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10 (토)

  • 흐림동두천 19.4℃
  • 구름많음강릉 23.3℃
  • 서울 24.6℃
  • 구름많음대전 29.3℃
  • 구름조금대구 30.7℃
  • 구름많음울산 24.9℃
  • 맑음광주 27.4℃
  • 구름많음부산 26.0℃
  • 구름많음고창 21.4℃
  • 구름많음제주 28.0℃
  • 흐림강화 18.8℃
  • 구름많음보은 28.5℃
  • 흐림금산 28.1℃
  • 구름많음강진군 27.2℃
  • 구름조금경주시 28.9℃
  • 구름많음거제 25.6℃
기상청 제공

(조세금융신문=김종봉 세무법인 더택스 대표세무사) 언젠가 국세청 홍보위원이었던 모 영화배우는 세금이 뭐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내가 먹은 밥값’ 같은 것으로 생각한다”고 했다.

 

본래 세금(稅金)의 稅는 禾(화)와 兌(태)가 합쳐진 것인데 여기서 兌는 ‘빼내다’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백성이 수확한 곡식 중에서 국가가 일정한 양을 거두어가는 것이다.

 

세금이 밥값이라면 내가 먹은 만큼 내는 것은 당연하다. 반면, 거두어간다고 생각하면 더 많이 거두어가는 것은 아닌지, 다른 사람들과는 형평에 맞는지, 낼 여력은 되는지 등을 본능적으로 따져 볼 수 있다.

 

세금이 무섭다(苛政猛於虎)는 이야기는 내가 먹은 밥값보다 더 많이 거두어간다는 원망의 다른 표현일지 모른다.

 

세금에 대한 생각은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난다. 필자의 생각이나 정치인 및 관료의 입장과는 사뭇 다를 수 있는 민중의 이야기가 궁금하다.

 

오래전부터 그들은 삶의 애환을 노래라는 가락에 실어 혼자 흥얼거리기도 하고 무리 속에서 함께 소리 지르기도 했다.

 

나무꾼이 불렀던 구전민요 하나, 언제부터 시작됐는지 모르지만 왠지 모를 서글픔이 배어난다. 그 놈의 세금 때문에.

 

“아무리 고생한들 가을할 보람 없네 온손배미 다 가두어도 한 솥이 못 차누나 관청의 세금 재촉 갈수록 심하여서 동네의 구실아치 문 앞에 와 고함친다”(樵夫歌/작자 미상)

 

오늘날에도 그 놈의 세금은 삶을 여전히 버겁게 한다.

 

2015년 다이나믹 듀오의 ’도돌이표‘에서는 인생 제자리 걸음이라는 한숨이 묻어있다.

 

“~에고 허리야 머리 아파 세금 땜에 적금 깨고, 세금 빼고 뭐 빼고 뭐 빠지면 주머니엔 싱크 홀 큰 구멍 뚫리네”

 

‘먹고살기 힘들다’는 Doop은 지난해에 “~세금 보험 할부 다빼니 한 달 살기도 빠듯해”라며 맞장구쳤다.

 

2018년 래퍼 창모는 ‘Selfmade Orange’에서 “~평생 내가 써버려 버린 돈에 비하면 올해 내버릴 내 세금이 더해”라며 불만을 터뜨린다.

 

정부 정책을 꼭 집어 비판한 노래도 더러 있다. 담뱃값 인상 직후에 나온 곡이다.

 

2015년 베어제트의 ‘재떨이에 침 뱉지 마’는 애연가들의 절규를 연상케 한다.

 

“~우리가 담뱃값으로 내는 세금이 얼마인데, 죄인 취급을 받아야 하나요, 전국의 흡연자들이여 일어나라 우리의 권리를”

 

정치인과 공직자를 비판하는 노래도 빠지지 않는다. 정치 풍자곡으로 대표적인 것이 2017년에 이승환이 노래한 ‘돈의 신’이다.

 

“~니가 하면 투기 내가 하면 투자 니가 하면 사기 내가 하면 사업, 나는 나는 돈의 신 오 나의 세금들” 코드쿤스트가 2017년 노래한 ’Born from the Blue‘, 2012년도에 나온 헤피씰의 ‘공공의 쓰레기들’에서는 세금이 누군가의 부정부패에 이용되는 점을 신랄하게 꼬집었다.

 

N.E.X.T.(2008년)의 ‘The Empire Of Hatred’에서는 정부가 내게 단지 세금만을 원한다며 세상을 미워하고 증오하고 싫어한다는 퍼포먼스를 펼친다.

