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7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은행

[이슈체크] 또 터진 금융권 대규모 횡령사고…경남은행, 7년간 몰랐다?

한 부서에서 15년 장기근무하며 횡령
PF상환금 시행사처럼 서류 꾸며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경남은행에서 560억원 규모의 횡령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금융권 내부통제 시스템이 여전히 미흡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이번에 경남은행에서 발생한 횡령사고 규모는 지난해 우리은행에서 발생한 700억원대 횡령사고 이후 두 번째로 큰 규모다.

 

특히 경남은행에서 15년간 같은 업무를 담당한 부장급 직원이 수년간 위조 등을 통해 560억원에 달하는 돈을 빼돌리는 동안 경남은행 측이 해당 내용을 전혀 인지하고 있지 못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기업 이미지 훼손도 피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금융감독원은 경남은행의 보고에 따라 지난달 21일부터 긴급 현장검사에 착수했고, 지난 1일 직원 A(50)씨가 총 562억원의 회삿돈을 횡령한 혐의를 찾아냈다. 경남은행 자체 조사에서는 77억9000만원 규모의 횡령이 확인됐는데, 금감원 현장검사를 통해 484억원 규모의 횡령이 더 있었다는 사실이 발견된 것이다.

 

심지어 경남은행이 해당 직원의 횡령 사실을 인지하게 된 것도 해당 직원이 다른 사건으로 검찰 수사선상에 오른 것이 발단이 됐다.

 

◇ 이게 되네?…가족 등 제3좌 계좌로 PF상환금 이체

 

이번에 경남은행에서 발생한 대규모 횡령사고는 지난해 우리은행에서 발생했던 700억원대 횡령사고와 닮은점이 있다.

 

바로 특정부서에서 10년 이상 근무한 직원이 회삿돈을 빼돌렸다는 점이다.

 

우리은행 700억원대 횡령사고를 저지른 직원도 10년 동안 기업개선부에서 근무하며 횡령을 저질렀다.

 

경남은행의 A씨 또한 15년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업무를 담당했던 부동산투자금융부 부장인 것으로 확인된다. A씨는 2007년 12월부터 올해 4월까지 15년간 같은 업무를 맡아왔다.

 

시간 순서대로 A씨가 횡령을 저지른 내용을 정리해보면, 가장 먼저 A씨는 2016년 8월부터 2017년 10월 사이 부실화된 169억원 상당의 PF대출에서 수시 상환된 대출원리금을 사고자 가족 등 제3자 계좌로 이체하는 방식을 통해 77억9000만원을 빼돌렸다.

 

이 중 29억1000만원은 상환 처리하면서 실제 미상환 피해액은 48억8000만원으로 추산된다.

 

가족 계좌에 78억원을 몰래 보냈는데도 적발되지 않자, 이후 A씨의 범행은 더욱 대담해졌다.

 

아예 시행사처럼 서류를 꾸미고 326억원을 대출받은 후 가족 회사에 이체했다.

 

또 지난해 5월에는 경남은행이 취급한 PF대출 상환자금 158억원을 상환처리하지 않고, 자신이 담당하던 다른 PF대출 상환에 유용한 혐의도 있다.

 

경남은행은 A씨가 지난 6월 다른 건으로 검찰 수사를 받게 되자, 뒤늦게 자체 검사에 착수했다.

 

그마저도 횡령액 78억원만 파악했고, 나머지 횡령금은 금감원 현장 검사에서 드러났다.

 

◇ 15년간 PF 대출업무 맡아…내부에선 ‘유능한 직원’이란 평가도

 

A씨가 무려 7년간 거액의 회삿돈을 빼돌릴 수 있었던 것은 15년간 PF 대출업무를 맡아왔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A씨는 지난해 우리은행에서 700억원대 횡령 사고가 발생해 금융당국이 각 은행에 순환 근무제 도입을 권고한 후 올해 1월 창원 본점에 있는 투자금융기획부로 부서가 바뀌었다.

