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고용노동부, 연차유급휴가 관련 행정해석 변경 주요 Q&A

 

(조세금융신문=홍채린 기자) 고용노동부는 근로기준법 제60조제1항에 따른 '1년간 80%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주어지는 15일의 연차휴가'에 대한 행정해석을 변경하여 16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연차유급휴가 관련 행정해석 변경 주요 Q&A'를 정리해봤다. 

 

Q. 연차휴가제도란? 

연차휴가는 ① 과거 성실하게 근로한 근로자에 대한 보상으로서

② 휴식의 기회를 유급으로 제공하는 근로기준법상의 제도를 말한다. 

 

사용자는 1년간 80%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계속근로 1년 미만 또는 1년간 80%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는 1개월 개근 시마다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따라서 입사 후 1년 미만일 때는 1개월에 1일씩 연차가 주어진다. 11개월까지 최대 11일이다.

 

근속기간이 1년이 되고 그중 80% 이상 출근하면 2년 차에 사용할 15일의 연차가 추가로 주어진다. 

 

과거에는 1년간 80% 이상 출근으로 받은 2년차의 15일 연차에서 1년차에 사용한 연차만큼 제외하는 조항이 있었으나 2017년 11월 28일 기준 근속기간 2년 미만 근로자의 휴가권을 보장하기 위해 삭제되었다.

 

현재는 입사 후 1년 미만일 때 1개월 개근 시마다 주어지는 최대 11일 이외에, 1년간 근로를 마치고 그 중 80% 이상 출근하면 2년 차에 사용할 15일을 별도로 주도록 규정하고 있다. 

 

즉, 입사 후 1년 미만이면 1개월 개근마다 한달에 한번씩 1일의 유급휴가가 주어진다. 1년간 근로를 마치고 나서, 그 중 80% 이상 출근하면 2년차에 15일이 주어져 총 26일이 생긴다. 

 

Q. 연차휴가와 연차 미사용 수당의 관계는? 

 

근로자가 연차휴가를 사용하지 않고 금전으로 받는 보상은 '연차 미사용 수당'이라고 한다. 

 

연차휴가 제도의 취지를 고려하면 '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기회'가 먼저 주어지고, 이를 사용하지 않을 때 수당으로 청구하는 것이 원칙이다. 

 

따라서 전년도 1년간 80% 이상 출근으로 주어진 15일 연차휴가는 금년 1년간 사용할 수 있다. 금년 주에 사용하지 않으면 내년엔 그 미사용 연차 일수만큼을 수당으로 청구할 수 있었다. 소멸시효는 3년이다. 

 

또한 금년 중에 퇴직 등으로 근로관계까 종료되는 경우에는 그동안 사용하지 못한 일수만큼을 미사용 수당으로 청구할 수 있다.

 

다만, 전년 1년간(365일)의 근로를 마치고 바로 퇴직하거나 연초에 퇴직하는 경우에는, 연차를 사용할 수 있는 날이 아예 없거나 부족하므로 그 미사용 연차 수당을 얼마나 인정해 주어야 하는지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에 고용부는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① '수당청구권'은 휴가사용권에 부수되는 권리로서, 먼저 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날이 있어야 하고, 그 휴가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 수당으로 청구할 수 있다는 해석이 있었다. 과거 근로에 대한 보상도 고려하고, 휴식권도 모두 고려하는 것이다. 

 

② 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날이 있었는지와는 관계없이 일단 휴가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면 곧바로 “수당 청구권”이 인정된다는 해석이다. 이는 과거 근로에 대한 보상적 측면을 중시한 것이다. 

 

이에 21.10.14. 대법원은 1년(365일) 근로 후 퇴직한 계약직 근로자의 경우 1년간 80% 이상의 출근율 요건을 충족했다 하더라도 그 1년의 근로를 마친 다음날 근로자의 지위에 있지 않아 15일의 연차가 발생하지 않고, 연차 미사용 수당도 청구할 수 없다고 보았다. 

