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10 (토)

  • 맑음동두천 24.0℃
  • 구름많음강릉 22.4℃
  • 구름조금서울 24.7℃
  • 흐림대전 24.1℃
  • 구름많음대구 23.7℃
  • 맑음울산 23.6℃
  • 구름조금광주 24.4℃
  • 구름조금부산 23.0℃
  • 구름많음고창 23.8℃
  • 구름많음제주 22.2℃
  • 맑음강화 22.7℃
  • 구름많음보은 22.2℃
  • 구름많음금산 23.2℃
  • 구름많음강진군 24.4℃
  • 맑음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2.7℃
기상청 제공

문화

[이진우의 슬기로운 와인한잔] 무더운 여름 속 산뜻한 매력 어필 “스파클링와인” ②

 

(조세금융신문=이진우 소믈리에) <지난 호에 이어> 

 

지난 호에 이어서 스파클링와인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이번 호에서는 스파클링와인 고르는 법과, 스파클링와인을 시원하게 즐기는 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달고 짜고 맵고… 간이 진하게 배어있는 우리 대한민국 음식은 어떤 스파클링와인이 어울릴까요? 나에게 맞는 스파클링와인을 고르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스파클링와인 당도 ‘이것’으로 확인하자

 

시중에는 드라이한 스타일부터 당도를 머금고 있는 와인스타일까지 여러 가지 다양한 스파클링와인이 있습니다. 당신이 고른 와인 전면 레이블에 ‘Brut’(브뤼)라고만 기재되어 있다면 가장 달지 않은(잔당 0.5g) 와인, 그 다음 너무 드라이 하지 않은 중간급 ‘Extra-Dry’(엑스트라 드라이, 0.5g~1g) 와인, 과실의 단맛이 느껴지는 Dry(잔당 1g) 와인이 있습니다.

 

 

만약 지금 이 3가지 중 어떤 것을 골라야 할지 고민이 된다면 먼저 중간급 Extra-Dry라고 기재되어 있는 와인을 드셔보신 후 보다 더 드라이한 스타일을 원하시면 Brut로, 좀 더 과실감이 진한 당도가 좋겠다 하시면 Dry로 방향을 바꿔 보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이탈리아 스파클링와인 중 상위 라인은 어떤 게 있나요?

 

‘스푸만테(이탈리아어로 스파클링와인) 중 상위 라인은 어떤 게 있나요?’라고 물어 보신다면 Procecco(프로세코)라고 말씀드립니다.

 

프로세코는 이탈리아 북동부에 있는 베네토(Veneto)주, 프리울리 베네치아 줄리아(Friuli-Venezia-Giulia)주에서 생산되는 상품들에 한해서 프로세코라는 명칭에 부여되며 전반적인 스푸만테 스타일보다는 샴페인 양조와 동일한 방법으로 병내 2차 발효를 거치기에 기압이 1.5~2기압 정도 더 높습니다.

 

추가로 스푸만테는 지역별 토착품종을 골고루 쓰지만, 프로세코라는 단어가 보이는 스파클링 와인은 포도품종 Glera(글레라)가 최소 85% 들어가야 합니다. 이 두 가지 스타일의 스파클링은 이탈리아 여행에서 접해보셨거나 잡지나 영화에 나오는 스프리치라는 칵테일을 본 적 있다면 거기에 사용하는 그 스파클링이 스푸만테 또는 프로세코입니다.

 

스파클링와인 제대로 즐기는 법

 

되도록 여름에는 스파클링와인을 오픈 후 바로 잔으로 옮겨가기보다는 약 5~10분 미리 오픈해 놓았다가 드시는 걸 추천 드리며, 길고 가는 잔도 좋지만 잔 볼이 좀 더 둥근 스파클링 잔에 드신다면 순수 스파클링 와인이 가진 매력을 보다 더 즐겁게 즐기실 수 있습니다.

