간 중 주가가 얼마나 하락했는지와 상관 없이 만기 때 주가 하락 폭이 상품마다 다르고, 하락폭이 50~65%보다 작으면 원금과 이자 모두 회수 가능하다. 이자율은 리스크가 작은 만큼 녹인형에 비해 낮다.

 

한 금융업계 관계자는 본지 취재진에 “2021년 설정 물량 중 대부분 금융사는 노녹인인 물량이 많다”며 “이에 해당된다면 극단적으로 원금손실에 이르는 경우는 많지 않을 수 있으나 불확실성은 여전하다.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금감원은 이번 점검을 통해 국민은행의 홍콩H지수 연계 ELS 잔액 현황, 상품 구조, 대응 상황 등을 살펴보고 있는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젊기도 설워라커늘 짐을 조차 지라고 해서야
(조세금융신문=손영남 편집국 부국장) 식당이나 술집 계산대 앞에서 옥신각신하는 모습은 우리에겐 일상과도 같다. 서로 내겠다며 다툼 아닌 다툼을 벌이는 모습이야말로 그간의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모습이었달까. 주머니의 가벼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그런 대범함(?)은 그만큼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깔려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앞으론 그런 훈훈한 광경을 보지 못하게 될 확률이 높다. 요즘의 젊은 친구들, 그러니까 소위 MZ세대라고 불리는 층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가 먹지도 않은 것까지 계산해야 한다는 걸 받아들일 수 없는 이들이 MZ세대다. 누구보다 실리에 민감한 세대인 탓이다. 그들을 비난할 의도는 전혀 없다. 오히려 그게 더 합리적인 일인 까닭이다. 자기가 먹은 건 자기가 낸다는 데 누가 뭐랄까. 근데 그게 아니라면 어떨까. 바꿔 생각해보자. 다른 사람이 먹은 것까지 자기가 내야 한다면 그 상황을 쉬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더구나 그게 자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작금의 연금 개혁안을 두고 MZ세대들이 불만을 토하고 있는 현 상황이 딱 그 꼴이다. 어렵게 번 돈을 노후를 위해 미리 쟁여둔다는 것이 연금의 기본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