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HDC현대산업개발]](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250623/art_17489989455626_d4e1ee.jpg)
(조세금융신문=이정욱 기자) HDC현대산업개발이 서울 용산정비창 개발에 글로벌 최고급 호텔 브랜드 ‘파크하얏트(Park Hyatt)’ 유치를 공식 제안했다. 강남 코엑스, 여의도 IFC를 잇는 서울의 핵심 복합개발 축으로서, 용산의 국제도시 도약에 한층 힘이 실릴 전망이다.
4일 HDC현대산업개발에 따르면, 자사가 시공을 추진 중인 용산정비창 전면 제1구역 복합개발 사업에 하얏트 호텔 그룹과 협업해 파크하얏트 유치를 제안했다. 하얏트는 세계 5대 글로벌 호텔 체인 중 하나로, 파크하얏트는 각 도시의 랜드마크 입지를 선점해 하이엔드 고객층을 겨냥하는 ‘6성급’ 호텔 브랜드다.
이번 제안은 단순한 숙박시설 유치를 넘어, 호텔·오피스·상업시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삼각 시너지’ 복합개발을 통해 용산을 서울 도심의 프리미엄 게이트웨이로 탈바꿈시키겠다는 전략이다.
일본 도쿄의 ‘롯폰기 힐스’는 단지 내 그랜드하얏트 호텔을 유치하며 MICE 수요와 고급 상업·업무 기능을 결합, 자산가치를 끌어올린 대표 사례다. HDC현산은 이와 유사한 모델을 용산에 구현하겠다는 구상이다.
파크하얏트가 들어설 경우 가장 큰 변화는 고급 비즈니스 수요의 집중이다. 국제회의, VIP 접견, 문화예술 이벤트 등 다양한 글로벌 수요가 용산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외국계 금융사·로펌·다국적 기업들의 선호도도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또 고급 인프라와 보안, 교통, 통신 환경이 결합된 스마트 업무환경 구축이 가능해지면서, 서울 중심업무지구(CBD)의 지형도 변화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상업시설 측면에서도 ‘6성급 호텔 바로 옆’이라는 상징성과 프리미엄 입지가 강점이다. 명품 리테일, 파인다이닝, 글로벌 뷰티·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유치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되며, 호텔 투숙객과 오피스·주거 수요가 동시에 유입되는 구조 덕분에 상업시설의 고정 수요와 안정성 또한 확보된다.
HDC현대산업개발 관계자는 “파크하얏트 유치를 중심축으로 오피스와 상업시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삼각 시너지를 통해 용산정비창을 국제 비즈니스 복합지구로 조성할 계획”이라며 “특히 ‘THE LINE 330’ 스카이라인과 조경, 글로벌 명품거리 조성까지 더해지면, 용산은 서울을 대표하는 프리미엄 관문으로 자리잡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업계 일각에선 이번 제안이 용산정비창 전면 제1구역 시공사 선정 과정에서도 차별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글로벌 브랜드와 연계된 복합개발 청사진이 서울시와 조합의 긍정적 반응을 이끌어낼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