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기상청 제공

정치

[김우일의 세상 돋보기] 윤핵관 등 권력 측근들의 ‘무서운 힘’

(조세금융신문=김우일 대우M&A 대표) 대통령으로서는 생소한 뼛속까지 검찰인 새로운 대통령이 탄생한 가운데 우리 국민들 입과 귀를 맴돈 주요 단어는 이른바 ‘윤핵관’이란 말일 것이다.

 

지금까지 국어사전에도 없었던 새로운 세 글자가 알게 모르게 관심을 증폭시킨 것은 이 글자가 내포한 숨어있는 의미가 정치호사가들의 흥미를 극적으로 유발시키기 때문이다.

 

윤핵관이란 윤석열 핵심 관계자란 의미를 세 글자로 압축 표현한 것인데 묘하게도 어감상 핵폭탄 같은 가공할 힘을 무언중에 뿜어내는 것 같다. 즉 쉽게 얘기하면 권력 측근을 뜻한다.

 

측근(側近)을 풀이하면 재미있다. 사람(人)에게는 법칙(則)이 있는데 물건을 저울로 달 때 저울 추(斤)를 옮긴다(辶)는 뜻이다. 권력자도 사람이기에 의사결정의 과정을 자기의 가까운 측근들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판단하기 마련이다.

 

이 측근을 바라보는 눈은 두 개가 존재한다. 하나는 권력자가 바라보는 측근에 대한 눈이고, 다른 하나는 제3자가 바라보는 측근에 대한 눈이다. 이 두 눈에 비친 측근은 서로 다를 수 있다. 그래서 권력자가 인정하지 않는 측근임에도 제3자가 인정하는 측근이 존재할 수 있고 또 그 반대의 경우도 생길 수 있기에 과연 누가 측근이냐는 물음에는 때와 장소와 보는 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래서 측근이란 항상 가변적이고 애매모호해 섣부른 결과를 초래하기도 하고 국가질서를 해치게도 할 수 있다. 측근의 폐해를 적나라하게 표현한 사례를 소개해 본다.

 

조선말기 대원군 이하응은 철종과는 6촌 간, 사도세자의 증손자인 어엿한 왕족이었지만 당시 권력가인 안동 김씨의 냉대로 생활이 초라하기 그지없었다. 궁핍한 생활을 눈여겨본 마을의 머슴 총각이 때마다 이하응의 집 앞에 쌀주머니를 가져다 놓아 그나마 끼니를 때우고 있었다.

 

그러나 철종에게서 후사가 없고 이하응의 어린 아들이 왕위에 오르고 섭정이라는 명분으로 모든 권력을 손에 쥐자 그는 온갖 폐단을 철폐하고 정치쇄신을 단행했다. 모든 고관대신들이 대원군 앞에 엎드리고 있었다. 이때, 대원군은 자기에게 쌀주머니를 가져다 준 머슴 총각을 불렀다. 홀어머니를 모시고 어렵게 머슴생활을 하던 총각은 천하를 호령하는 대원군이 부르자 황급히 달려갔다.

 

머슴이 대령하자 고관대신들이 부복하고 있는 거실로 들어오게 했다. 대원군은 머슴을 가까이 오게 해 귓속말로 얘기했다.

 

모든 대신들이 초라한 차림의 머슴 귀에 대원군이 귓속말을 하니 그 내용이 궁금하고 의아했다. 그 귓속말은 다음과 같았다.

 

“이보게 총각. 오늘 밤에는 자네 모친을 내 침실에서 시중들게 하면 어떤가?“

“대감마님, 무슨 당치도 않은 말씀을 하십니까? 당장 거두어 주십시오.” 

 

부복한 대신들은 도대체 천하의 대원군이 귓속말로 무슨 말을 했는지 알 수가 없었고 그보다 초라한 머슴이 큰소리로 나는 새도 떨어트린다는 대원군을 나무라는 상황을 어이없이 바라보고만 있었다.

 

다음날 그 머슴 총각의 허물어지는 초가집 앞에는 고관대신들이 보낸 쌀가마가 산을 이루었다. 대원군은 이렇게 해서 그 머슴총각에게 은혜를 갚았다. 이 이야기는 권력의 측근이라는 개념이 얼마나 무서운 힘을 발휘하는지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측근이라는 개념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 보이지 않는 것이 보여지는 것보다 더 큰 오판을 일으키고 기대심을 만발시킨다. 권력을 가진 사람이 경계해야 할 항목이다.

 

※ 본 칼럼은 필자 개인 의견으로 본지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프로필] 김우일 대우김우일경영연구원 대표/대우 M&A 대표

•(전)대우그룹 구조조정본부장

•(전)대우그룹 기획조정실 경영관리팀 이사

•인천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박사

•서울고등학교, 연세대 법학과 졸업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상법 개정, ‘주주권 강화’ 명분에 가려진 기업 현실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지난 7월 3일, 기업 경영의 틀을 바꾸는 1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공포된 개정안에는 이사의 충실의무 명문화, 독립이사 제도 강화, 감사위원 선임 시 3%룰 확대,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번 상법 개정안은 단순한 법 조항의 손질을 넘어, 기업 지배구조의 권력 중심이 경영진에서 주주로 옮겨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추가로 논의 중인 법안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집중투표제 확대, 배임죄 적용 요건 정비 등 주주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재벌 중심의 폐쇄적 지배구조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가운데, 이번 개정은 우리 기업 환경이 '주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늘 그렇듯, 제도의 의도가 현실에서 그대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한 것은 자본시장에서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그간 다수의 이사들이 ‘회사를 위한 결정’이라며 무책임하게 의사결정을 내리고, 손실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해 왔던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법의 칼날은 양날이다. 충실의무가 자칫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