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HDC현대산업개발]](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250623/art_17490883985081_1c582a.png)
(조세금융신문=이정욱 기자) 서울시가 추진하는 ‘용산국제업무지구 광역교통개선대책’이 본격화되면서 HDC현대산업개발이 운영·보유한 자산들이 핵심 교통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다. 용산역 후면 주차장과 전면지하공간 등 HDC현대산업개발이 관리 중인 부지가 환승센터, 지하보행·환승통로, GTX 출입구 등 주요 시설과 연계되면서, 용산정비창 개발의 핵심 수혜 거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5일 서울시에 따르면 총 3조5780억 원이 투입되는 이번 교통 개선 사업에는 HDC현대산업개발이 운영 중인 용산역 후면 주차장 부지에 광역환승센터를 신설하는 계획이 포함됐다. 이 환승센터는 KTX, ITX, 지하철 1호선, 경의중앙선 등이 집결한 기존 교통망을 기반으로, GTX와의 환승 편의를 극대화하기 위한 핵심 거점이 될 전망이다.
GTX-B 출입구 신설과 용산역~신용산역을 연결하는 지하보행·환승통로도 HDC현대산업개발이 사업권을 보유한 전면지하공간을 중심으로 추진된다. 이는 HDC현대산업개발이 용산정비창 전면 제1구역 입찰 제안서에 담았던 ‘통합 교통 허브’ 구상이 현실화되는 사례로 평가된다.
이러한 교통 인프라는 용산정비창과 직접 연결되는 구조여서, 개발지의 가치 상승과 유동 인구 유입 측면에서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특히 HDC현대산업개발이 제안한 입체적 교통 통합안은 서울시의 ‘용산게이트웨이’ 및 보행 녹지축 계획과도 정합성이 높아, 정책 연계 측면에서도 실현 가능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서울시 교통계획이 HDC현대산업개발이 보유·운영 중인 자산을 중심으로 구성돼 있다는 점도 주목된다. 이는 향후 용산정비창 시공사 선정 및 개발 과정에서 HDC현대산업개발의 제안이 경쟁사보다 실행력과 실현 가능성 면에서 우위를 점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한편 이번 광역교통계획은 지하보행·환승통로 신설 외에도 동서남북 방향 도로 확장, 철도·도로 입체화, 한강 보행교 설치 등 총 17개 세부 사업으로 구성됐다. 본격적인 사업 추진은 2030년부터 단계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