 

그마저도 하던 업무는 그대로 유지됐다. 동일 본부 및 업무였지만 오피스만 백(송금‧사후관리)에서 프론트(심성‧심사)로 바뀐 셈이었다.

 

A씨는 근무기간 동안 내부적으로 부동산 PF분야 전문가로 통했으며 특히 성과 측면에서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아온 인물로 알려졌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본지 취재진에 지난해 우리은행에 이어 올해 경남은행에서 대규모 횡령사고가 발생한 것에 대해 “사고를 일으킨 직원들이 맡았던 업무 모두 전문성이 요구되는 분야다 보니 장기근무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결과적으론 횡령사고라는 부작용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며 “그렇다고 하더라도 장기간 자체 검사에서 횡령사고 사실을 잡아내지 못했다는 것은 은행 내부통제가 허술했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려운 대목”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검찰과 금융당국은 고위험업무에 대한 직무 미분리 등 내부통제 문제가 큰 것으로 보고 있으며, 단독 범행인지 조력자가 있는지 파악 중이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칼럼] 관치금융의 덫에 걸린 농협금융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최근 농협금융지주와 대주주인 농협중앙회가 NH투자증권 사장 인선을 놓고 갈등을 빚은 바 있다. 여기에 금감원까지 가세하면서 관치금융에 대한 논란이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이번 사태의 발단은 NH투자증권 정영채 사장의 연임 도전과 관련이 있다. 정 전 사장은 옵티머스 펀드 사태를 일으켜 금감원으로부터 중징계를 받은 장본인이다. 여기에다, 폐쇄적인 조직운영, 개인 사법리스크 등 여러 악조건 속에서도 6년간 장기 집권에 성공한 저력을 보였다. 그러나 증권사태가 범농협 차원의 규제 리스크로 확산되는 가운데 정영채 전 사장이 4연임에 도전하자, 대주주인 농협중앙회가 제동을 걸고 나선 것이다. 쟁점을 살펴보면, 농협중앙회는 이번에는 농협 출신 인사를 추천해 NH투자증권의 내부통제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반면, 이석준 농협금융지주 회장은 자본시장 전문가를 앉혀야 한다고 반발하면서 농협중앙회와 마찰이 일어난 것이다. 전문성이 중요하다는 이석준 지주회장의 말도 일리가 있고, 범농협 차원의 리스크관리가 중요하다는 대주주의 판단도 일리가 있다. 참고로, 농협중앙회는 농협금융지주 지분 100%를 소유한 1인 최대 주주다. 문제는
[인터뷰] 임채수 서울지방세무사회장 권역별 회원 교육에 초점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임채수 서울지방세무사회장은 지난해 6월 총회 선임으로 회장직을 맡은 후 이제 취임 1주년을 눈앞에 두고 있다. 임 회장은 회원에게 양질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지방회의 가장 큰 역할이라면서 서울 전역을 권역별로 구분해 인근 지역세무사회를 묶어 교육을 진행하고 있어 회원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올해 6월에 치러질 서울지방세무사회장 선거 이전에 관련 규정 개정으로 임기를 조정해 본회인 한국세무사회는 물론 다른 모든 지방세무사회와 임기를 맞춰야 한다는 견해도 밝혔다. 물론 임원의 임기 조정을 위해서는 규정 개정이 우선되어야 하지만, 임기 조정이라는 입장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은 처음이라 주목받고 있다. 임채수 회장을 만나 지난 임기 중의 성과와 함께 앞으로 서울지방세무사회가 나아갈 길에 대해 들어봤다. Q. 회장님께서 국세청과 세무사로서의 길을 걸어오셨고 지난 1년 동안 서울지방세무사회장으로서 활약하셨는데 지금까지 삶의 여정을 소개해 주시죠. A. 저는 1957년에 경남의 작은 시골 마을에서 8남매 중 여섯째로 태어났습니다. 어린 시절에는 대부분 그랬듯이 저도 가난한 집에서 자랐습니다. 그때의 배고픈 기억에 지금도 밥을 남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