 

Q. 기존 고용부 행정해석과 이번 대법원 판결은 차이점은?

1년간 80% 이상 출근 시 주어지는 15일 연차에 대한 미사용 수당에 대해 대법원은 366일째 근로관계가 있어야 청구 가능, 우리부는 365일 근로했으면 청구 가능하다고 본 것이다. 

 

이 쟁점은 근로기준법 제60조①에 따른 "사용자는 1년간 80%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는 규정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의 문제였다.

 

대법원은 1년간 80% 이상 출근했다 하더라도 "연차휴가를 사용할 권리는 그 전년도 1년간의 근로를 마친 다음 날 발생"하므로 366일째에 근로자의 지위에 있지 않은 1년 계약직 근로자는 연차 미사용 수당을 청구할 수 없다고 본 것이다. 

 

반면, 고용부는 근로기준법 규정의 법문과 2005년 대법원 판결의 취지에 따라 “1년(365일) 계약직”으로 근로하고 바로 퇴직하더라도 그 1년 중 80% 이상 출근율 요건을 충족했다면, 그에 대한 보상으로서 15일 연차가 주어지는데, 퇴직을 하면 이를 사용할 수는 없지만 15일분의 연차 미사용 수당 청구는 가능하다고 본 것이다. 

 

Q. 그동안 고용부가 '1년 계약직'으로 근로하고 퇴직한 경우 최대 26일분의 연차 미사용 수당을 청구할 수 있다고 본 이유는?

05.5.27. 대법원 판결에 따라 06.9.21. 행정해석을 변경한 바 있다.

 

그 내용은 1년간 근로하면서 80% 이상의 출근율 요건을 충족했다면 바로 퇴직하더라도 연차휴가를 사용할 수는 없지만, 그 미사용 연차를 수당으로 청구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한편 17.11.28. 근로기준법이 개정되어, 2년차 연차 15일에서 1년차에 사용한 연차일수를 뺴도록 했던 규정이 삭제되어, 1년차 최대 11일의 연차가 별도로 주어지게 된 것이다. 

 

이에 따라 '1년 계약직'은 1년간 80%이상 출근율 충족으로 주어지는 15일의 연차와 별도로 1년차에 매월 개근 시마다 1일씩 11일의 연차가 별도로 주어지는데, 만약 그동안 발생한 연차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퇴직하는 경우에는 결과적으로 그 전부를 수당으로 청구할 수 있다고 보았던 것이다. 

 

Q. 이번 행정해석 변경의 주요 내용은? 

21.10.14. 대법원 판결의 취지에 따라 전문가 자문을 거쳐 변경한 행정해석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차유급휴가청구권‧수당‧근로수당과 관련된 지침'을 개정했다. 

 

➊ 근기법 제60조①의 연차휴가 사용 권리는  전년도 1년간 근로를 마친 다음 날 발생한다.

제60조②의 연차휴가 사용 권리도 1개월의 근로를 마친 다음 날 발생한다. 

 

➋ 정규직‧계약직 모두 1년(365일) 근로 후 퇴직하면 제60조①의 15일 연차 미사용 수당을 청구할 수 없고, 다음 날인 366일째 근로관계 존속 후 퇴직하면 15일 연차 전부에 대해 수당 청구 가능하다. 

 

제60조②의 연차휴가도 그 1개월 근로를 마친 다음 날 근로관계 존속 후 퇴직해야 퇴직 전월의 개근에 대한 연차 미사용 수당 청구 가능하다. 

 

➌ 정규직이 마지막 근무하는 해 1년(365일) 근무하고 퇴직하는 경우, 80% 출근율을 충족하더라도 제60조①‧④의 연차휴가‧가산휴가에 대한 미사용 수당 청구 불가하다. 

