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1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기상청 제공

문화

[詩가 있는 아침]그리운 이 그리워

시인 오세영, 낭송가 박경애

 

그리운 이 그리워_오세영

 

그리운 이 그리워 마음 둘 곳 없는 봄날엔

홀로 어디론가 떠나 버리자

사람들은

행선지가 확실한 티켓을 들고

부지런히 역구를 빠져 나가고 또

들어오고,

이별과 만남의 격정으로 눈물짓는데

방금 도착한 저 열차는

먼 남쪽 푸른 바닷가에서 온 완행

실어 온 동백꽃잎들을

축제처럼 역두에 뿌리고 떠난다

나도 과거로 가는 차표를 끊고 저 열차를 타면

어제의 어제를 달려서

잃어버린 사랑을 만날 수 있을까

그리운 이 그리워

문득 타 보는 완행열차,

그 차창에 어리는 봄날의

우수

 

 

[시인] 오 세 영

1942년 전남 영광 출생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동 대학원 졸업(문학박사)

1965년 ~1968년 《현대문학》에 작품이 추천되어 등단

시집 『반란하는 빛』 『가장 어두운 날 저녁에』 『모순의 흙』 『무명연시』 『불타는 물』

『사랑의 저쪽』 『신의 하늘에도 어둠은 있다』 『꽃은 별을 우러르며 산다』

『어리석은 헤겔』 『벼랑의 꿈』 『적멸의 불빛』 『시간의 쪽배』

평론집 『한국낭만주의 시 연구』 『20세기 한국시 연구』 『한국현대시의 해방』

『상상력과 논리』 『문학연구방법론』

산문집 『꽃잎우표』와 시론집 『시의 길 시인의 길』 등

한국시인협회상(1983), 녹원문학상(평론부문, 1984), 소월시문학상(1986),

정지용문학상(1992), 편운문학상(평론부문, 1992), 공초문학상(1999), 만해시문학상(2000) 수상

 

[시감상] 양 현 근

봄은 생명의 계절이다.

앞 뒷산 다투어 피어나는 봄꽃들이며

이름 모를 산새들마저 사랑을 노래하느라 부산하다.

가슴 시리도록 아름다운 봄날,

하물며, 보고싶은 이 보고 싶고

그리운 이 더 많이 그립지 않겠는가

과거로 떠나는 기차표를 끊을 수만 있다면

잃어버린 옛사랑과도 만날 수 있을까

꿈길 따라 흐르는 봄날의 완행열차가

동백꽃잎을 뿌리며 어디론가 떠나간다.

 

[낭송가] 박 경 애

광주빛고을 전국시낭송대회 대상
전국시조낭송대회 대상
방송대 스터디 시낭송강사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김우일의 세상 돋보기] 격동과 혼동을 이기는, 통통정정기기직직학학(統統政政企企職職學學)
(조세금융신문=김우일 대우M&A 대표) 작년 12월에 느닷없이 터진 비상계엄, 그리고 탄핵, 대선, 그에 따라 벌어진 국민 간의 분열과 혼란은 그야말로 우리 대한민국을 격동의 아수라장으로 내몰리게 했다. 이 여파로 경제는 곤두박질, 어려워진 민생과 불투명한 미래로 인해 모든 국민들의 마음 속은 불안과 두려움으로 새까맣게 타고 들었다. 누구를 만나던 정치 얘기 끄집어내면 서로 얼굴을 붉히고 가족 간에도 정치 얘기로 언쟁이 높아지고 사람들 간의 교류가 화기애애보다는 앙앙불락의 분위기가 드세다. 드디어 새로운 정치권력을 선택하기 위한 대선의 여정이 바야흐로 끝나 엄정한 국민들의 선택에 따라 새정부가 들어섰다. 새정부의 과제는 무엇일까? 독립투사인 김구 선생은 평소 얘기한 나의 소원으로 첫째 독립, 둘째도 독립, 셋째도 완전한 독립이라 천명했다. 이 시국에 우리 국민들의 소원도 첫째 민생, 둘째도 민생, 셋째도 안정된 민생이라 천명하고 싶을 정도로 국민들 개개인의 생활안전과 소득이 대내외적의 변수로 인해 앞날을 가름하길 힘들 정도로 암울하다. 온갖 학자와 정치가들이 짖어대는 경제회복의 전략을 보면 하늘의 뜬구름 잡는 미사여구의 입방아에 불과하다. 필자는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