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7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문화

[클래식&차한잔] 눈이 내리네(Tombe La Neige)

살바토르 아다모(Salvatore Adamo)

 

(조세금융신문=김지연 음악전문기자) 오랜만에 샹송을 들고 왔습니다.

겨울엔 꼭 한 번 들어 주어야 하는 노래. ‘눈이 내리네’입니다.

 

첫 가사는 무척 자주 들어봤을 겁니다.

“Tombe la neige(똥브~라 네쥬~)”

프랑스어의 원어 발음이 익숙치 않던 옛 시절에는 그 뭉글뭉글하고 생소한 발음이 개그의 소재가 되어 웃음을 주기도 했던 기억이 납니다.

 

눈 내리는 날 오지 않는 연인을 기다리는 애타는 마음.

추위와 침묵, 절망으로 새까만 맘과 그 마음을 아는지 모르는지 무심한 듯 내리는 새하얀 눈의 대비. 거기에 슬픈 가사의 내용만큼이나 구슬프고 낭만적인 멜로디를 베이스로 놓은 명곡입니다.

 

살바토르 아다모(Salvatore Adamo)

 

작사 작곡을 한 살바토르 아다모는 이탈리아에서 태어나 벨기에에서 자란 작곡 작사가 겸 가수입니다.

 

그는 비록 가난한 광부의 아들이지만 부모의 교육열 덕분에 카톨릭 부속학교에서 공부를 할 수 있었습니다.

 

어려서부터 음악과 문학에 재능을 발휘하여 여러 오디션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하였고, 이미 십대에 1962년 “샹 뚜아 마미(Sans Toi Ma Mie-그대 없이는)를 히트 시킨 그는 이듬해 1963년, 연이어 ‘눈이 내리네’를 발표하여 세계적인 인기를 얻게 됩니다.

 

그는 프랑스인이 아니지만 불어노래를 가장 많이 불렀으며 그 외에도 5개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했기 때문에 다양한 언어로 노래가 가능했답니다. 심지어 한국어로도 이 곡을 불렀다고 합니다.

 

살바토르 아다모는 상업적으로도 성공하고, 여러 세계적인 NGO활동에도 의미있는 참여를 하는 등 여러모로 성공한 가수의 좋은 모델입니다.

 

올해도 추위가 만만치 않습니다. 하루의 일교차도 크구요. 한낮 영하의 온도를 꿋꿋이 지키는 참으로 얄미운 날씨입니다.

 

매년 그렇지만 추위는 참 적응하기가 쉽지 않네요. 좀체 내성이 생기질 않습니다. 기후의 체계가 갈수록 무너지는 탓인지 ‘삼한사온’이라는 루틴이 적용되지 않고 춥기만한 날도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겨울 소복소복 쌓이는 눈 내리는 날은 그나마 포근함이 있어요. 그런 날엔 하얀 눈과 창가, 진한 커피 한잔과 감성어린 노래 한 곡이면 위로가 되지요.

 

백색도화지와 같은 눈밭에 올해 원하는 일들도 하나씩 적어 나가봅니다.

쌓이는 눈에 이내 글이 사라지겠지만 뭐 어떻습니까, 또 쓰면 되지요.

 

한 해도 이렇게 살아봅시다. 새해에 계획했던 일들이 살다가 흐트러지면 뭐 어때요,

다시 써보면 되지요.

 

‘눈이 내리네’ 듣기

 

[프로필] 김지연

•(현)수도국제대학원대학교 외래교수

•(현)이레피아노원장

•(현)레위음악학원장

•(현)음악심리상담사

•(현)한국생활음악협회수석교육이사

•(현)아이러브뮤직고양시지사장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젊기도 설워라커늘 짐을 조차 지라고 해서야
(조세금융신문=손영남 편집국 부국장) 식당이나 술집 계산대 앞에서 옥신각신하는 모습은 우리에겐 일상과도 같다. 서로 내겠다며 다툼 아닌 다툼을 벌이는 모습이야말로 그간의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모습이었달까. 주머니의 가벼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그런 대범함(?)은 그만큼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깔려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앞으론 그런 훈훈한 광경을 보지 못하게 될 확률이 높다. 요즘의 젊은 친구들, 그러니까 소위 MZ세대라고 불리는 층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가 먹지도 않은 것까지 계산해야 한다는 걸 받아들일 수 없는 이들이 MZ세대다. 누구보다 실리에 민감한 세대인 탓이다. 그들을 비난할 의도는 전혀 없다. 오히려 그게 더 합리적인 일인 까닭이다. 자기가 먹은 건 자기가 낸다는 데 누가 뭐랄까. 근데 그게 아니라면 어떨까. 바꿔 생각해보자. 다른 사람이 먹은 것까지 자기가 내야 한다면 그 상황을 쉬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더구나 그게 자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작금의 연금 개혁안을 두고 MZ세대들이 불만을 토하고 있는 현 상황이 딱 그 꼴이다. 어렵게 번 돈을 노후를 위해 미리 쟁여둔다는 것이 연금의 기본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