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1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분양 톡톡] 8월 3주(8월 17일~8월 23일) 분양일정

(조세금융신문=이정욱 기자)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정책에 다음 주 서울에서 청약 접수를 받는 곳은 단 1곳으로 조사됐다.

 

이번 주 청약 접수를 실시한 '대치 푸르지오 써밋'이 평균 경쟁률 168대 1로 올 들어 서울에서 가장 높은 청약 경쟁률을 기록했다. 또 정부가 지난 4일 '주택공급대책'을 통해 서울에 신규 공급을 늘리겠다고 발표했지만, 실제 공급으로 이어지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DMC SK뷰 아이파크 포레'에 수요자들의 큰 관심이 예상된다.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8월 셋째 주에는 전국 14곳에서 총 7,921가구(오피스텔, 임대 포함, 도시형생활주택, 행복주택 제외)의 청약 접수가 실시된다.

 

서울에서는 1곳만이 청약 접수를 받는다. 상암 디지털미디어시티(DMC)뿐 아니라 광화문·종각 등 중심업무지구(CBD), 여의도업무지구(YBD)와의 접근성이 편리한 'DMC SK뷰 아이파크 포레'의 1순위 청약 접수가 진행된다.

 

수도권에서는 다음 주 청약 접수 단지들 중 일반 분양 가구 수가 가장 많은 'e편한세상 지제역'의 1순위 청약 접수가 실시된다. 지방에서는 대구의 분양 단지가 많다. '대구 오페라 스위첸', '서대구역 서한이다음 더 퍼스트', '대봉교역 태왕아너스' 등의 청약 접수가 이뤄진다.

 

견본주택은 3곳이 오픈된다. 수도권이지만 규제를 빗겨간 'e편한세상 김포 어반베뉴', 비규제지역에 9월부터 시행될 예정인 분양권 전매제한 강화 규제도 해당되지 않는 '포레나 순천'의 견본주택은 손님 맞을 채비를 할 예정이다. 이들은 사이버 모델하우스와 오프라인 견본주택이 동시에 문을 연다.

 

◇ 청약 접수 단지

 

19일 SK건설과 HDC현대산업개발은 수색뉴타운 13구역(서울 은평구 수색동 341-6번지) 일원에 들어서는 'DMC SK뷰 아이파크 포레'의 1순위 청약 접수를 받는다. 단지는 지하 5층~지상 19층, 21개동, 전용면적 39~120㎡, 총 1464가구 규모다. 이 가운데, 183가구가 일반에 분양된다. 경의중앙선 수색역과 6호선·공항철도·경의중앙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이 가까워 교통이 편리하며, 봉산도시자연공원 자락에 위치해 쾌적한 주거환경을 자랑한다.

 

같은 날 대림건설은 모산·영신지구 A-3블록(경기 평택시 동삭동 산 177번지) 일원에 들어서는 'e편한세상 지제역'의 1순위 청약 접수를 받는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28층, 16개동, 전용면적 59~128㎡, 총 1516가구 규모다. SRT(수도권 고속철도) 정차역인 지하철 1호선 지제역이 가까워 수도권 주요 도심 및 서울 접근성이 용이하다. 지하철 1호선 이용 시 병점역·천안역 등으로 20분대, SRT 이용 시 강남 수서역까지 20분대로 이동할 수 있다.

 

◇ 견본주택 개관 예정 단지

 

21일 대림산업은 마송지구 B-2블록(경기 김포시 통진읍 마송리 586번지) 일원에 들어서는 'e편한세상 김포 어반베뉴'의 견본주택을 오픈한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18층, 7개동, 전용면적 53~59㎡, 총 544가구 규모다. 전 가구가 소형주택형으로 이뤄지며, 지난해 마송지구에서 성공적으로 공급한 'e편한세상 김포 로얄하임'에 이은 단지로 수요자들의 많은 관심이 집중될 전망이다. 단지 앞으로 마송초·통진중·통진고가 있으며, 마송5어린이공원과 마송제3·4호 근린공원도 바로 옆에 자리했다.

 

21일 한화건설은 전남 순천시 서면 선평리 337-3번지 일원에 들어서는 '포레나 순천'의 견본주택을 오픈한다. 순천 내에 첫 번째로 들어서는 '포레나' 브랜드 아파트로 지하 2층~지상 18층, 9동, 전용면적 84~119㎡, 총 613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인근에 순천일반산업단지 재생사업과 22만여㎡ 규모의 삼산공원 조성사업 등이 예정돼 있다. '포레나 순천'이 들어선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젊기도 설워라커늘 짐을 조차 지라고 해서야
(조세금융신문=손영남 편집국 부국장) 식당이나 술집 계산대 앞에서 옥신각신하는 모습은 우리에겐 일상과도 같다. 서로 내겠다며 다툼 아닌 다툼을 벌이는 모습이야말로 그간의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모습이었달까. 주머니의 가벼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그런 대범함(?)은 그만큼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깔려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앞으론 그런 훈훈한 광경을 보지 못하게 될 확률이 높다. 요즘의 젊은 친구들, 그러니까 소위 MZ세대라고 불리는 층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가 먹지도 않은 것까지 계산해야 한다는 걸 받아들일 수 없는 이들이 MZ세대다. 누구보다 실리에 민감한 세대인 탓이다. 그들을 비난할 의도는 전혀 없다. 오히려 그게 더 합리적인 일인 까닭이다. 자기가 먹은 건 자기가 낸다는 데 누가 뭐랄까. 근데 그게 아니라면 어떨까. 바꿔 생각해보자. 다른 사람이 먹은 것까지 자기가 내야 한다면 그 상황을 쉬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더구나 그게 자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작금의 연금 개혁안을 두고 MZ세대들이 불만을 토하고 있는 현 상황이 딱 그 꼴이다. 어렵게 번 돈을 노후를 위해 미리 쟁여둔다는 것이 연금의 기본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