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17 (금)

  • 구름많음동두천 -0.4℃
  • 구름조금강릉 4.5℃
  • 흐림서울 1.4℃
  • 구름많음대전 4.9℃
  • 구름조금대구 4.0℃
  • 맑음울산 4.2℃
  • 구름많음광주 4.7℃
  • 맑음부산 5.4℃
  • 구름많음고창 5.7℃
  • 흐림제주 6.7℃
  • 구름많음강화 2.7℃
  • 구름많음보은 2.3℃
  • 구름많음금산 3.0℃
  • 구름조금강진군 6.8℃
  • 구름많음경주시 3.5℃
  • 맑음거제 4.6℃
기상청 제공

금융투자

‘아시아 최대 블록체인 행사’ KBW2023: IMPACT, 성공적 마무리

임팩트 6000여명 참석, '더 게이트웨이: 코리아' 4000명 참석 예상
제레미 알레어·비탈릭 부테린 높은 관심, 비트고-하나은행 MOU 발표 등
'더 게이트웨이: 코리아' '소울바운드' 다양한 이벤트 풍성

 

(조세금융신문=안종명 기자) 아시아 최대 블록체인 행사인 코리아블록체인위크 2023 (Korea Blockchain Week 2023, 이하 KBW2023)의 메인 컨퍼런스 임팩트(IMPACT)가 뜨거운 열기 속에 성료됐다.

 

웹3.0 커뮤니티빌더 팩트블록은 지난 5~6일 양일간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개최된 블록체인 컨퍼런스 'KBW2023: IMPACT'에 6000여명의 참가자가 방문했다고 6일 밝혔다. 

 

앞서 팩트블록은 행사장 안전을 고려해 3000장까지만 티켓을 판매하고 행사 나흘전인 9월1일 티켓판매를 조기 종료한 바 있다.

 

KBW의 또 다른 메인 이벤트 ‘더 게이트웨이: 코리아’(The Gateway: Korea) 방문객이 4000명 수준으로 예상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올해 KBW2023의 임팩트와 더 게이트웨이: 코리아 방문자는 외국인 비중 40%를 포함해 1만명이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 

 

‘더 게이트웨이: 코리아’는 7~8일 서울 성수동 에스팩토리에서 진행된다. ‘NFT 아티스트’ 비플(Beeple)이 기조연설하고 자신의 작품 ‘EVERYDAYS: 2022 COLLECTION’를 처음 공개한다. 스폰서로 참여하는 크리스티즈는 미국 그래피티 아티스트 ‘키스해링’(Keith Haring)의 NFT 시리즈를 공개한다. 

 

행사 이틀째인 6일 강연 가운데 가장 높은 관심을 받은 강연자는 제레미 알레어 써클 공동 창업자 겸 CEO다. 그는 이날 '탈중앙화 경제에서 스테이블코인의 역할: 화폐의 HTTP'라는 주제로 기조 연설했다. 그는 인터넷에서 원활한 데이터 교환의 기반이 되는 HTTP처럼 디지털 경제에서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거래를 가능케 하는 스테이블코인의 역할을 강조했다.

 

 

KBW2023: IMPACT의 메인스폰서인 위메이드의 장현국 대표는 다양한 블록체인을 상호 연결해 거대한 생태계를 형성하는 위믹스의 새로운 프로젝트 ‘우나기(unagi)'를 공개하기도 했다.

 

 '위믹스3.0' 블록체인 메인넷을 통해 DAO와 NFT의 조합으로 토큰 경제를 발전시키고, 디파이 서비스와 결합된 가치 있는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장 대표는 “'우나 월렛'(una Wallet)을 통해 이종 체인 간 자산을 하나로 연결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며 “8개의 서로 다른 체인 생태계가 위믹스와 융합돼 거대한 메가 에코 시스템을 형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밖에도 ▲샌디프 네일월 폴리곤랩스 공동창업자 ▲에드 펠튼 오프체인랩스 설립자 ▲아서 헤이즈 말스트롬 CIO ▲댄 헬드 트러스트 머신스 마케팅 고문 ▲파스칼 고티어 렛져 CEO ▲세르게이 나자로프 체인링크 공동설립자 등도 주요 연사로 나섰다.

 

올해 6회째를 맞은 KBW2023: IMPACT는 웹3.0 커뮤니티빌더 팩트블록이 설립해 주최하고 있으며, 블록체인 벤처캐피탈 해시드가 공동 주최하고 있다.

