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11 (수)

  • 맑음동두천 2.8℃
  • 흐림강릉 2.6℃
  • 맑음서울 4.9℃
  • 맑음대전 3.9℃
  • 맑음대구 7.6℃
  • 구름조금울산 7.7℃
  • 맑음광주 6.5℃
  • 맑음부산 8.7℃
  • 맑음고창 4.2℃
  • 구름조금제주 9.7℃
  • 맑음강화 2.3℃
  • 맑음보은 2.3℃
  • 맑음금산 2.5℃
  • 맑음강진군 7.1℃
  • 구름조금경주시 7.2℃
  • 맑음거제 5.6℃
기상청 제공

[이슈체크] 손피거래 앞으로 양도세 전부 다 낸다…2년간 세금 날린 기재부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앞으로 주택 거래 시 손피거래로 양도소득세를 대납하는 경우 대납으로 발생하는 모든 양도세가 과세대상에 포함된다.

 

국세청은 손피거래 관련 기획재정부 예규(조세정책과-2048, ’24.11.07.)가 새로 나옴에 따라 7일 이후 발생한 거래에 대해선 대납 양도세 전액을 과세할 방침이라고 25일 밝혔다.

 

손피거래란 흔히 분양권, 입주권 매매에 사용되는 방법으로 사는 사람이 파는 사람의 양도세를 대납하는 거래를 말한다.

 

파는 사람 입장에선 확정적으로 분양권 프리미엄을 누릴 수 있고, 사는 사람 입장에선 매도가액을 떨어뜨려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었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행정심판기관인 조세심판원이 1990년 3월에 내린 심판결정(심결례)이 있었기 때문이다(국심1990서101, 1990.03.23.).

 

원칙적으로 사는 사람이 파는 사람을 대신해서 양도세를 대납하면, 그 대납해준 돈도 매매를 조건으로 낸 돈이기 때문이기에 여기에도 파는 사람에게 양도세가 붙는다. 그런데 이 대납 양도세에 또 사는 사람이 양도세를 대납해주면 파는 사람에 양도세가 또 붙고, 이런 식으로 양도세가 계속 불어나며 특정 금액으로 수렴하게 된다.

 

그런데 1990년 당시 조세심판원은 이 모든 대납 양도세를 과세대상으로 보지 않고, 최초 대납한 양도세만 과세대상으로 인정했다.

 

나머지 대납 양도세는 세금을 내지 않게 되니 그만큼 파는 사람은 절세효과를, 사는 사람은 저가매수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납세자들은 이 심결례를 근거로 손피거래 이득을 누렸지만, 이는 국가가 세법을 억지 해석해 세금으로 개인의 이익을 챙겨주는 꼴로 세법 원칙에 맞지 않은 결정이었다.

 

그런데 지난해 초 분양권 전매제한이 풀리면서 손피거래가 횡횡하자 법원 판결도 아닌 30년도 더 전에 풀어준 행정심판 결정례 하나만 믿고 가는 것이 맞느냐, 이게 세법 원칙에 맞지 않는다는 불안이 분양권 전매시장에 피어올랐다.

 

그러자 기재부는 지난해 12월 27일 과거 조세심판원 심판결정이 맞다는 예규를 풀어주면서 손피거래를 보장해줬다(기재부 조세정책과-2516, 23.12.27.).

 

이는 엉터리 해석일 가능성이 컸는데 실질과세 원칙에 전혀 맞지 않는 판단이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증여세의 경우 증여세를 대납하면, 대납한 증여세들을 수렴지점까지 모두 더해 증여세를 부과한다. 대납한 증여세들만큼 증여한 것이 실질적으로 맞기 때문이다.

 

분양권 전매 양도세는 1회 대납분에 대해 과세해도 된다고 판단을 내리면, 다른 세금들도 1회 대납분만 과세해야 한다는 요구에 직면할 수 있다. 만일, 양도나 증여할 때 모두 세금을 대납하는 것으로 처리해버리면 현행 세율체계는 완전히 무너지게 된다.

 

그런데 기재부는 갑자기 지난 11월 7일 기존 예규를 완전히 뒤엎고, 분양권 전매 양도세도 증여세 등과 마찬가지로 모든 대납 양도세를 전액 과세대상으로 잡는다고 새로 예규를 풀었다(기재부 조세정책과-2048, 24.11.07.).

