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6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LG전자, 글로벌 '냉난방공조' 인재 육성 통해 독보적 사업자 위치 점유

북미 및 유럽 등서 ‘글로벌 HVAC 아카데미’ 운영…올해 3.7만명 이상 이수

 

(조세금융신문=김필주 기자) LG전자가 글로벌 냉난방공조(HVAC :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시장에서 독보적 사업자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인재 육성에 나섰다.

 

13일 LG전자가 글로벌 HVAC 시장의 탑티어 기업으로 도약하고자 미국, 인도 등 세계 43개 국가, 62개 지역에서 해마다 3만명 이상의 냉난방공조 엔지니어를 양성 중이라고 밝혔다.

 

실제 LG전자는 북미·중남미, 유럽, 아시아 등 전세계 각지에서 주거·상업용 냉난방 시스템, 고효율 칠러 등 자사의 다양한 공조 제품 설치와 유지관리 교육을 진행하는 ‘글로벌 HVAC 아카데미’를 운영 중이다.

 

아카데미에서는 산업·상업 공간 용도별 HVAC 솔루션을 설계하는 특화된 엔지니어링 기술과 실제 공급한 조달 사례의 전파 교육 등을 진행한다. 올해에는 약 3만7000명이 이같은 교육을 이수할 예정이다.

 

전세계 각지 아카데미는 LG전자가 B2B(기업간 거래) HVAC 사업을 확대해 나가는 거점 역할을 한다. 이는 설치 엔지니어를 대상으로 포럼을 진행하거나 HVAC 고객사나 대형 건물의 공조 설계를 담당하는 컨설턴트를 초청해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지역 B2B 핵심 관계자들과 네트워킹을 강화하는 공간으로 활용되기 때문이다.

 

LG전자는 아카데미에 시스템 에어컨, 고효율 히트펌프 냉난방시스템 등 다양한 LG전자 제품을 진열한 통합 전시존도 마련했다.

 

LG전자는 글로벌 HVAC 아카데미를 지속 확대할 방침이다. 올해 상반기에만 미국(보스턴), 대만(타이베이), 인도(첸나이·콜카타)에서 신규 아카데미가 들어섰고 연말에는 프랑스(리옹)에 추가 설립할 계획이다.

 

이와함께 LG전자는 최근 AI 산업의 급성장으로 AI 관련 데이터센터의 열 관리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냉각시스템을 지속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LG전자는 앞서 작년 7월 ‘2030 미래비전’을 발표하면서 B2B 사업에서 중요한 축을 차지하는 가정·상업용 냉난방공조 사업 매출을 오는 2030년까지 두 배 이상 성장시켜 글로벌 탑티어 종합공조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를 위해 회사는 북미, 유럽 등 주요 지역에 연구개발부터 생산, 영업, 유지보수로 이어지는 ‘현지 완결형 사업구조’를 구축하고 있다.

 

이밖에 LG전자는 최근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필리핀, 싱가포르의 탑티어(Top tier) 냉난방공조 컨설턴트를 초청해 ‘2024 LG HVAC 리더스 서밋(LG HVAC Consultant Leaders’ Summit) : LG Alumni Event(알룸나이 이벤트)’를 개최했다.

 

회사는 이들과의 사업협력을 강화해 냉난방공조 사업 주요 전략지역인 아시아에서도 사업을 더욱 넓혀나갈 방침이다.

 

이를 위해 LG전자 시스템 에어컨 유지보수 자회사 하이엠솔루텍은 ▲2016년 필리핀·아랍에미리트 ▲2017년 베트남 ▲2021년 이집트·폴란드 ▲2022년 멕시코·인도네시아 ▲2023년 독일·인도·미국에 법인을 설립하는 등 글로벌 인프라를 구축해 해외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재성 LG전자 H&A사업본부 에어솔루션사업부장(부사장)은 “세계 각지 아카데미를 현지 엔지니어들의 역량을 높이고 고객과의 접점을 늘려 나가는 글로벌 HVAC 사업의 핵심 인프라로 꾸준히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젊기도 설워라커늘 짐을 조차 지라고 해서야
(조세금융신문=손영남 편집국 부국장) 식당이나 술집 계산대 앞에서 옥신각신하는 모습은 우리에겐 일상과도 같다. 서로 내겠다며 다툼 아닌 다툼을 벌이는 모습이야말로 그간의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모습이었달까. 주머니의 가벼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그런 대범함(?)은 그만큼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깔려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앞으론 그런 훈훈한 광경을 보지 못하게 될 확률이 높다. 요즘의 젊은 친구들, 그러니까 소위 MZ세대라고 불리는 층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가 먹지도 않은 것까지 계산해야 한다는 걸 받아들일 수 없는 이들이 MZ세대다. 누구보다 실리에 민감한 세대인 탓이다. 그들을 비난할 의도는 전혀 없다. 오히려 그게 더 합리적인 일인 까닭이다. 자기가 먹은 건 자기가 낸다는 데 누가 뭐랄까. 근데 그게 아니라면 어떨까. 바꿔 생각해보자. 다른 사람이 먹은 것까지 자기가 내야 한다면 그 상황을 쉬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더구나 그게 자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작금의 연금 개혁안을 두고 MZ세대들이 불만을 토하고 있는 현 상황이 딱 그 꼴이다. 어렵게 번 돈을 노후를 위해 미리 쟁여둔다는 것이 연금의 기본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