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9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한종희 삼성전자 DX부문장 "고도화된 AI 경험 제공할 수 있도록 준비할 것"

삼성전자, 美 세네제이에서 열린 'SDC 2024' 통해 AI 비전·전략 제시

 

(조세금융신문=김필주 기자) 삼성전자가 3일(현지시간) 미국 세네제이 맥에너리 컨벤션 센터에서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Samsung Developer Conference, 이하 ‘SDC’) 2024‘를 열고 향후 AI에 대한 비전·전략을 제시했다.

 

이날 행사는 ’모두를 위한 AI-10년의 개방적 혁신과 미래(AI for All-A Decade of Open Innovation and Beyond)‘를 주제로 진행됐으며 전세계 개발자·파트너·미디어 관련자 등 약 3000명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한종희 삼성전자 DX부문장(부회장)은 기조연설을 통해 “지난 10년 동안 개발자·파트너와 함께 노력했기에 혁신의 여정을 이어올 수 있었다”면서 “삼성전자는 향후 ‘누가 말하는지’, ‘어느 공간에 있는지’까지 인지해 고도화된 개인화 경험이 가능하도록 준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같은 서비스는 삼성전자의 AI 기반 SW·플랫폼 혁신과 보안 기술로 더 편리하고 안전하게 구현될 것”이라며 “이를 위해 TV·스마트 모니터·비스포크 AI 패밀리허브 냉장고 등에 내장된 스마트싱스 허브를 스크린이 탑재된 가전으로 확대하는 것을 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모바일·TV·가전에 이르기까지 각 제품의 특성에 맞는 AI 기술을 모든 제품군에 적용한 뒤 해당 제품들을 연결해 더욱 개인화된 AI 경험을 구현한다는 전략이다.

 

개인화된 AI 경험을 고도화하기 위해 보안에 강한 온디바이스(On-Device) AI와 고성능 클라우드 AI를 결합해 최적화하고 생성형 AI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개인정보보호와 보안 기술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는게 삼성전자측 설명이다.

 

또 삼성전자는 책임 있는 AI를 구현하기 위해 공정성, 투명성, 책임성의 3대 원칙 하에 AI 기술이 활용되는 전 과정에서 임직원들이 AI 윤리 원칙을 준수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과 점검 프로세스를 실행 중이다.

 

삼성전자는 AI 경험 확대를 위해 향후 구글 등 여러 업체와 개방적 협업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공언했다. 아울러 연내 공개될 One UI 7은 갤럭시 AI 기능 확대와 더욱 정제되고 감성적인 UX로 완전히 새로워진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날 삼성전자는 자사가 개발한 타이젠 OS가 TV, ‘비스포크 AI 패밀리허브’를 포함해 ‘비스포크 AI 콤보’ 세탁·건조기, 인덕션 레인지 등 7형 스크린이 부착된 가전까지 탑재돼 더 많은 기기에서 AI 기능을 구현했다고 강조했다.

 

또한 타이젠 OS의 온디바이스 AI 기술을 강화해 보다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특히 삼성 NPU(Neural Processing Unit) 칩으로 구동되는 타이젠 AI 서비스는 삼성전자 제품과 사용자에 맞게 AI 모델을 최적화해 보다 스마트하고 안전한 사용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삼성전자는 대표 플랫폼임 ‘스마트싱스’에 AI 기술을 접목하고 개방적 파트너십을 확대해 자사 제품·서비스를 차별화시키는 게임 체인저 역할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실제 이달 중 적용 예정인 ‘홈 인사이트(Home Insight)’ 서비스는 스마트싱스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생활 패턴, 기기 사용 이력, 기기와 집안의 상태 등을 분석해 실시간 리포트를 제공한다. 

 

여기에 연결 기기를 통해 집이 비어 있다고 판단되면 외부에 있는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기기의 전원을 끄라고 제안해 주는 식으로 이용자에게 실제 필요한 정보를 적시에 제공할 예정이다.

 

삼성전자 자회사인 하만도 기술 세션 등에 참가해 소프트웨어 중심의 차량(SDV, Software Defined Vehicle) 개발 트렌드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제시했다.

 

이어 ▲초개인화 AI 커머스 솔루션 ‘옴니어스(OMNIOUS.AI)’ ▲청각 AI 솔루션 ‘코클(Cochl)’ ▲탈 중앙화 생체인증 보안 솔루션 ‘고스트패스(Ghost Pass)’ 등 사외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 ‘C랩 아웃사이드’의 지원을 받은 3개 스타트업도 전시에 참여해 에듀 테크 분야 혁신기술을 소개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통화 주권 넘보는 스테이블코인, 한국은 준비됐는가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한국 정치가 마침내 디지털 자산에 손을 댔다. 그것도 단순한 규제 강화를 넘어서 산업 진흥과 생태계 육성까지 겨냥한 ‘판 뒤집기’ 수준의 입법이다. 10일,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이 대표 발의한 ‘디지털자산기본법’은 디지털 자산 시장에 대한 가장 포괄적이면서도 공격적인 제도화 시도다. 법안은 ▲디지털자산의 법적 정의 정립 ▲대통령 직속 디지털자산위원회 설치 ▲금융위원회를 통한 인가·등록·신고제 도입 ▲스테이블코인 사전 인가제 ▲불공정거래 금지 및 이용자 보호 ▲자율규제기구 설립 등을 담았다. 단순한 제도 마련을 넘어, ‘한국형 디지털금융 패러다임’의 설계도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가장 주목할 대목은 스테이블코인 발행 허용이다. 현행법상 민간의 원화 기반 디지털 자산 발행은 법적 공백에 놓여 있었지만, 이 법안이 통과되면 자기자본 5억원 이상을 보유한 국내 법인은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수 있다. 준비금 적립, 도산 절연, 환불 보장 등 안전장치를 전제로 하긴 했지만, 통화 주권을 관리하는 한국은행에는 꽤나 위협적인 메시지다. 민 의원은 이 법을 “규제가 아니라 가드레일”이라고 표현했다. 규제를 통해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탐방] 서울세관 심사1국 AEO심사팀, AEO 공인부터 사후관리까지 ‘토탈케어’ 실현
(조세금융신문=안종명 기자) 오전 9시, 여느 사무실이라면 나른한 공기만이 가득할 시간이지만, 서울본부세관 심사1국 AEO(수출입 안전관리 우수업체) 심사팀 사무실엔 벌써부터분주함이 가득 들어차 있다. 이를 보여주기라도 하듯 회의실에서는 갱신심사 대상업체에 대한 점검계획을 두고 실무진들의 회의가 분주히 진행되고 있었다. 각자의 노트북 화면에는 통관자료, 자율점검 체크리스트, 위험요소 분석 보고서가 정리돼 있었고, 침착하면서도 치밀한 분위기 속에서 기업의 수출입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준비가 한창이었다. 서울세관 심사1국 AEO심사팀에서는 관할 수입AEO 기업의 갱신 신청이 있을 경우, 통관적법성 분야에 대한 정기 심사를 수행한다. 또한 기업상담전문관(Account Manager, 이하 AM)을 통해 위험 정보를 상시 제공하고, 기업의 자율적 법규준수 체계 구축을 지원한다. AEO 공인 이후 공인 유지와 법규 위반 방지를 위한 사후관리 컨설팅까지도 소홀히 하지 않는 것이 그들의 철칙, AEO심사팀을 민관 협력 기반의 관세행정을 실현하는 ‘토탈케어 조직’으로 부르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정기 심사일지 하나에도 기업 맞춤형 리스크 분석과 전략을 담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