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8 (월)

  • 맑음강릉 33.9℃
기상청 제공

문화

[詩가 있는 아침]호수에 내 마음이 흐른다

 

호수에 내 마음이 흐른다/ 김영주

 

호수의 숨결이 윤슬에 비치는 날

풀잎을 닮은 가녀린 모습으로 호수 가에 서면

수면 위 잔잔하게 퍼져가는 물결로

생명을 불어넣는 숲길에 싱그러운 바람이 인다

 

버거운 시간의 텃밭에서 한 동안 잊고 있다가도

햇살이 설레게 비단결처럼 좋은 날이면

가슴에 품고 살아온 네 모습이

못 견디게 보고픈 모습 되어 호수에 아롱 그린다

 

잔잔한 호수는 쓸쓸한 인생의 마음과 같아

생각과 기쁨과 사랑은 삶의 물과 같아

흘러가는 세월 맑은 소중한 물을 채워야지

맑게 채워지지 않으면 생명을 잃은 호수가 되잖아

 

파아란 하늘 아래 나는 철새 때가

어디론가 흘려가는 흰 구름 따라 이야기 나누며

네가 그리울 때 눈시울 적시며 바라보는

푸른 산 아래 맑은 호수 위 하늘을 맴돌며 날고 있다.

 

 

[시인] 김영주

부산 거주

대한문학세계 시 부문 등단

(사)창작문학예술인협의회 회원

대한문인협회 부산지회 기획국장

 

 

[시감상] 박영애

잔잔하게 흘러가는 호수를 바라보면서 바쁜 삶 속에 잠시 쉼 하기도 하며, 마음을 들여다보기도 한다. 때로는 그 호수를 보는 자체만으로 힐링이 되는 순간이 참 좋다. 그러나 가끔 부유물이 고여 있는 호수를 보면 나도 모르게 미간이 찌푸려지고 마음마저 답답함을 느끼게 된다. 우리의 삶도 그런 것 같다. 무언가 꾸준히 움직이면서 더 나은 삶을 만들기 위해 끊임없이 생각하고 실천하고, 또 반성하면서 삶을 돌아보는 시간이 참 중요하다. 어느 한순간에 멈춰 아무것도 하지 않고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 것에 두려움만으로 문을 열지 않는다면 어느새 고집과 아집의 불순물이 하나둘 쌓여 마음을 가득 채울 것이다. 고여 있는 물은 썩게 마련이다. 우리의 삶이 고인 물이 아닌 흐르는 물처럼 깨끗하고 맑은 물이 되길 희망한다.

 

[낭송가] 박영애

충북 보은군 거주

대한문학세계 시 부문 등단

(사)창작문학예술인협의회 부이사장

대한문인협회 정회원

(현) 시인, 시낭송가, MC

(현) 대한창작문예대학 시창작과 교수

(현) 대한문학세계 심사위원

(현) 대한문인협회 금주의 시 선정위원장

(현) 시낭송 교육 지도교수

(현) 대한시낭송가협회 회장

(현) 문화예술 종합방송 아트TV '명인 명시를 찾아서' MC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상법 개정, ‘주주권 강화’ 명분에 가려진 기업 현실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지난 7월 3일, 기업 경영의 틀을 바꾸는 1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공포된 개정안에는 이사의 충실의무 명문화, 독립이사 제도 강화, 감사위원 선임 시 3%룰 확대,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번 상법 개정안은 단순한 법 조항의 손질을 넘어, 기업 지배구조의 권력 중심이 경영진에서 주주로 옮겨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추가로 논의 중인 법안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집중투표제 확대, 배임죄 적용 요건 정비 등 주주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재벌 중심의 폐쇄적 지배구조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가운데, 이번 개정은 우리 기업 환경이 '주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늘 그렇듯, 제도의 의도가 현실에서 그대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한 것은 자본시장에서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그간 다수의 이사들이 ‘회사를 위한 결정’이라며 무책임하게 의사결정을 내리고, 손실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해 왔던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법의 칼날은 양날이다. 충실의무가 자칫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