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프=직방]](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250626/art_17506409504608_b39144.png)
(조세금융신문=이정욱 기자) 올 하반기 아파트 입주가 10만 가구로 급감하면서 공급 공백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강남·도심권 재개발 대단지를 중심으로 희소성이 부각되며 주택 시장 양극화가 심화될 전망이다.
직방에 따르면, 2025년 하반기 전국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은 총 10만323세대로, 상반기(14만 537세대) 대비 29%, 전년 동기(16만3977세대) 대비 39% 줄어든 수치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이 5만2828세대로, 상반기 대비 12% 줄었다. 서울은 1만4043세대로 전반기보다 20%, 인천은 8,406세대로 27% 감소했으며, 경기도는 3만379세대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지방은 감소폭이 더 크다. 총 4만7495세대가 입주해 상반기(8만215세대) 대비 41% 줄었다. 특히 대전, 경남 등에서 눈에 띄게 입주물량이 감소할 전망이다.
월별로는 7~10월까지 월 2만 세대 이하의 물량이 공급되다, 11~12월에는 월 2만2000세대 수준으로 증가한다. 특히 연말엔 서울 동대문, 광명 등 수도권 주요 지역에서 대단지 입주가 예정돼 있다.
서울에서는 ▲동대문구 4169세대(이문아이파크자이) ▲송파구 2727세대(잠실래미안아이파크) ▲성동구 1882세대 ▲강남·서초 지역(청담르엘, 래미안원페를라 등)에서도 고급 정비사업 단지들이 대거 입주에 나선다.
경기권에서는 평택(6949세대), 광명(5542세대), 화성, 오산, 일산동구 등에 대규모 단지가 입주한다. 이 중 광명자이더샵포레나(3585세대), 광명센트럴아이파크(1957세대)는 재개발 사업지로 지역 내 공급 축소 구간에서 주목받고 있다.
인천에선 서구(2944세대), 계양구, 미추홀구, 연수구 등에서 검단·청라 택지개발지구 내 단지들이 입주를 앞두고 있다.
지방은 대구(7467세대), 충북(7063세대), 충남·전북·경북·경남 등지에서 입주가 예정돼 있다. 대구 두류역자이, 상인푸르지오센터파크, 충북 음성자이센트럴시티, 청주지역 대단지 등이 대표적이다.
입주 물량이 줄어드는 가운데, 7월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3단계 규제 확대를 앞두고 매수·전세 수요가 일시적으로 몰리면서 서울 아파트값은 단기적으로 상승 흐름을 보이고 있다.
특히 하반기 공급 공백은 전세시장뿐 아니라 매매시장에도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다만 입주 시점이 지역별로 분산돼 있고, 연말에 물량이 집중되는 만큼 지역에 따라 전세 수급 상황과 가격 흐름이 엇갈릴 가능성도 있다.
실제로 지난해 11월 송파구에 입주한 ‘올림픽파크포레온’(1만2032세대)의 경우, 대규모 입주에도 불구하고 전세 수요가 빠르게 유입되며 시장 충격 없이 안착한 바 있다. 이번 하반기 역시 입주 감소가 단일한 리스크로 작용하기보다는, 지역별 수요 여력과 선호도에 따라 반응이 엇갈릴 것으로 보인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