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8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LG전자, 올 1분기 역대 최대 매출 경신…22.7조원 시현

원자재 및 물류비용 안정화, 글로벌 생산지 운영의 유연성 확보 등 수익성에 기여

 

(조세금융신문=김필주 기자) LG전자가 올 1분기 매출 22조원대를 기록하며 역대 최대 매출을 경신했다. 다만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에 비해 소폭 감소했다.

 

7일 LG전자는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 22조7447억원, 영업이익 1조259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그간 1분기 매출이 22조원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LG전자의 올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8% 증가한 수치이기도 하다.

 

영업이익은 6년 연속 1조원대를 상회하는 실적을 거뒀다. 올 1분기 영업이익 역시 1조원대를 넘어섰으나 전년 동기에 비해선 5.7% 감소했다.

 

LG전자측은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좋은 질적 성장 영역의 매출이 늘어남에 따른 영업 레버리지 효과로 안정적 수익구조를 유지했다”며 “자원 투입, 원자재 및 물류비용 안정화, 글로벌 생산지 운영의 유연성 확보 등도 수익성에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생활가전 사업은 B2C 주력제품이 프리미엄 시장에서 지배력을 공고히 유지하고 있다”며 “올해는 구독 적합형 라인업을 보강하고 케어서비스를 강화해 성장을 더욱 가속화함과 동시에 구독 사업의 해외 진입을 지속 확대해 나갈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LG전자는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사업의 경우 올해부터 TV, IT(노트북, 모니터 등), ID(상업용 디스플레이) 등 디스플레이 기반 사업을 통합 운영하면서 TV 중심이던 webOS 기반 광고·콘텐츠 사업에 본격적으로 시너지 효과를 거둔다는 전략이다.

 

또 전장 사업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VI) 중심으로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를 확대하고 차량용 콘텐츠 플랫폼 등으로 사업모델을 다각화하며 성장을 이어갈 예정이다.

 

HVAC(냉난방 공조)는 AI 데이터센터 등 산업·발전용은 초대형 냉방기 칠러(Chiller)를 활용해 사업기회 확보에 속도를 낸다. 가정용 냉난방공조 사업에선 AI 신제품을 앞세워 시장공략에 나설 계획이다.

 

튻히 LG전자는 B2B 사업의 핵심으로 육성하는 HVAC 사업이 올해 1분기에 지난해 동기 실적(매출 2조5890억원, 영업이익 3356억원)을 뛰어넘을 것으로 내다봤다.

 

LG전자는 이달말 예정인 실적설명회에서 올 1분기 연결기준 순이익과 각 사업본부별 경영실적을 발표할 방침이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시론] 이재명 vs 김문수, 조세정책의 길을 묻다
(조세금융신문=안경봉 국민대 명예교수, 법무법인 율촌 상임고문) 2025년 대선을 앞두고 조세정책은 단순한 세금의 많고 적음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의 철학과 재정의 지속 가능성을 가늠하는 척도가 되고 있다. 세금은 사회계약의 이행 수단이며, 공공서비스의 재원일 뿐 아니라 미래세대와의 약속이라는 점에서 각 후보의 조세 비전은 중요한 정책 선택의 기준이 된다. 이재명 후보는 ‘조세 정의’와 ‘보편 복지’를, 김문수 후보는 ‘감세와 시장 자율’을 중심 기조로 내세운다. 이처럼 상반된 철학이 세금 정책으로 어떻게 구체화되는지를 살펴보는 일은 유권자에게 실질적 판단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이재명 후보: 분배 정의와 조세 환류 이재명 후보는 국토보유세, 금융소득 통합과세, 디지털세, 탄소세 등 자산과 환경에 기반한 새로운 세목의 신설 또는 기존 세목의 강화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과세를 통해 형성된 세수를 ‘조세환급형 기본소득’ 형태로 전 국민에게 보편적으로 환급함으로써, 소득 재분배와 소비 진작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금융소득 통합과세는 기존의 분리과세 방식을 폐지하고 이자‧배당 등 금융소득을 종합소득에 포함시켜 누진세를 적용함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