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기상청 제공

식품 · 유통 · 의료

"프랜차이즈 창업, 인기 브랜드 매장서 체험하고 결정하자"

한국프랜차이즈協, ‘프랜차이즈 체험창업 프로그램’ 참여자 선착순 모집
서울·부산서 창업 교육 및 전문가 상담...치킨·커피·편의점 등 25개 브랜드 매장 운영 경험 제공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인기 프랜차이즈 매장에서 창업에 필요한 경험과 노하우를 전수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마련됐다.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회장 정현식·이하 협회)가 ‘2023년 프랜차이즈 체험창업 프로그램’ 참여 희망자를 선착순으로 모집 중이라고 10일 밝혔다.

 

‘프랜차이즈 체험창업 프로그램’은 가맹점 창업 시 필요한 교육을 제공하고, 참여자 워크숍과 전문가 상담, 현장 매장 체험실습 등 창업 희망자들의 역량을 강화하여 준비된 창업을 유도하는 정부 지원사업이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이영)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사장 박성효)이 주최하고, 협회가 사업 전반을 운영한다.

 

협회는 서울과 부산에서 참여자들에게 1일 과정으로 창업 절차, 아이템 선정 방법, 상권입지분석, 가맹사업 관련 법·제도 및 계약 등 필수 역량에 대한 공통 교육을 제공한다.

 

 

지난달 27일 1회차 교육을 시작으로 이달 17일(서울), 24일(부산), 30일(서울) 교육이 열릴 예정이며, 11월까지 서울 2회, 부산 1회 등 매월 2~3회 이상 교육이 진행된다. 특히, 올해는 지난해 참여자들의 의견을 반영해 실제 가맹점사업자들의 생생한 경험과 노하우를 듣고 소통하는 참여자 워크숍을 신설, 매월 1회 개최한다.

 

이후 참여자들은 원하는 순서에 따라 참여 브랜드 중 자신이 원하는 곳에서 매장 운영을 체험하고 창업 전문가들의 맞춤 상담을 제공받는다.

 

매장 실습에서는 ▲푸라닭 ▲텐퍼센트스페셜티커피 ▲고피자 ▲생활맥주 ▲이마트24 ▲커브스 ▲얌샘김밥 등 인기가 높은 25개 참여 브랜드의 실제 매장에서 매달 각 본사들이 직접 이론과 실무 교육을 수행한다. 올해는 참여자들의 선택권 확대를 위해 참여 브랜드 수가 지난해 10여개에서 대폭 늘어났다.

 

 

전문가 상담에서는 예비창업자의 준비단계에 맞춰 창업 아이템, 브랜드, 예산, 지역·상권 등 다양한 고민들에 대해 체계적인 컨설팅을 제공한다.

 

참여 신청은 협회 홈페이지 또는 포털에서 'K프랜차이즈'를 검색해 협회 창업 플랫폼 ‘프랜차이즈종합지원시스템’에 접속, ‘매장 실습’ 메뉴에서 공통교육을 신청하면 된다.

 

체험창업 프로그램은 교육과 실습, 상담 등 전 과정이 전액 정부지원금으로 진행되며, 프로그램 이수 후 희망 브랜드로 실제 창업할 경우 특전도 제공된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문가 코너

더보기



[김종규 칼럼] 나는 국세청 공무원입니다
(조세금융신문=김종규 본지 논설고문 겸 대기자) 세금 매기고 받아들이는 일에만 죽자살자고 일념으로 직진하다 보니 자기보호는 정작 ‘플랜B’다.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단다. 그런데도 60년이 다 가도록 국세청은 그대로다. 자신을 먼저 감싸기에 인색한 원초적 태생 탓일까. 초대 이낙선 청장 때부터 숱한 혼란스러운 사건, 그리고 납세자의 따가운 시선과 질타가 뒤섞인 비아냥을 당한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그간 과세권인 법적 강제성의 힘을 통해서 과잉과세 남용이 판을 친 추계과세 행정의 질곡 상황이 그대로 풍미(風靡)해 온다. 아날로그 시대의 과세 관행이 씨앗이나 된 듯 빈번한 조사권 남발이 오작동을 일으킨다. 끝내, 그들 탓에 세무비리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전이되듯 번졌던 때도 바로 그때다. 사실 과잉징수행정이 남용되어온 가운데 권위적이고 권력형 과세권 행사가 그 한복판에 혼재되어온 경우도 그 당시에는 드문 일만은 아니다. 과세권자의 추상같은 재량권이 파죽지세로 창궐했던 그 인정과세 때다. 마치 밀도 있게 주도해온 관치 세수 행정의 벽이 너무 높다 보니 세법 조문은 뒷전이고 명문 규정보다는 조사현장의 소득 적출 비율에 더 관심이 컸던 것처럼 말이다. 언필칭, 세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