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김병훈 LG전자 부사장, 오는 13일 ‘제34회 해동기술상’ 수상

LG전자 R&D 총괄 최고기술책임자로서 혁신 주도 및 시장 선도 기여
3000건 이상 핵심 표준기술 직접 발명해 국내외 특허 출원한 발명가

(조세금융신문=김필주 기자) 김병훈 LG전자 CTO(최고기술책임자) 부사장이 오는 13일 대한전자공학회가 수여하는 ‘제34회 해동기술상’을 수상한다.

 

해동기술상은 해동과학문화재단을 설립한 고(故) 김정식 대덕전자 회장이 전자공학 분야의 학문과 기술 발전에 큰 업적을 쌓은 인재들에게 수여하기 위해 제정한 상이다.

 

10일 LG전자측은 “김병훈 CTO는 차세대 기술 및 표준 개발과 특허권 확보를 주도하는 과정에서 R&D 혁신을 통해 국가 기술 경쟁력 제고에 공헌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지식재산권 보유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올해 수상자로 선정됐다”고 전했다.

 

LG전자에 따르면 김병훈 CTO는 지난 30여년 간 다양한 ICT 기술 분야를 연구 개발한 글로벌 기술 리더로 평가받고 있다. 그는 이동통신용 반도체 팹리스 기업인 GCT세미컨덕터(GCT Semiconductor), 퀄컴 등에서 반도체 기술 개발 전문가를 역임한 데 이어 지난 2008년 LG전자에 합류해 반도체 기술 개발, 통신, IoT 등의 분야에서 선행 기술 연구를 주도해왔다.

 

또 2021년부터는 LG전자의 R&D를 총괄하는 최고기술책임자로서 CTO부문을 이끌며 5G/6G 통신, AI(인공지능), 로봇, SoC(System on Chip), SW플랫폼, 모빌리티, 차세대 컴퓨팅 등 다양한 미래 기술 분야의 선행 연구개발을 주도해 진행하고 있다.
 
이외에도 김병훈 CTO는 다양한 핵심 통신표준 기술을 직접 발명하고 국내‧외 3000여건의 특허를 출원하며 발명가 개인으로서 공적도 높게 평가받고 있다. 

 

김병훈 CTO는 국가 산업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 받아 지난 5월 ‘제59회 발명의 날’ 행사에서 최고 수상 영예에 해당하는 금탑산업훈장을 받았다. 이에 앞서 지난 2020년에는 160여 개국 40만명 이상의 회원을 보유한 국제전기공학회(IEEE)에서 전기·전자·컴퓨터·통신 분야 0.1% 최상위 전문가에게만 주어지는 펠로우(Fellow)로 선정되기도 했다.

 

이같은 김병훈 CTO의 행적은 LG전자가 세계 최고 수준의 특허 경쟁력 확보와 지속적인 혁신으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데 밑거름이 됐다는게 회사측 설명이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젊기도 설워라커늘 짐을 조차 지라고 해서야
(조세금융신문=손영남 편집국 부국장) 식당이나 술집 계산대 앞에서 옥신각신하는 모습은 우리에겐 일상과도 같다. 서로 내겠다며 다툼 아닌 다툼을 벌이는 모습이야말로 그간의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모습이었달까. 주머니의 가벼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그런 대범함(?)은 그만큼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깔려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앞으론 그런 훈훈한 광경을 보지 못하게 될 확률이 높다. 요즘의 젊은 친구들, 그러니까 소위 MZ세대라고 불리는 층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가 먹지도 않은 것까지 계산해야 한다는 걸 받아들일 수 없는 이들이 MZ세대다. 누구보다 실리에 민감한 세대인 탓이다. 그들을 비난할 의도는 전혀 없다. 오히려 그게 더 합리적인 일인 까닭이다. 자기가 먹은 건 자기가 낸다는 데 누가 뭐랄까. 근데 그게 아니라면 어떨까. 바꿔 생각해보자. 다른 사람이 먹은 것까지 자기가 내야 한다면 그 상황을 쉬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더구나 그게 자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작금의 연금 개혁안을 두고 MZ세대들이 불만을 토하고 있는 현 상황이 딱 그 꼴이다. 어렵게 번 돈을 노후를 위해 미리 쟁여둔다는 것이 연금의 기본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