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기상청 제공

식품 · 유통 · 의료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필수 역량 강화...'제11기 KFCEO 교육과정' 3월 20일 개강

성공 CEO 토크쇼 등 리더 역량 제고를 위한 현장성 강화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회장 정현식·이하 협회) 공식 CEO 과정인 ‘제11기 KFCEO(K-프랜차이즈 CEO) 교육과정’(주임교수 이경희 부자비즈 소장)이 3월 20일 개강을 앞두고 11기 신입 원우를 모집하고 있다.

 

제11기 과정은 <프랜차이즈 현장에서 답을 찾다>를 주제로,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에서 3월 20일부터 6월 19일까지 14주간 매주 월요일 15~18시에 진행된다. 특히, 포스트 코로나 시대 재도약의 시기를 맞아 실질적인 리더 역량 제고를 위한 현장성 강화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번 과정에서는 ▲UN SDGs 협회 글로벌지속가능한 브랜드 40에 선정되어 ESG경영을 선도하는 ㈜한솥의 이영덕 회장 ▲소상공인으로 출발해 매출 2천억원대의 아시아 대표 뷰티회사를 키워낸 준오헤어의 강윤선 대표 ▲코로나19를 오히려 기회로 삼아 주점업계 신화를 쓴 역전할머니맥주 소종근 전 대표 ▲무항생제 닭 사용 등 대표적인 그린 브랜드로 성장한 자담치킨 나명석 회장 등 성공 CEO들이 원우들과 직접 소통한다.

 

또, ▲국수나무 성공에 이어, MZ세대 타깃 신규 브랜드를 성공적으로 런칭한 미도인 정민섭 대표 ▲레스토랑, 콘텐츠, 제조를 결합한 미래형 한식 사업 모델을 선도하는 나루가온 박효순 대표 ▲수제맥주 프랜차이즈 시장을 선도하는 생활맥주 임상진 대표 ▲짜먹는 죽간편식 등 새로운 간편 한식 문화를 만들고 있는 죽이야기 임영서 대표 ▲‘와바’로 세계맥주붐을 주도한 이효복 인토외식산업 대표 등 프랜차이즈 업계를 대표하는 성공 CEO들도 성공 노하우를 직접 전수한다.

 

이밖에 ▲식품위생 종합관리 전문 프랜차이즈 브랜드 벨킨스 함지훈 대표 ▲푸드테크 성공신화에 이어, 장부대장으로 배달업계 플랫폼 신화에 도전하는 푸드노트 강병태 대표와 ▲농산물 전처리 전문 스타트업 베지스타 한형석 대표의 특강과 토크쇼도 진행된다.

 

또, 기업 현장 탐방 프로그램으로 기영에프앤비 사옥을 방문하고 1박 2일 워크숍을 통해 세계적인 최첨단 로스팅 시설을 갖춘 이디야 드림팩토리, 지역 전통식품의 산업화를 이끌고 있는 신세경 대표의 서해수산푸드를 탐방한다. 수료생은 KFCEO 총동문회는 물론, 국내 프랜차이즈 산업을 대표하는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네트워킹 행사에 참여해 국내 프랜차이즈 업계의 오피니언 리더 그룹으로 활동할 기회가 부여된다.

 

한편, KFCEO 과정은 지난 2014년 협회가 출범시킨 공식 CEO 교육과정으로, 10년여 동안 성공 프랜차이즈 리더의 산실로 자리잡고 있다. 수강 대상은 가맹본부를 운영 중인 대표 또는 2~3세 경영자, 본사 창업 희망자 또는 협력사 대표 등이다. 협회 회원, 원우 추천 등의 경우 수강료 할인 혜택이 제공되며, 자세한 사항은 협회 홈페이지를 참고해 문의하면 된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상법 개정, ‘주주권 강화’ 명분에 가려진 기업 현실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지난 7월 3일, 기업 경영의 틀을 바꾸는 1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공포된 개정안에는 이사의 충실의무 명문화, 독립이사 제도 강화, 감사위원 선임 시 3%룰 확대,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번 상법 개정안은 단순한 법 조항의 손질을 넘어, 기업 지배구조의 권력 중심이 경영진에서 주주로 옮겨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추가로 논의 중인 법안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집중투표제 확대, 배임죄 적용 요건 정비 등 주주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재벌 중심의 폐쇄적 지배구조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가운데, 이번 개정은 우리 기업 환경이 '주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늘 그렇듯, 제도의 의도가 현실에서 그대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한 것은 자본시장에서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그간 다수의 이사들이 ‘회사를 위한 결정’이라며 무책임하게 의사결정을 내리고, 손실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해 왔던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법의 칼날은 양날이다. 충실의무가 자칫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