 

당국 측에서는 분양권 세금과 관련해 기재부가 면밀히 살피던 중 과거 사례를 고쳐 잡은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손피거래로 세금을 깎는 방식과 근거, 그 효과 모두 탈법적 영역에 있다는 비판이 한참 쏟아지고 나서 뒤늦게 예규를 수정한 건 명백히 소 잃고 외양간 고친 꼴이다. 이미 분양권 전매로 빠져나갈 사람들은 다 빠져나갔기 때문이다.

 

일단 기재부 새 예규가 풀린 11월 7일 이후 거래분에 대해선 손피거래 대납 양도세 전액이 과세하지만, 지난해 초 분양권 전매 제한 해제 이후 11월 7일 새 예규 이전 발생한 손피거래로 손실된 세금은 회수할 방법이 없다.

 

기재부의 이러한 예규 행각은 대단히 심각한 것일 수 있는데, 기재부는 과거 신라젠 매매 관련 예규를 잘못 풀었다가 감사원 감사를 받고 세제실장이 중징계 조치됐고, 해당 세제실장은 이후 자진 사퇴한 바 있다.

 

지난해는 56.4조원의 역사상 최악의 세수펑크가 발생한 해였다. 올해도 30조원 가량의 세수펑크가 발생할 예상이다.

 

국회와 당국은 지난해 기재부 예규심에서 어떤 생각으로 이러한 예규를 풀었는지, 그로 인해 지난해 분양권 전매 제한 해제부터 올해 11월 7일까지 일실한 세금은 얼마인지 담당자 등에게 엄중히 책임을 물을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송두한 칼럼] 건전재정에서 민생 확대재정으로 전환해야
(조세금융신문=송두한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 건전재정은 관치에 뿌리내린 시장주의 이념이 만들어낸 국정 기조이지만, 이제는 한국경제를 위협하는 시스템 리스크로 진화하고 있다. 세수펑크 처방전은 국채발행 금지와 부자감세 원칙을 유지하며 고강도 긴축재정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다. 세수펑크를 막기 위해 한은 급전이나 기금 돌려막기에 의존하거나, 그것도 어려우면 국민들이 더 허리띠를 졸라맬 수밖에 없다. 결국, 건전재정을 강조할수록 재정 상황이 더 불건전해지는 재정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 문제는 건전재정이 재정 이슈에 국한되지 않고 경제정책 전반에 2차 충격을 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중산층과 서민경제가 어려울 때 일방적인 민생 긴축재정을 고집하면, 구조적 소득충격이 만성적 내수불황으로 이어지는 단초를 제공하게 된다. 최근 재정발 경제위기, 즉 2년 연속 “1%대 저성장 쇼크”라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내수불황을 타개할 수 있는 특단에 특단의 내수진작책이 필요한 이유다. 진짜 건전재정은 경기가 어려울 때 재정을 풀어 경제를 살려내고 경제가 좋아져 다시 곳간을 채우는 전문 역량을 요구한다. 건전재정발 세수펑크에 더 불건전해진 나라살림
[인터뷰] 인성회계법인 이종헌 회계사 “세무회계 전문가, AI활용으로 더욱 고도화된 역할 감당해야”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지난 8월 26일 홀리데이인 인천송도 호텔에서는 ‘2024 인천지방세무사회 회직자 워크숍’이 열렸다. 상생과 화합을 다짐하는 이 자리에서는 ‘회직자가 알아야 할 회무 관련 규정’, ‘온라인 전자투표’ ‘GPT를 활용한 전문직의 미래’ 등의 다양한 주제 발표도 이어졌다. 이날 취재를 하면서 생성형 AI를 대표하는 ChatGPT 등을 세무회계 전문가들은 어떻게 준비하고 있고, 또 앞으로 어떤 또 다른 미래가 다가올까에 관심이 더해졌다. 이날 ‘GPT를 활용한 전문직의 미래’ 강의는 인성회계법인 이종헌 회계사가 맡았다. 가장 먼저 소개한 것은 AskUp(아숙업)이다. 카카오톡 채널인 아숙업을 통해 ChatGPT 무료 버전을 활용할 수 있었다. 필자도 바로 채널을 추가해서 활용해 봤다. 변화하는 세상이 한 걸음 더 다가간 느낌이 들었다. 이종헌 회계사를 만나 워크숍 참석한 세무사들의 반응과 함께 세무회계 전문가들이 앞으로 어떻게 AI를 대비하는 게 좋을까에 대해 질문을 던졌다. “강의 반응은 매우 긍정적이었습니다. 많은 세무사가 AI, 특히 GPT에 대해 큰 관심을 보이셨어요. 질의응답 시간에는 실제 업무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에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