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9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증권

주사위 던져진 카카오뱅크, 최소 3주 균등배정…단타냐 장투냐

경쟁률 182.7대 1로 최종 집계…내달 6일 상장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인터넷전문은행 카카오뱅크의 일반투자자 대상 공모주 청약이 182대 1 경쟁률을 기록하며 마감했다.

 

역대 최고 경쟁률 달성에는 실패했으나, 이번엔 앞서 SK아이테크놀로지와 SK바이오사이언스와 달리 중복청약이 안됐던 점을 감안하면 선방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만약 청약 최소 단위인 10주를 신청했다면 균등 배정으로 최소 3주를 받게 될 전망이다.

 

27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뱅크 공모주 청약을 받은 KB증권, 한국투자증권, 하나금융투자, 현대차증권 등 4개 증권사의 청약 증거금이 총 58조302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통합 경쟁률은 182.7대 1로 최종 집계됐다.

 

증권사별로는 한국투자증권(24조1814억원)이 207.4대 1로 경쟁률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현대차증권(2조1845억원)이 178.0대 1, KB증권(28조8537억원)이 168.0대 1, 하나금융투자(3조787억원)가 167.3대 1 순이었다.

 

청약 건수는 4개사 통합 총 186만44건을 기록했다. 한국투자증권(87만4665건), KB증권(83만1431건), 하나금융투자(10만4998건), 현대차증권(4만8950건) 순이다.

 

◇ 1인당 3∼6주 균등배정 관측…IPO대어 흥행세 잇나

 

이번 청약은 증권사별 배정물량 중 절반은 최소물량인 10주 이상 청약자들에게 똑같이 배분하는 균등 배정 방식을 적용한다.

 

청약 최소 단위인 10주에 해당하는 증거금 19만5000원을 내면 배정을 기대할 수 있다.

 

증권사별 균등 물량에서 청약 건수를 나눈 예상 균등 배정 주식수는 KB증권 5주, 한국투자증권 3주, 하나금융투자 4주, 현대차증권 6주 등이다.

 

균등 배정을 제외한 나머지 절반은 비례 방식으로 배정한다.

 

경쟁률을 고려해볼 때 비례 물량은 증거금으로 650만원∼800만원가량을 넣은 청약자부터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증거금이 약 1억원일 경우 비례 12∼15주를 받을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다만 전문가들은 성장성이 있는 기업의 경우 상장 첫날 곧바로 던지는 단타보다는 장기투자하기를 조언한다.

 

공모주 청약이 마무리된 만큼 관건은 상장이다. 최근 IPO 대어들이 상장 이후 주가가 빠지는 상황이 잇따라 발생하고 있으나, 결국 IPO 대어의 경우 소폭이라도 상장 첫날 주가보다는 상승세를 띄며 투자자들을 배신하지 않는 분위기다. SK바이오사이언스, SK아이이테크놀로지 등 많은 관심을 받은 IPO 대어의 경우 공모가 대비 100% 이상의 수익을 내는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한편 일반 청약을 마무리한 카카오뱅크는 다음 달 6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시론] 이재명 vs 김문수, 조세정책의 길을 묻다
(조세금융신문=안경봉 국민대 명예교수, 법무법인 율촌 상임고문) 2025년 대선을 앞두고 조세정책은 단순한 세금의 많고 적음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의 철학과 재정의 지속 가능성을 가늠하는 척도가 되고 있다. 세금은 사회계약의 이행 수단이며, 공공서비스의 재원일 뿐 아니라 미래세대와의 약속이라는 점에서 각 후보의 조세 비전은 중요한 정책 선택의 기준이 된다. 이재명 후보는 ‘조세 정의’와 ‘보편 복지’를, 김문수 후보는 ‘감세와 시장 자율’을 중심 기조로 내세운다. 이처럼 상반된 철학이 세금 정책으로 어떻게 구체화되는지를 살펴보는 일은 유권자에게 실질적 판단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이재명 후보: 분배 정의와 조세 환류 이재명 후보는 국토보유세, 금융소득 통합과세, 디지털세, 탄소세 등 자산과 환경에 기반한 새로운 세목의 신설 또는 기존 세목의 강화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과세를 통해 형성된 세수를 ‘조세환급형 기본소득’ 형태로 전 국민에게 보편적으로 환급함으로써, 소득 재분배와 소비 진작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금융소득 통합과세는 기존의 분리과세 방식을 폐지하고 이자‧배당 등 금융소득을 종합소득에 포함시켜 누진세를 적용함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