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07 (목)

  • 맑음동두천 7.7℃
  • 흐림강릉 10.3℃
  • 맑음서울 7.7℃
  • 맑음대전 4.8℃
  • 맑음대구 4.1℃
  • 맑음울산 7.8℃
  • 맑음광주 8.5℃
  • 맑음부산 8.9℃
  • 맑음고창 8.1℃
  • 맑음제주 9.1℃
  • 맑음강화 8.5℃
  • 맑음보은 1.1℃
  • 맑음금산 0.7℃
  • 맑음강진군 3.8℃
  • 맑음경주시 2.0℃
  • 맑음거제 5.7℃
기상청 제공

[분양 톡톡] 2월 넷째 주(02월 21일~02월 27일) 분양일정

(조세금융신문=이정욱 기자) 대통령 선거가 한 달 앞으로 다가오면서 분양 시장이 분주한 모양새다.

 

18일 부동산R114에 2022년 2월 넷째 주에는 전국 19개 단지에서 총 1만1875가구(일반분양 9779가구)가 분양을 시작한다.

 

주요 분양 물량은 서울 영등포구 영등포동2가 '센트레빌아스테리움영등포', 경기 평택시 현덕면 '평택화양휴먼빌퍼스트시티', 인천 연수구 송도동 '힐스테이트레이크송도4차' 등에서 청약을 진행한다.

 

모델하우스는 경기 파주시 동패동 '신영지웰운정신도시', 세종시 산울동 '엘리프세종' 등 6곳이 오픈을 앞두고 있다.

 

◇ 청약 접수 단지

 

22일 현대건설은 인천 연수구 송도동 397-2번지 일원에 '힐스테이트레이크송도4차'를 분양한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36층, 12개동, 전용 84~165㎡, 총 1319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차량 10분 거리에 인천 지하철 1호선 송도달빛축제공원역이 위치하고, 아암대로와 인천대로 등을 통해 수도권 각지로 이동할 수 있다. 단지 주변에 해양3초, 인천현송중이 예정되어 있고, 채드윅 국제학교와 과학예술영재학교 등이 가깝다. 코스트코, 롯데마트, 현대프리미엄아울렛, 홈플러스 등 대형 쇼핑센터가 인접해 편리하다.

 

◇ 모델하우스 오픈 예정 단지

 

25일 신영은 경기 파주시 동패동 운정3지구 A42블록 일원에서 '신영지웰운정신도시'를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20층, 7개동, 전용 84 · 100㎡, 총 606가구로 지어진다. 단지 반경 약 1.3km 거리에 2024년 개통 예정인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A노선 운정역이 위치하고, 자유로, 제2자유로, 서울~문산 고속도로 등을 통해 서울로 이동할 수 있다. 단지 주변에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시네마 등 편의시설이 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김우일의 세상 돋보기] 단식(斷食), 배고픔의 고통을 이기는 힘과 경영지혜
(조세금융신문=김우일 대우M&A 대표) 모 정치인이 갑작스레 단식을 이어가 많은 사람의 주의를 끌었다. 역사상 단식은 많은 사례가 있어 왔다. 단식(斷食)은 실타래 같이 이어져 있는 생명의 유지를 위한 음식공급망을 의식적으로 빠르게 끊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서서히 섭취를 줄이는 절식(節食)과는 다르게 그 배고픔의 고통은 이루 말할 수가 없이 크고 생물의 본능을 공격하는 것이라 정신과 육체 모두를 원시상태로 되돌리는 극기의 인내를 감수해야만 가능하다. 필자에게도 단식경험이 있다. 60년대 우리나라는 전쟁후유증으로 인한 궁핍한 경제로 국민학생들이 제대로 먹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지금도 생각나는 그때, 워낙 가난한 사정 때문에 하루에 한 끼도 못 채우고 수돗물로 배 채울 정도로 배고픔을 참아가며 열심히 공부해 항상 우등생 반열에 올랐던 절친이 있었다. 필자는 그 친구의 상황을 공감하기 위해 똑같이 하루에 한 끼로 하며 빈 배를 수돗물로 채우는 과정을 동반 체험해봤다. 결국 3일을 넘기지 못했다. 그 배고픔의 고통이 이루 말할 수 없었던 것이다. 필자는 배고픔을 수돗물로 채우고도 끝끝내 강한 의지로 항상 공부를 잘했던 그 친구를 정말 존경했고 후일 그 친
[초대석] 강호동 합천 율곡농협조합장 “현실로 다가온 농촌소멸…농업소득 증대가 해답”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황금빛 쌀보리가 넘실대던 농촌의 가을걷이가 막바지다. 땀방울로 일군 값진 곡식들은 전국으로 유통돼 식탁을 풍성하게 채운다. 국민 밥상의 근간이 되는 농촌 그리고 농업의 중요성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그런데 농촌 경로당은 80대가 막내고, 아이 울음소리가 뚝 끊긴 마을이 점차 늘고 있다. 고령화와 인구감소 문제가 해결되지 못한 채 농촌소멸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어 씁쓸한 뒷맛을 남긴다. 이제는 농촌과 농업이 식량안보의 핵심이라는 개념적 접근을 넘어 식품산업, 물류, 관광 등 부가가치 창출과 고용을 증대시킬 수 있는 혁신 성장이 가능한 무한한 잠재력을 가진 자원임을 인식해야 할 때다. 농촌을 지원해야 한다는 소극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미래 사회의 중심에 농촌을 올려놓고 새로운 포트폴리오를 설계해야 한다. 농업생산력을 증진시키고 농민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을 도모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이 있다. 농협이다. 올해로 창립 62년을 맞은 농협은 앞으로의 60년 대계를 위해 분주하다. 농업이 대우받고 농업인이 존경받는 미래를 구현하기 위한 청사진을 그리는 중이다. 첫 단추는 무엇일까. 농촌의 어려움과 농민들의 애로사항을 근거리에서 청취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