 

 

이번 행사를 위해 위메이드, BRV 캐피탈매니지먼트가 타이틀 스폰서로 함께했으며 프리미엄 스폰서로 써클, 토미, 칠리즈, 트론, 롯데그룹 계열사 칼리버스가 함께하고 SK텔레콤이 골드 스폰서로 참여했다.

 

KBW2023은 메인 컨퍼런스 ‘IMPACT’ 외에도 세계적인 웹 3.0 이벤트인 '더 게이트웨이: 코리아'와 기술 융합 EDM 축제 '2023 마이크로서울 페스티벌 서울바운드'가 각각 9월 7~8일, 9일~10일에 예정되어 있어 남은 KBW2023 기간동안 더욱 다양한 즐길거리를 제공한다.

 

전선익 팩트블록 대표는 “올해도 KBW가 업계 리더들과 함께 블록체인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혁신하는 기술에 대해 공유하고 교류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됐다고 평가한다”며 “KBW는 블록체인 업계를 선도하는 웹3 커뮤니티 플랫폼으로서 앞으로도 블록체인 생태계의 성장과 발전을 주도하는 역할을 계속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해시드 김서준 대표는 “KBW2023은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됐으며 전세계에서 200명 이상의 연사들이 참여했고 주말까지 230개 이상의 사이드 이벤트가 진행된다” 며, “한국시장의 역량과 기회에 주목하는 글로벌 블록체인 산업의 리더들과 함께 국내 Web3 스타트업 생태계가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지원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관련태그

블록체인  이더리움  우나기  위메이드  위믹스  블록체인위크  KBW 2023  더케이트웨이 코리아













전문가 코너

더보기



[시론] 정치와 세금: 세법개정안의 쟁점과 정치적 함의
(조세금융신문=안경봉 국민대 법대 교수) 2024년 세법 개정안은 경제 활성화와 조세 정의 사이에서 균형을 찾으려는 노력의 결과로, 이를 둘러싼 정치적 논쟁이 뜨거웠다. 지난 12월 10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2024년 세법개정안은 총 13개였는데, 그 중 부가가치세법, 조세특례제한법은 정부안이 수정 가결되고, 상속세 및 증여세법은 정부안이 부결되었다. 상속세 과세 체계 개편 및 가업승계 활성화가 핵심이었던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정부개정안은 부결된 반면, 금융투자소득세 폐지와 가상자산 과세 2년 유예의 쟁점이 있었던 소득세법 개정안은 원안대로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다. 또한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세제지원 확대, 주주환원 촉진세제 도입, 통합고용세액공제 지원방식 개편, 전자신고세액공제 축소 등의 쟁점을 가진 조세특례제한법은 삭제 혹은 현행 유지하는 것으로 국회 본회의에서 결론이 났다. 이번 논의의 중심에 섰던 세제 관련 사안들은 단순히 세제 개편 문제를 넘어 정치적 함의를 담고 있다. 왜 세법은 매번 정쟁의 중심에 서게 되는가? 이 질문은 정치와 세금의 복잡한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세법 개정 논의의 주요 쟁점 이번 정기국회에서 가장 논란이
[초대석] ‘세금과 삶’ 법률사무소 전정일 변호사…국세청 15년 경험 살려 납세자 권리 구제 큰 역할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지난 2022년 파주세무서장으로 활약하던 전정일 변호사는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통일되면 개성세무서장을 맡고 싶다”라는 힘찬 포부를 밝혔다. 언제 통일이 이뤄질지 누구도 모르지만, 통일 대한민국 개성에서 국세 공무원의 소임을 다하고 싶다는 소망을 전한 것이었다. 그로부터 약 2년 후 전정일 전 파주세무서장은 서울지방국세청 국제조사관리과장을 끝으로 국세청을 나와 지난 22대 총선에서 파주시(을) 예비후보로 정치에 입문했고, 이후 준비기간을 거쳐 ‘세금과 삶’ 법률사무소를 열었다. 국세청에서 송무 업무는 물론 변호사 출신 최초로 대기업 등 세무조사 현장 팀장과 조사과장까지 역임한 그가 이제는 납세자를 위한 불복 소송 대리, 세무조사 대응, 신고 대리 등 정반대의 역할을 맡게 됐다. 국세청에서 전도유망했던 그가 꿈을 위해 도전장을 던진 파주는 물론 수도권과 전국의 납세자들을 위한 최상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한다는 포부를 갖고 문을 연 법률사무소 ‘세금과 삶’에서 전정일 변호사를 만났다. Q. 지난 연말 ‘세금과 삶’ 법률사무소를 열고 조세 전문 변호사로 새로운 출발을 하셨습니다. 소감을 먼저 전해주시죠. A. 지면으로 인사드리게 되어 기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