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4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기상청 제공

성태곤 서울본부세관장, 화장품 산업 지원 나섰다

화장품 원료 수출 중소기업 방문…애로사항 청취

 

(조세금융신문=권영지 기자) 성태곤 서울본부세관장이 화장품 원료 수출 중소기업을 방문하는 등 화장품 산업 적극 지원에 나섰다.

 

서울본부세관은 성태곤 세관장이 12일 청주시 흥덕구에 있는 화장품 원료 전문 생산 기업인 썬화인글로벌을 방문했다고 밝혔다.

 

이번 방문은 중국의 화장품 원료 규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화장품 산업 현장의 애로사항을 듣고, 산업 발전을 위한 관세행정 지원방안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썬화인글로벌(송재용 대표)은 현재 매출의 대부분을 국내 시장과 중국에서 창출하고 있지만 앞으로 미국과 유럽 등 해외 시장 개척을 통한 수익 다변화를 위해 품목별 원산지 인증수출자 취득을 계획하고 있다.

 

원산지 인증수출자제도란 세관에서 원산지 증명 능력이 있다고 인증한 수출자에게 원산지증명서 발급권한 또는 첨부서류 제출 간소화 혜택을 부여하는 제도를 말한다.

 

이날 소통의 자리에서 썬화인글로벌은 회사 내 전문 인력 부족과 화장품의 다양하고 복잡한 원재료 등으로 인한 품목별 인증수출자 취득에 필요한 요건을 갖추는 데 어려움이 있다며 서울세관에 지원을 요청했다.

 

성태곤 세관장은 “서울세관의 업체 맞춤형 전문 컨설팅 등 현장 밀착지원으로 품목별 인증을 취득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며 “현장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해 다른 중소기업들도 자유무역협정(FTA) 활용으로 수출 시장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성 세관장은 “앞으로도 현장 중심 소통을 통해 수출지원 정책의 실효성을 점검하고 관세행정 수요를 발굴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김종규 칼럼] 나는 국세청 공무원입니다
(조세금융신문=김종규 본지 논설고문 겸 대기자) 세금 매기고 받아들이는 일에만 죽자살자고 일념으로 직진하다 보니 자기보호는 정작 ‘플랜B’다.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단다. 그런데도 60년이 다 가도록 국세청은 그대로다. 자신을 먼저 감싸기에 인색한 원초적 태생 탓일까. 초대 이낙선 청장 때부터 숱한 혼란스러운 사건, 그리고 납세자의 따가운 시선과 질타가 뒤섞인 비아냥을 당한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그간 과세권인 법적 강제성의 힘을 통해서 과잉과세 남용이 판을 친 추계과세 행정의 질곡 상황이 그대로 풍미(風靡)해 온다. 아날로그 시대의 과세 관행이 씨앗이나 된 듯 빈번한 조사권 남발이 오작동을 일으킨다. 끝내, 그들 탓에 세무비리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전이되듯 번졌던 때도 바로 그때다. 사실 과잉징수행정이 남용되어온 가운데 권위적이고 권력형 과세권 행사가 그 한복판에 혼재되어온 경우도 그 당시에는 드문 일만은 아니다. 과세권자의 추상같은 재량권이 파죽지세로 창궐했던 그 인정과세 때다. 마치 밀도 있게 주도해온 관치 세수 행정의 벽이 너무 높다 보니 세법 조문은 뒷전이고 명문 규정보다는 조사현장의 소득 적출 비율에 더 관심이 컸던 것처럼 말이다. 언필칭, 세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