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9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삼성전자, AI 기능 강화 '갤럭시 북5 Pro' 최초 공개

국내 사용자들 기대에 부응해 글로벌 시장 중 한국에서 가장 먼저 공개
‘갤럭시 AI’ 및 마이크로소프트의 ‘Copilot+ PC’ 기능 탑재해 AI PC 경험 제공

 

(조세금융신문=김필주 기자) 삼성전자가 12일 서울에 위치한 ‘삼성 강남’에서 AI 기능을 강화한 신제품 ‘갤럭시 북5 Pro’를 공개했다.

 

이날 삼성전자측은 “국내 사용자들의 AI PC 제품에 대한 높은 관심을 고려해 글로벌 시장 중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신제품을 공개했다”며 “‘갤럭시 북5 Pro’는 35.6cm(14형), 40.6cm(16형) 두 가지 모델과 그레이와 실버 색상으로 구성됐고 내년 1월 2일 국내 시장에 출시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갤럭시 북5 Pro’는 ‘갤럭시 AI’와 마이크로소프트의 ‘Copilot+ PC’ 기능을 모두 탑재해 더욱 향상된 AI 경험을 제공한다.

 

또 최대 47 TOPS(초당 최고 47조회 연산)의 NPU(신경망처리장치)를 지원하는 ‘인텔 코어 Ultra 프로세서 시리즈 2(코드명 루나레이크)’를 탑재해 혁신적인 AI PC 경험을 지원한다.

 

아울러 이번 신제품에는 갤럭시 북 시리즈 최초로 갤럭시 AI 기반의 ‘AI 셀렉트’ 기능도 탑재됐다. ‘AI 셀렉트’ 기능은 사용자가 궁금한 이미지 또는 텍스트가 있을 때 별도 검색어 입력 없이 터치 스크린에 원을 그리거나 드래그해 빠르게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이다.

 

또한 ‘갤럭시 북5 Pro’는 터치 디스플레이를 적용해 직관적인 AI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선명한 스크린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비전 부스터(Vision Booster)’를 탑재한 고해상도의 다이내믹 아몰레드(Dynamic AMOLED) 2X 디스플레이를 탑재했다.

 

이와함께 장소·조명에 상관없이 깨끗한 화면으로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빛 반사 방지 패널을 사용했고 노출 시간이 다른 프레임들을 하나로 합친 ‘스태거드 HDR(Staggered HDR)’을 카메라에 신규 적용해 생생한 이미지를 구현한다.

 

탑재된 4개 스피커에는 돌비 애트모스(Dolby Atmos®)를 적용해 몰입감 넘치는 서라운드 음향을 제공한다. 여기에 최대 25시간 동안 사용 가능한 대용량 배터리, 세분화된 터치패드 감지 영역도 특징이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북5 Pro’가 갤럭시 모바일 제품과의 연결성도 강조했다.

 

삼성전자에 의하면 사용자는 갤럭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과 연결해 ▲사진·문서·파일을 간편하게 공유할 수 있는 ‘퀵 쉐어’ ▲PC의 키보드와 마우스로 스마트폰과 태블릿을 제어할 수 있는 ‘멀티 컨트롤’ ▲PC 화면을 태블릿에 확장하거나 복제해 듀얼 모니터로 활용할 수 있는 ‘세컨드 스크린’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폰 링크(Phone Link)’ 기능을 활용하면 ‘갤럭시 북5 Pro’와 갤럭시 스마트폰의 연결이 가능하며 ▲서클 투 서치 ▲노트 어시스트 ▲실시간 통역 등 스마트폰에서 지원되는 ‘갤럭시 AI’의 다양한 기능을 PC에서도 이용 가능하다.

 

이민철 삼성전자 MX사업부 갤럭시 에코 비즈 팀장(상무)는 “갤럭시 AI 기반으로 대중화를 이끌 ‘갤럭시 북5 Pro’를 국내에서 가장 먼저 선보여 기쁘다”면서 “앞으로도 다양한 제품에 갤럭시 AI를 확대 적용하며 독보적인 AI 생태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젊기도 설워라커늘 짐을 조차 지라고 해서야
(조세금융신문=손영남 편집국 부국장) 식당이나 술집 계산대 앞에서 옥신각신하는 모습은 우리에겐 일상과도 같다. 서로 내겠다며 다툼 아닌 다툼을 벌이는 모습이야말로 그간의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모습이었달까. 주머니의 가벼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그런 대범함(?)은 그만큼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깔려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앞으론 그런 훈훈한 광경을 보지 못하게 될 확률이 높다. 요즘의 젊은 친구들, 그러니까 소위 MZ세대라고 불리는 층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가 먹지도 않은 것까지 계산해야 한다는 걸 받아들일 수 없는 이들이 MZ세대다. 누구보다 실리에 민감한 세대인 탓이다. 그들을 비난할 의도는 전혀 없다. 오히려 그게 더 합리적인 일인 까닭이다. 자기가 먹은 건 자기가 낸다는 데 누가 뭐랄까. 근데 그게 아니라면 어떨까. 바꿔 생각해보자. 다른 사람이 먹은 것까지 자기가 내야 한다면 그 상황을 쉬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더구나 그게 자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작금의 연금 개혁안을 두고 MZ세대들이 불만을 토하고 있는 현 상황이 딱 그 꼴이다. 어렵게 번 돈을 노후를 위해 미리 쟁여둔다는 것이 연금의 기본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