 

Q. 1년 1일을 근로하고 퇴직한 근로자의 연차휴가일수는?

이 경우 1년의 근로를 마친 다음날(366일째) 근로관계가 있으므로 1년 미만일 때 1개월 개근 시마다 주어지는 연차 최대 11일(제60조제2항)과 함께, 1년간 80% 이상 출근율 요건을 충족함에 따라 주어지는 15일의 연차(제60조제1항)도 확정적으로 발생하여 최대 26일이 된다. 

 

조건은 △ (제60조제1항) 1년간 출근율 80% 이상△ (제60조제2항) 입사일로부터 1개월 단위 개근(결근이 없는 경우)이다. 

 

이에 따라 근로자가 1년 1일을 근로하고 퇴직할 경우, 미사용한 연차휴가 모두(최대 26일)를 수당으로 청구할 수 있는 것이다. 

 

Q.  만 7개월 근로(예: 1.1∼7.31.) 후 퇴직한 경우 발생되는 연차휴가일수는?

제60조제2항에 따라 1년 미만인 근로자가 1개월 개근 시마다 발생하는 1일의 연차휴가도 그 1개월의 근로를 마친 다음날 근로관계가 있어야 한다. 

 

따라서, 7개월째 개근한 경우라도 그 다음날 근로관계가 없으므로 연차휴가일수는 최대 6일만 발생한다. 

 

Q. 만 3년 근로(예: ’21.1.1.∼’23.12.31.)하고 퇴직한 경우 마지막 1년에 대한 연차휴가 및 가산휴가는?

만 3년 근로했다면 그 마지막 해의 다음날 근로관계에 있지 않으므로 마지막 1년간 80% 이상 출근율에 따른 연차휴가는 발생하지 않는다.

 

같은 조 제4항에 따른 가산휴가도 발생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마지막 해의 근로에 따른 연차휴가와 가산휴가에 대한 미사용 수당을 청구할 수 없다.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3년 이상인 근로자에 대해서는 최초 1년을 초과하는 매 2년마다 1일씩 가산하여 유급휴가를 부여하며, 가산휴가를 포함한 총 휴가 일수는 25일을 한도로 한다. 

 

Q. 연차휴가 사용 촉진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은?

지방관서 근로감독관이 사업장을 지도‧점검하는 경우 연차휴가 사용 실태를 살펴보고, 적극적인 활용을 지도하며 연차휴가 사용 촉진 제도에 대한 안내도 할 계획이다. 

 

아울러 본부 차원에서도 제도에 대한 안내‧홍보를 추진하여 근로자의 휴식권이 보장되도록 노력할 예정이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인터뷰] 임채수 서울지방세무사회장 권역별 회원 교육에 초점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임채수 서울지방세무사회장은 지난해 6월 총회 선임으로 회장직을 맡은 후 이제 취임 1주년을 눈앞에 두고 있다. 임 회장은 회원에게 양질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지방회의 가장 큰 역할이라면서 서울 전역을 권역별로 구분해 인근 지역세무사회를 묶어 교육을 진행하고 있어 회원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올해 6월에 치러질 서울지방세무사회장 선거 이전에 관련 규정 개정으로 임기를 조정해 본회인 한국세무사회는 물론 다른 모든 지방세무사회와 임기를 맞춰야 한다는 견해도 밝혔다. 물론 임원의 임기 조정을 위해서는 규정 개정이 우선되어야 하지만, 임기 조정이라는 입장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은 처음이라 주목받고 있다. 임채수 회장을 만나 지난 임기 중의 성과와 함께 앞으로 서울지방세무사회가 나아갈 길에 대해 들어봤다. Q. 회장님께서 국세청과 세무사로서의 길을 걸어오셨고 지난 1년 동안 서울지방세무사회장으로서 활약하셨는데 지금까지 삶의 여정을 소개해 주시죠. A. 저는 1957년에 경남의 작은 시골 마을에서 8남매 중 여섯째로 태어났습니다. 어린 시절에는 대부분 그랬듯이 저도 가난한 집에서 자랐습니다. 그때의 배고픈 기억에 지금도 밥을 남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