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29 (수)

  • 맑음동두천 17.8℃
  • 구름조금강릉 20.4℃
  • 맑음서울 18.1℃
  • 맑음대전 20.3℃
  • 맑음대구 21.0℃
  • 구름많음울산 15.7℃
  • 맑음광주 21.3℃
  • 맑음부산 16.3℃
  • 맑음고창 17.1℃
  • 구름많음제주 16.0℃
  • 맑음강화 12.6℃
  • 맑음보은 19.3℃
  • 맑음금산 19.5℃
  • 맑음강진군 18.2℃
  • 맑음경주시 18.4℃
  • 맑음거제 16.8℃
기상청 제공

[분양 톡톡] 12월 1주(11월 30일~12월 06일) 분양일정

(조세금융신문=이정욱 기자) 24번째 부동산 대책에도 집값 오름세는 멈출지 모르고 있는 가운데 12월 첫 째주 덩달아 관심이 높아진 주택 청약을 알아봤다.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12월 첫째 주에는 전국 13곳에서 총 1만43가구(오피스텔·임대·테라스하우스 포함, 도시형생활주택·행복주택 제외)의 청약 접수가 실시된다.

 

다음 주 서울과 인천에서 공공지원 민간임대가 공급됨에 따라 높은 전셋값이 부담인 세입자들은 관심을 둘만 하다. 오는 30일 HDC현대산업개발은 서울 구로구에 '고척 아이파크' 2205가구, 내달 2일 대우건설은 인천 중구에 '운서역 푸르지오 더스카이' 1696가구의 임차인 모집에 나선다.

 

일반 분양물량도 주목할 만하다. 경기 안성시와 고양시에서 '쌍용 더 플래티넘 프리미어'와 '호반써밋 DMC 힐즈' 등의 1순위 청약 접수가 진행된다.

 

이어 견본주택 개관도 4곳이 준비 중이다. 경기에서 '화성 남양 시티프라디움 4차'와 경북에서 '구미확장단지 중흥S-클래스 에듀포레' 등이 본격 분양에 나설 예정이다.

 

당첨자 발표는 11곳, 계약은 10곳 사업장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 청약 접수 단지

 

HDC현대산업개발은 서울 구로구 고척동 100-7번지 일원 부지 개발을 통한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인 '고척 아이파크'의 청약 접수를 11월 30일~12월 1일까지 이틀간 진행한다. 단지는 지상 최고 45층, 6개 동 규모의 주상복합 단지와 지상 최고 35층, 5개 동 규모의 아파트로 전용면적 64~79㎡ 총 2205가구 규모다. 1호선 개봉역이 위치한 역세권 대단지로, 단지 내 대규모 주거시설, 쇼핑몰(예정)과 인근에 고척동 주민센터, 구로세무서, 공원 등이 조성된다.

 

2일 쌍용건설은 경기 안성시 공도읍 승두리 73번지 일원에 '쌍용 더 플래티넘 프리미어'의 1순위 청약 접수를 받는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35층, 전용면적 59~141㎡, 총 1696가구 규모다. 단지내 국공립 어린이집이 예정돼 있으며, 공도초가 가까워 도보 통학이 가능하다. 경부고속도로 안성IC와 공도버스미널이 가까이에 있어 광역 접근성이 뛰어나다.

 

◇ 견본주택 오픈 예정 단지

 

시티건설은 경기 화성시 남양뉴타운 B-14BL에 '화성 남양 시티프라디움 4차'의 견본주택을 3일 또는 4일에 개관하고 12월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23층 7개동 전용면적 84㎡ 단일 면적형으로 구성되며, 총 556가구로 이뤄진다.

 

단지 인근으로 서해선 복선전철 '화성시청역'이 2022년 신설예정으로, 2024년 개통 목표로 추진 중인 신안산선과 연계될 계획이다. 여기에 수도권 제2외곽 순환도로 개통이 내년으로 예정되어 있으며, 화성시 남양읍에서 팔탄면을 연결하는 발안~남양 고속도로 개발사업도 추진 중으로 도로교통망 개발에 따른 수도권 전역 이동도 편리해질 전망이다.

 

4일 중흥건설은 경북 구미시 산동면 인덕리 1116번지에 '구미확장단지 중흥S-클래스 에듀포레'의 견본주택을 개관하고 본격적인 분양에 나설 예정이다. 단지는 전용면적 84~171㎡, 총 1555가구 규모다. 구미신당초·인덕중·산동고가 도보권에 위치해 있어 안전한 등하교가 보장되며, 구미국가산업4단지로의 출퇴근이 쉽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인터뷰] 황성필 변리사가 만난 스타트업 9편 - “비디오몬스터”의 전동혁 대표
(조세금융신문=황성필 변리사) 인간에게는 창작의 욕구가 있다. 그리고 인간은 자신의 창작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고 싶어한다. 그리고 이러한 공유는 커뮤니케이션 스킬을 진화시킨다. 창작, 공유를 통한 인간의 연대 욕구도 충족된다. 이러한 욕구의 충족은 매체(커뮤니케이션 스킬)의 발전을 부추긴다. 고대의 벽화, 상형문자, 음악, 영화, 웹툰 그리고 틱톡에 이르기까지 모두 인간의 욕망에 근거한 콘텐츠 내지 전달 매체가 된다. 매체는 기술의 발전을 떠나 논의할 수 없다. 웹3.0으로 대표되는 탈중앙화를 위한 시대정신(Zeitgeist)도 결국 기술의 발전이 필요하다. UCC가 붐이던 시절이 있었다. 프리챌과 싸이월드가 있던 시절로 기억된다. 그 당시만 하더라도 나름대로 퀄리티 있는 영상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필요했다. 따라서 자신이 기획한 영상을 창작한다는 것은 아무래도 어느 정도 전문성이 있는 사람들의 영역이라고 생각되었다. 그러나 기술의 발전은 누구나 손쉬운 영상의 제작을 가능하게 만들었고, 유튜브라는 매체는 이렇게 만들어진 영상의 전달에 가장 효율적인 플랫폼이 되었다. “비디오몬스터” 이야기 비디오몬스터는 영상제작에 획기적인 솔루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