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기상청 제공

“2023년 한 해 빛낸 최고의 프랜차이즈는 다비치안경”

산업통상자원부·한국프랜차이즈協, '2023 제24회 한국프랜차이즈산업발전 유공' 개최
국무총리표창에 '컴포즈커피', '아소비'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다비치안경(㈜다비치안경체인·대표 김인규)이 20일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방문규·이하 산업부)와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회장 정현식·이하 협회)가 개최한 ‘2023 제24회 한국프랜차이즈산업발전 유공’ 시상식에서 올 한 해를 빛낸 최고의 프랜차이즈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협회는 20일 서울 강남구 호텔리베라에서 올해 산업 발전에 기여한 기업과 유공자들에게 대통령 표창, 국무총리 표창, 산업부장관 표창 등 정부표창과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장 표창 등 총 38점의 표창을 수여했다.

 

대통령 표창의 영예는 다비치안경이 차지했다. 안경 프랜차이즈 1위인 다비치안경은 가격에 거품을 뺀 좋은 품질의 제품으로 안경 시장의 성장과 업계의 선진화를 이끌어 왔다. 또 2005년부터 업계 최초로 자체훈련기관으로 승인받은 다비치 안경 사관학교를 통해 안경 전문인력을 배출해 안경 산업의 역량 강화에 기여하고, 가맹점과의 상생과 사회공헌에도 꾸준히 노력해 왔다.

 

국무총리 표창은 컴포즈커피(㈜컴포즈커피·대표 김진성)와 아소비(㈜아소비교육·대표 박시연)이 수상했다. 컴포즈커피는 2200여 개 가맹점과의 상생협력과 뛰어난 역량으로 저가커피 시장을 선도하고 있고, 국내 5~9세 전문 교육 프랜차이즈 아소비는 인지발달과정에 맞는 맞춤형 대면 교육을 제공하는 2000여 개 가맹점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표창은 '우수 프랜차이즈 부문' ▲프랭크버거(대표 심우창) ▲에듀플렉스(대표 고승재), '혁신·성장 프랜차이즈 부문' ▲고수의운전면허(대표 정재헌) ▲불막열삼(대표 오몽석), <기술혁신 부문> ▲장부대장(대표 강병태), '우수가맹점' ▲박가부대 인천검단사거리역점(대표 장미경), '프랜차이즈산업발전 유공(개인)' ▲정용덕 ㈜세명에프엔에프 대표 등 총 7개 브랜드 및 가맹점이 수상했다.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표창은 '우수 프랜차이즈 부문' ▲생활맥주(대표 임상진) ▲피자마루(대표 이영존) 2개 브랜드가,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표창은 '우수 프랜차이즈 부문' ▲THE진국(대표 손석우)가 수상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장 표창은 '우수 프랜차이즈 부문' ▲채선당(대표 김익수) ▲카페봄봄(대표 이승은), <혁신·성장 프랜차이즈> 커피에반하다(대표 임은성) 등 3개 브랜드가 수상했다.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이사장상은 '기술혁신 부문"> ▲GOGOBOX(대표 구규대) ▲브이디로봇(대표 함판식) 등 2개 브랜드가 수상했다.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회장상은 '우수 프랜차이즈 부문' ▲텐퍼센트스페셜티커피(대표 김태경) ▲더벤티(대표 박수암 등 2인) ▲푸라닭(대표 장성식) 등 12개 브랜드와 '혁신·성장 프랜차이즈 부문' ▲청담동말자싸롱(대표 최성수) 등 4개 브랜드, '기술혁신 부문' ▲얌샘김밥(대표 김은광) 등 2개 브랜드, '우수가맹점 부문' ▲프랭크버거 인천작전점(대표 최윤희), '프랜차이즈산업발전 유공(기업)' ▲전통맛집할매순대국(대표 한근임) 등 총 20점이 수여됐다.

 

한편 협회는 시상식 후 2023년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송년회를 개최됐다. 송년회는 오승철 산업부 산업기반실장 등 정부 부처 관계자와 정현식 협회장 등 협회 회원사 및 업계 관계자 250여명이 참석해 수상자들을 축하하고 한 해를 함께 마무리하는 뜻 깊은 시간으로 진행됐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김종규 칼럼] 나는 국세청 공무원입니다
(조세금융신문=김종규 본지 논설고문 겸 대기자) 세금 매기고 받아들이는 일에만 죽자살자고 일념으로 직진하다 보니 자기보호는 정작 ‘플랜B’다.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단다. 그런데도 60년이 다 가도록 국세청은 그대로다. 자신을 먼저 감싸기에 인색한 원초적 태생 탓일까. 초대 이낙선 청장 때부터 숱한 혼란스러운 사건, 그리고 납세자의 따가운 시선과 질타가 뒤섞인 비아냥을 당한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그간 과세권인 법적 강제성의 힘을 통해서 과잉과세 남용이 판을 친 추계과세 행정의 질곡 상황이 그대로 풍미(風靡)해 온다. 아날로그 시대의 과세 관행이 씨앗이나 된 듯 빈번한 조사권 남발이 오작동을 일으킨다. 끝내, 그들 탓에 세무비리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전이되듯 번졌던 때도 바로 그때다. 사실 과잉징수행정이 남용되어온 가운데 권위적이고 권력형 과세권 행사가 그 한복판에 혼재되어온 경우도 그 당시에는 드문 일만은 아니다. 과세권자의 추상같은 재량권이 파죽지세로 창궐했던 그 인정과세 때다. 마치 밀도 있게 주도해온 관치 세수 행정의 벽이 너무 높다 보니 세법 조문은 뒷전이고 명문 규정보다는 조사현장의 소득 적출 비율에 더 관심이 컸던 것처럼 말이다. 언필칭, 세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