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7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식품 · 유통 · 의료

“지역 경제 회복 견인”…'KFA 프랜차이즈 창업박람회 대구' 개막

11~13일, 엑스코 2홀서 184개 부스 규모…“안정적 창업 확산, 소비 회복 촉진 견인”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올해 코로나19 방역 종식에 맞춰 프랜차이즈 창업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는 가운데, ‘2023 KFA 프랜차이즈창업박람회 대구’가 프랜차이즈 성지 대구 엑스코 2홀에서 11일 개막했다.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대구·경북지회(지회장 김병철·이하 대경지회)이 주최·주관하고 대구광역시가 후원하는 이번 박람회는 81개사 89개 브랜드 184개 부스가 참가한 지역 최대 규모 창업 박람회다.

 

이날 열린 개막식에는 정현식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장, 이병억 명예회장, 최성수 수석부회장, 김성윤 박람회위원장, 김병철 대경지회장, 오몽석 부울경지회장 등 협회 임원단과 안중곤 대구시 경제국장, 하병문 대구시의회 부의장, 이태손 대구시의회 경제환경위원장 등 지자체·경제계 인사까지 총 30여명이 참석했다.

 

정현식 협회장은 인사말에서 “프랜차이즈 창업 수요가 늘고 있지만, 최근 경영환경이 매우 어렵고 지역 경제도 성장률 둔화 우려가 있다”면서 “박람회를 계기로 안정적 창업모델을 확산하고 연구개발, 철저한 관리 노력으로 소비 회복을 촉진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전시장에는 개막일 오전부터 입장 대기줄이 형성되는 등 지역 창업희망자들의 뜨거운 참가열기가 이어졌다. 참관객들은 자신의 창업 상황에 맞는 부스를 찾아 분주히 상담을 받고 비교·선택을 위한 고민을 이어갔다. 또, 교육·세미나를 통해 필수 창업 지식을 익히고 창업에 필요한 협력업체 부스를 둘러보며 활기를 띄었다.

 

이번 박람회에는 프랜차이즈 성지답게 ▲꼬지사께 ▲33떡볶이 ▲걸작떡볶이치킨 ▲커브스코리아 ▲신참떡볶이 ▲꾸브라꼬숯불두마리치킨 ▲텐퍼센트커피 ▲오레시피·교맥동 ▲가자주류 ▲샐러디 ▲생활맥주 ▲기영이숯불두마리치킨 ▲아몽즈커피 ▲치맥킹 ▲신불떡볶이 ▲명인만두 ▲장모님치킨 등 유망 토종 브랜드들과 우수·유명 브랜드들이 대거 참여했다.

 

또, ▲대한가맹거래사협회 ▲한국공정거래조정원 ▲한국우편사업진흥원 ▲대구지방국세청 등 기관·단체들이 올바른 창업을 위한 지식과 정보, 상담을 제공하고, ▲지니코드 ▲지엠에스티 ▲폴라리스쓰리디 ▲마이프차 등도 협력업종으로서 창업 희망자들의 선택권을 넓힌다.

 

특히 ▲하반기 트렌드(이홍구 창업피아 대표) ▲법률 체크포인트(조은혜 변호사) ▲창업 인사이트(김현 인싸맨 대표) ▲손쉬운 노무관리(이금고 노무법인 C&B 대표노무사) ▲포스트 코로나 시대 창업전략(민유식 FRMS 대표) ▲상권입지 분석(권영산 오앤이외식창업 대표) 등 업계 전문가들이 예비창업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을 진행해 유익함을 더한다.

 

이날 개막한 ‘2023 KFA 프랜차이즈 창업박람회 대구’는 11일까지 3일간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열린다. 참관 희망자는 현장에서 입장권 구매(5,000원) 후 입장할 수 있고, 전날까지 홈페이지 사전등록을 완료한 참관객은 무료입장이 가능하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관련태그

KFA  프랜차이즈  대구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젊기도 설워라커늘 짐을 조차 지라고 해서야
(조세금융신문=손영남 편집국 부국장) 식당이나 술집 계산대 앞에서 옥신각신하는 모습은 우리에겐 일상과도 같다. 서로 내겠다며 다툼 아닌 다툼을 벌이는 모습이야말로 그간의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모습이었달까. 주머니의 가벼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그런 대범함(?)은 그만큼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깔려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앞으론 그런 훈훈한 광경을 보지 못하게 될 확률이 높다. 요즘의 젊은 친구들, 그러니까 소위 MZ세대라고 불리는 층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가 먹지도 않은 것까지 계산해야 한다는 걸 받아들일 수 없는 이들이 MZ세대다. 누구보다 실리에 민감한 세대인 탓이다. 그들을 비난할 의도는 전혀 없다. 오히려 그게 더 합리적인 일인 까닭이다. 자기가 먹은 건 자기가 낸다는 데 누가 뭐랄까. 근데 그게 아니라면 어떨까. 바꿔 생각해보자. 다른 사람이 먹은 것까지 자기가 내야 한다면 그 상황을 쉬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더구나 그게 자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작금의 연금 개혁안을 두고 MZ세대들이 불만을 토하고 있는 현 상황이 딱 그 꼴이다. 어렵게 번 돈을 노후를 위해 미리 쟁여둔다는 것이 연금의 기본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