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 은행 창구 전경. [사진=연합뉴스]](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250627/art_17512464448653_c660d2.jpg)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국내 주요 은행들이 비대면 방식의 주택담보대출(주담대)과 신용대출 접수를 일제히 중단했다.
지난 27일 정부가 예고 없이 고강도 가계부채 대책을 발표하면서 전산 시스템을 정비할 시간이 부족해지자 은행들이 이같이 비대면 대출 셧다운(일시 중단)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이 지난 28일부터 모바일 앱과 인터넷뱅킹을 통한 가계대출 상품 접수를 중단했다. 인터넷은행인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도 각각 지난 28일과 27일부터 주담대 신청을 받지 않고 있다.
모든 은행권이 사실상 모든 비대면 대출 창구를 일제히 닫은 것은 매우 이례적인 상황인데 은행권 설명을 종합하면, 이는 전산 시스템에 새로운 규제를 반영하기 위한 일시적 조치다.
앞서 금융당국은 지난 27일 수도권 및 규제 지역 내 주택 구입 목적의 주담대 한도를 최대 6억원으로, 연소득의 1~2배까지 가능했던 신용대출 한도를 연 소득 이내로 제한하는 조치를 다음 날인 28일부터 실시한다고 밝혔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현재 일시 중단된 비대면 대출이 다시 시작되려면 최소 1주일 이상은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규정 위반 대출 취급을 막기 위한 전산 개발이 완료될 때까지 어느 정도 시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은행권 관계자는 “(당국 규제 발표를) 예상하지 못했다”며 “당국 쪽에선 현재 (비대면 대출이 일시 중단된) 상황을 빨리 복구하라고 하는데 발표된 규제를 전산에 반영해야 하는 만큼 곧바로 재개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비대면 창구는 막혔지만 30일부터 현장 은행 창구를 통한 대면 대출 접수는 가능하다.
다만 대면 대출은 비대면 대출보다 금리가 높아 지금과 같은 상황이 지속될 경우 소비자 불만이 높아질 것으로 관측된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