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29 (수)

  • 맑음동두천 19.2℃
  • 맑음강릉 21.1℃
  • 맑음서울 18.8℃
  • 맑음대전 20.8℃
  • 맑음대구 21.1℃
  • 구름많음울산 16.4℃
  • 맑음광주 21.2℃
  • 연무부산 16.5℃
  • 맑음고창 19.2℃
  • 구름많음제주 16.1℃
  • 맑음강화 13.8℃
  • 맑음보은 20.2℃
  • 맑음금산 20.5℃
  • 맑음강진군 18.9℃
  • 구름조금경주시 19.2℃
  • 구름많음거제 17.5℃
기상청 제공

[분양 톡톡] 03월 1주(03월 01일~03월 07일) 분양일정

(조세금융신문=이정욱 기자) 내달 전국 11곳에서 청약 일정이 진행된다.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3월 첫째 주에는 전국 11곳에서 총 5041가구(오피스텔·임대·테라스하우스 포함, 도시형생활주택·행복주택 제외)의 청약 접수를 실시한다.

 

서울에서는 광진구 '자양 하늘채 베르'와 강동구 '고덕강일 제일풍경채'가 청약 접수를 진행한다. 두 아파트는 18일 입주자모집공고를 내 최대 5년 실거주 의무를 피했다.

 

모델하우스는 6곳이 오픈할 예정이다. 당첨자 발표는 6곳, 계약은 3곳 사업장에서 진행한다.

 

◇ 청약 접수 단지

 

3일 코오롱글로벌이 서울 광진구 자양동 658-14번지 일원에 공급하는 '자양 하늘채 베르'의 1순위 해당지역 청약 접수를 진행한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19층, 2개 동, 전용면적 46~59㎡ 총 165가구 규모다. 이 중 전용면적 49㎡ 51가구를 일반에 분양한다. 도보권에 성자초·성동초·광양중·광양고 등이 위치하며, 서울지하철 2호선 구의역·강변역과 동서울종합터미널이 가깝다. 자양로를 통해 강변북로와 잠실대교 진입이 수월하다.

 

4일 제일건설이 서울 강동구 고덕동 136번지 일원에 공급하는 '고덕강일 제일풍경채'의 1순위 청약 접수를 실시한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27층, 6개 동, 전용면적 84~101㎡ 총 780가구 규모다. 지하철 5호선 상일동역을 도보로 이용 가능하며, 수도권제1순환도로, 올림픽대로 등이 가깝다. 단지 바로 옆에는 대규모 공원이 조성 에정이며, 인근에 고덕천·고덕산·고덕수변생태공원 등 녹지 인프라가 있다.

 

◇ 모델하우스 오픈 예정 단지

 

5일 한신공영은 대전 중구 선화동 103-1번지 일원에 공급하는 '대전 한신더휴 리저브'의 모델하우스를 오픈한다. 단지는 지하 5층~지상 49층, 3개 동, 전용면적 75~84㎡ 총 418가구 규모다. 인근에 선화초·한밭중·보문중·보문고 등이 위치하며, 대전 지하철 1호선 중앙로역과 BRT(간선급행버스체계) 정류장이 가깝다.

 

같은 날 두산건설은 강원 삼척시 정상동 351번지 일대에 들어서는 '삼척센트럴 두산위브'의 모델하우스 문을 연다. 단지는 지하 4층~지상 36층, 6개 동, 전용면적 74~114㎡ 총 736가구 규모다. 약 1㎞ 내 동해바다가 위치해 단지 내 바다 조망이 가능하며, 동해대로와 동해고속도로를 통해 타 지역으로 이동이 수월하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인터뷰] 황성필 변리사가 만난 스타트업 9편 - “비디오몬스터”의 전동혁 대표
(조세금융신문=황성필 변리사) 인간에게는 창작의 욕구가 있다. 그리고 인간은 자신의 창작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고 싶어한다. 그리고 이러한 공유는 커뮤니케이션 스킬을 진화시킨다. 창작, 공유를 통한 인간의 연대 욕구도 충족된다. 이러한 욕구의 충족은 매체(커뮤니케이션 스킬)의 발전을 부추긴다. 고대의 벽화, 상형문자, 음악, 영화, 웹툰 그리고 틱톡에 이르기까지 모두 인간의 욕망에 근거한 콘텐츠 내지 전달 매체가 된다. 매체는 기술의 발전을 떠나 논의할 수 없다. 웹3.0으로 대표되는 탈중앙화를 위한 시대정신(Zeitgeist)도 결국 기술의 발전이 필요하다. UCC가 붐이던 시절이 있었다. 프리챌과 싸이월드가 있던 시절로 기억된다. 그 당시만 하더라도 나름대로 퀄리티 있는 영상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필요했다. 따라서 자신이 기획한 영상을 창작한다는 것은 아무래도 어느 정도 전문성이 있는 사람들의 영역이라고 생각되었다. 그러나 기술의 발전은 누구나 손쉬운 영상의 제작을 가능하게 만들었고, 유튜브라는 매체는 이렇게 만들어진 영상의 전달에 가장 효율적인 플랫폼이 되었다. “비디오몬스터” 이야기 비디오몬스터는 영상제작에 획기적인 솔루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