 

테라스가 있는 분위기 좋은 곳에 가신다면 서비스담당자에게 잔 변경 요청을 해보심을 추천 드려 봅니다. 또한 시원하게 칠링된 스파클링을 즐기실 때 일반적으로 빈 잔에 콸콸 부어서 넘쳐나는 기포가 감당 안돼 아까운 한모금이 잔을 타고 흘러내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는 잔을 살짝 기울여서 최대한 잔과 기포의 마찰로 스파클링이 과하게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추천 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스파클링와인은, 아이스버킷 내 스파클링와인을 먼저 넣고 병목까지 얼음이 든 시원한 물을 채워 차갑게 즐기는 게 정석입니다. 외부 온도가 높은 여름에 와인병 반만 차갑게 준비하면 나머지 닿지 않은 부분은 얼음물과 닿아 있는 와인과 온도차이가 커서 풍미 차이가 날 수도 있습니다. 특히 여름에는 그러한 일이 많으니 스파클링와인 드실 때 참고하시면 좋을 듯합니다. 무더운 여름 한 잔의 스파클링 와인과 함께 잠깐의 여유를 즐겨 보심을 꼭 추천 드립니다.

 

[프로필] 이진우

• ShinsegaeL&B 재직중(Hotel/Fine Dinning 전문 세일즈 및 교육)
•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생물공학과 와인양조학 석사)
• 한국 소믈리에 협회 홍보실장 역임
• Germany Berlin Wein Trophy 심사위원 역임
• 한국직업방송 ‘소믈리에 가치를 선사하다’ 출연
• 전) The Classic 500 Pentaz Hotel Sommlier 근무
• 전) Grand Hyatt Seoul Hotel 근무
• 전) Swiss Kirhoffer Hotel 근무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칼럼] 히로시마 G7 정상회담 초청받은 한국, 진짜 실리는 지금부터
(조세금융신문=이상현 편집국 부국장) 선진 7개국 정상회담(G7)이 일본 히로시마에서 지난 21일 막을 내렸다. 예상대로 국내에서는 여야가 상반된 평가를 내렸다. 집권 국민의힘은 ‘실리외교를 위한 윤석열 정부의 노력이 결실을 맺기 시작했다’고 평가했다. 윤 대통령이 다자회의에서 G7과의 협력을 통해 취약국과 개발도상국을 지원하기로 하는 등 글로벌 중추국가 위상을 보여줬다는 것이다. 반면 야당은 ‘그림자에 그친 들러리 외교’였다고 비판했다. 윤 대통령이 후쿠시마 오염수와 수산물 문제에 침묵했다는 지적이 비판의 주된 초점이었다. 여야 각각의 평가에서 한걸음 물러나 G7 회원국 전체의 성과를 보자면 국제관계의 진영화를 돈독히 해서 ‘신냉전’의 공고화를 꾀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한때 지구촌 의제를 이끌던 G7이 2023년에는 크게 저하된 모습이다. 우선 금융 및 경제 안정을 위해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자임했던 G7 국가들은 2023년에 찾아 볼 수 없다. 2008년 금융위기 당시에도 극명해진 것처럼, 회원국 내의 의견 불일치는 명백히 드러나 버렸다. G7은 최근 몇 년간 경제는 물론 국제정치, 외교 영역에 그다지 큰 존재감을 보여주지 못했다. 중국과 인도 등의 급성
[초대석] 정재열 제27대 신임 한국관세사회장, "관세사 업무영역 확대에 총력"
(조세금융신문=대담 이지한 편집위원, 촬영 김종태 기자) 한국관세사회는 지난 3월 29일 개최된 47차 정기총회에서 서울본부세관장 출신의 정재열 후보를 제27대 회장으로 선출했다. 정재열 회장은 한국관세사회 역대 최대로 5명의 회장 후보가 치열한 경쟁을 벌인 끝에 35.9%의 득표율로 다른 후보들을 제치고 회장에 당선됐다. 정 회장은 회원들을 만나 많은 의견을 나누고 있다면서 회원들의 가장 큰 고충은 무엇보다 관세사 업역과 시장 규모의 확대라고 말했다. AI 등의 출현으로 관세사업계에도 큰 변화가 다가오면서 회원들은 절박함 속에 위기감을 느끼고 있어 기존 관세사 업무 외에 영역으로의 확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다짐이다. 한국관세사회관을 찾아 정재열 회장을 만났다. <편집자주> Q. 먼저 제27대 한국관세사회장으로 당선되신 것을 축하드립니다. 회원과 독자들에게 감사 인사를 전해주시죠. A. 축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당선 이후 정말 많은 분께서 축하해 주셨습니다. 이 자리를 빌려 다시 한 번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관세사업계가 처한 여러 현안이 많고 어려운 시기에 회장을 맡아 개인적으로 영광인 반면 동시에 막중한 책임감도 느끼고 있습니다. 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