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기상청 제공

삼성전자 노사, 2023·2024년 임금협상 잠정합의

임금인상 5.1% 및 장기근속 휴가 확대 등 잠정 합의
노조, 21일까지 조합원 대상 찬반투표 실시

 

(조세금융신문=김필주 기자) 삼성전자와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전삼노’)가 지난 14일 오후 2023·2024년 임금협상 잠정합의안을 도출했다.

 

15일 삼성전자 및 전삼노에 따르면 노사는 조합원이 조합 총회(교육)에 참여하는 시간을 유급으로 보장하고 자사 제품 구매시 사용 가능한 패밀리넷 200만포인트를 전직원에게 지급하기로 잠정합의했다. 

 

이와함께 잠정합의안에는 임금인상 5.1%, 장기근속 휴가 확대 등 지난 3월 발표한 기존안을 적용키로 했다. 또 경쟁력 제고 및 협력적 노사관계 정립을 위한 노사간의 상호 존중과 노력, 노사 공동의 CSR 활동 등을 통한 사회 공헌 실행 등의 내용이 이번 잠정합의안에 담겼다.

 

전삼노는 오는 21일까지 잠정합의안에 대해 조합원 찬반투표를 실시할 예정이다.

 

임금협상 잠정합의안 타결 이후 삼성전자는 “이번 임금협상 타결을 노사 화합의 계기로 삼아 사업 경쟁력 강화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전삼노는 “단체교섭 및 곧 다가올 2025년 임금교섭에서도 좋은 결과를 이끌어 내겠다”고 전했다.

 

삼성전자 노사간 임금협상은 그간 수차례 결렬되면서 난항을 겪었다. 여기에 지난 7월 전삼노가 총파업까지 돌입하면서 임금협상은 지지부진한 상황을 맞이했다.

 

앞서 전삼노는 △기본급 인상률 3.5% 포함 평균 임금 인상률 5.6% △노조 창립휴가 1일 보장 △초과이익성과급(OPI) 및 목표달성장려금(TAI) 제도 개선 △노조 조합원 파업 참여에 따른 경제적 손실 보상 등을 요구한 바 있다. 이에 반해 사측은 임금 인상률 5.1%를 고수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김종규 칼럼] 나는 국세청 공무원입니다
(조세금융신문=김종규 본지 논설고문 겸 대기자) 세금 매기고 받아들이는 일에만 죽자살자고 일념으로 직진하다 보니 자기보호는 정작 ‘플랜B’다.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단다. 그런데도 60년이 다 가도록 국세청은 그대로다. 자신을 먼저 감싸기에 인색한 원초적 태생 탓일까. 초대 이낙선 청장 때부터 숱한 혼란스러운 사건, 그리고 납세자의 따가운 시선과 질타가 뒤섞인 비아냥을 당한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그간 과세권인 법적 강제성의 힘을 통해서 과잉과세 남용이 판을 친 추계과세 행정의 질곡 상황이 그대로 풍미(風靡)해 온다. 아날로그 시대의 과세 관행이 씨앗이나 된 듯 빈번한 조사권 남발이 오작동을 일으킨다. 끝내, 그들 탓에 세무비리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전이되듯 번졌던 때도 바로 그때다. 사실 과잉징수행정이 남용되어온 가운데 권위적이고 권력형 과세권 행사가 그 한복판에 혼재되어온 경우도 그 당시에는 드문 일만은 아니다. 과세권자의 추상같은 재량권이 파죽지세로 창궐했던 그 인정과세 때다. 마치 밀도 있게 주도해온 관치 세수 행정의 벽이 너무 높다 보니 세법 조문은 뒷전이고 명문 규정보다는 조사현장의 소득 적출 비율에 더 관심이 컸던 것처럼 말이다. 언필칭, 세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