 

‘뉴 히피 제너레이션’(2008년)에서 페퍼톤스는, “~햇살엔 세금이 안 붙어 참 다행이야 오늘 같은 날 내 마음대로”라며 자신을 위로하기도 한다.

 

세금을 이야기한 노래는 생각보다 많고 장르도 다양하다. 요즘 가요 트렌드처럼 특정 프레임에 매여 있기를 거부한다.

 

하고 싶은 이야기는 그냥 지나치지 않으며, 풍자나 감정 표현도 직설적이다. 다소 왜곡되거나 뜬금없는 내용도 있다. 듣고 있거나 따라 부르기가 민망한 경우도 있다. 그러나 그 속에도 스토리가 있다.

 

나빠 보이는 것이 더 나쁜 것을 예방할 수 있다면 이 또한 의미 있는 일이다.

떼려야 뗄 수 없는, 세금 그 놈 참.

 

[프로필] 김종봉 세무법인 더택스 대표세무사

 ‧ 서울청 국선세무대리인
 ‧ 중부청 국세심사위원
 ‧ 가천대학교 겸임교수
 ‧ 행정자치부 지방세정책포럼위원

 ‧ 가천대학교 경영학 박사
                             ‧ 국립세무대학 3기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칼럼] 히로시마 G7 정상회담 초청받은 한국, 진짜 실리는 지금부터
(조세금융신문=이상현 편집국 부국장) 선진 7개국 정상회담(G7)이 일본 히로시마에서 지난 21일 막을 내렸다. 예상대로 국내에서는 여야가 상반된 평가를 내렸다. 집권 국민의힘은 ‘실리외교를 위한 윤석열 정부의 노력이 결실을 맺기 시작했다’고 평가했다. 윤 대통령이 다자회의에서 G7과의 협력을 통해 취약국과 개발도상국을 지원하기로 하는 등 글로벌 중추국가 위상을 보여줬다는 것이다. 반면 야당은 ‘그림자에 그친 들러리 외교’였다고 비판했다. 윤 대통령이 후쿠시마 오염수와 수산물 문제에 침묵했다는 지적이 비판의 주된 초점이었다. 여야 각각의 평가에서 한걸음 물러나 G7 회원국 전체의 성과를 보자면 국제관계의 진영화를 돈독히 해서 ‘신냉전’의 공고화를 꾀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한때 지구촌 의제를 이끌던 G7이 2023년에는 크게 저하된 모습이다. 우선 금융 및 경제 안정을 위해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자임했던 G7 국가들은 2023년에 찾아 볼 수 없다. 2008년 금융위기 당시에도 극명해진 것처럼, 회원국 내의 의견 불일치는 명백히 드러나 버렸다. G7은 최근 몇 년간 경제는 물론 국제정치, 외교 영역에 그다지 큰 존재감을 보여주지 못했다. 중국과 인도 등의 급성
[초대석] 정재열 제27대 신임 한국관세사회장, "관세사 업무영역 확대에 총력"
(조세금융신문=대담 이지한 편집위원, 촬영 김종태 기자) 한국관세사회는 지난 3월 29일 개최된 47차 정기총회에서 서울본부세관장 출신의 정재열 후보를 제27대 회장으로 선출했다. 정재열 회장은 한국관세사회 역대 최대로 5명의 회장 후보가 치열한 경쟁을 벌인 끝에 35.9%의 득표율로 다른 후보들을 제치고 회장에 당선됐다. 정 회장은 회원들을 만나 많은 의견을 나누고 있다면서 회원들의 가장 큰 고충은 무엇보다 관세사 업역과 시장 규모의 확대라고 말했다. AI 등의 출현으로 관세사업계에도 큰 변화가 다가오면서 회원들은 절박함 속에 위기감을 느끼고 있어 기존 관세사 업무 외에 영역으로의 확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다짐이다. 한국관세사회관을 찾아 정재열 회장을 만났다. <편집자주> Q. 먼저 제27대 한국관세사회장으로 당선되신 것을 축하드립니다. 회원과 독자들에게 감사 인사를 전해주시죠. A. 축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당선 이후 정말 많은 분께서 축하해 주셨습니다. 이 자리를 빌려 다시 한 번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관세사업계가 처한 여러 현안이 많고 어려운 시기에 회장을 맡아 개인적으로 영광인 반면 동시에 막중한 책임감도 느끼고 있습니다. 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