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8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금융투자

[KBW 2023] 김서준 해시드 대표, "한국 디지털 경제의 핵심 될 것"

'KBW 2023: 임팩트'는 KBW의 메인 컨퍼런스 화려한 개막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 창시자 화상으로 '기조강연'

 

(조세금융신문=안종명 기자) "블록체인 업계에서 아시아가 가상자산 시장의 60%를 점유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한국이 디지털 경제의 핵심에 있어서 콘텐츠 제작과 소비에 있어서 선구적인 역할을 차지 할 것이다"

 

김서준 해시드 대표는 5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코리아블록체인위크 2023(Korea Blockchain Week 2023, KBW2023)’ 메인 컨퍼런스인 ‘임팩트(IMPACT)’ 기조연설자로 참여해 이같이 발표했다.

'KBW 2023: 임팩트'는 KBW의 메인 컨퍼런스로, 전 세계 전문가들이 모여 블록체인 업계 트렌드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누는 자리다. KBW는 블록체인 커뮤니티빌더인 팩트블록이 설립해 주최하고 있으며 블록체인 전문투자사 해시드가 공동 주최한다. KBW 행사는 올해로 6회째를 맞이했다. 

김 대표는 "KBW가 시작됐던 2018년 당시에도 베어마켓(하락장)이 한창 진행되는 과정이었지만, 이후 많은 성장이 있었다"며 "새로운 블록체인 개발자 유입은 물론 블록체인과 관련된 학계 논문도 더 많이 발표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서준 대표는 “올해 KBW 주간에는 전세계 Web3 산업에서 영향력 있는 많은 연사들이 참여하는 만큼 다양한 인사이트를 전달할 수 있을 것“이라며 ”메인 컨퍼런스 뿐만 아니라 200개 이상의 사이드 이벤트를 통해 국내 Web3 커뮤니티와 해외 전문가들 사이에 의미있는 비즈니스 협업 기회가 만들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김 대표는 블록체인 생태계가 확장되기 위해서는 한국의 역할이 특히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에서는 50~60대도 디지털 네이티브적인 경험을 가지고 있고 한국 기반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40~60대의 거래량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이에 "한국은 콘텐츠 제작이나 소비 양쪽에 있어서도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날 KBW의 메인 컨퍼런스에는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 창시자가 화상으로 기조강연 참여자로 나서 이더리움 생태계의 최근 동향에 대한 강연을 진행했다.

 

마이클 벨시 비트고 CEO는 ‘디지털 자산 커스터디의 최근 추세’를 주제로 키노트 스피치에 나섰다. 제레미 알레어 써클 공동창업자 겸 CEO는 '탈중앙화 경제에서 스테이블코인의 역할: 화폐의 HTTP'라는 주제로 기조연설했다.

 

또 샌디프 네일월 폴리곤랩스 공동창업자,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 아서 헤이즈 비트맥스 공동 창립자, 댄 헬드 트러스트 머신스 마케팅 고문, 파스칼 고티어 렛져 CEO, 세르게이 나자로프 체인링크 공동설립자 등도 주요 연사로 나섰다.

 

이번 행사에서는 블록체인 산업의 최신 이슈가 다양한 시각으로 논의된다. 핵심테마로는 ▲블록체인의 근본을 묻다(Fundamental Questions) ▲이더리움 왕국(Kingdom of Ethereum) ▲제도권으로 진입(Institutional Bridge) ▲디지털 국가의 정의(Digital Nations) ▲블록체인 기술 트렌드(Tech Unleashed) 등 총 10가지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관련태그

김서준대표  해시드  KBW 2023  호텔 신라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젊기도 설워라커늘 짐을 조차 지라고 해서야
(조세금융신문=손영남 편집국 부국장) 식당이나 술집 계산대 앞에서 옥신각신하는 모습은 우리에겐 일상과도 같다. 서로 내겠다며 다툼 아닌 다툼을 벌이는 모습이야말로 그간의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모습이었달까. 주머니의 가벼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그런 대범함(?)은 그만큼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깔려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앞으론 그런 훈훈한 광경을 보지 못하게 될 확률이 높다. 요즘의 젊은 친구들, 그러니까 소위 MZ세대라고 불리는 층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가 먹지도 않은 것까지 계산해야 한다는 걸 받아들일 수 없는 이들이 MZ세대다. 누구보다 실리에 민감한 세대인 탓이다. 그들을 비난할 의도는 전혀 없다. 오히려 그게 더 합리적인 일인 까닭이다. 자기가 먹은 건 자기가 낸다는 데 누가 뭐랄까. 근데 그게 아니라면 어떨까. 바꿔 생각해보자. 다른 사람이 먹은 것까지 자기가 내야 한다면 그 상황을 쉬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더구나 그게 자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작금의 연금 개혁안을 두고 MZ세대들이 불만을 토하고 있는 현 상황이 딱 그 꼴이다. 어렵게 번 돈을 노후를 위해 미리 쟁여둔다는 것이 연금의 기본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