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22 (수)

  • 흐림동두천 1.2℃
  • 맑음강릉 3.4℃
  • 박무서울 3.4℃
  • 박무대전 -0.7℃
  • 연무대구 -3.0℃
  • 연무울산 2.3℃
  • 박무광주 -0.7℃
  • 맑음부산 4.9℃
  • 구름조금고창 -4.6℃
  • 구름조금제주 4.5℃
  • 구름많음강화 -1.3℃
  • 맑음보은 -4.1℃
  • 구름많음금산 -4.4℃
  • 구름조금강진군 -3.8℃
  • 맑음경주시 -4.5℃
  • 맑음거제 -0.4℃
기상청 제공

[이슈체크] 5대 은행 가계대출 8일만에 2.5조↑…돈은 부동산·증시로 몰려

블랙먼데이 하루만 마통 0.4조 급증…개인 요구불예금은 3.3조↓
"부동산·주식 기대수익률 높다면 금리 올려도 대출 못 잡아"

 

(조세금융신문=구재회 기자) 미국과 한국의 기준금리 인하가 임박했다는 시장의 기대가 커지면서, 더 높은 수익률을 좇아 은행에서 돈이 빠져나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달 들어 5대 은행에서만 대기성 자금인 요구불예금이 3조원 넘게 줄고, 반대로 가계대출은 2조5천억원 가까이 더 늘었다. 이렇게 마련된 돈은 주로 부동산과 주식 시장으로 몰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수시입출금식예금(MMDA)을 포함한 개인 요구불예금은 8일 현재 모두 358조9천219억원으로, 7월 말(362조1천979억원)과 비교해 불과 8일 사이 3조2천760억원 급감했다.

 

최근 빠진 예금 가운데 상당 부분이 증시로 흘러든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미국발 경기침체 공포 여파로 주식시장이 급락하면서 저가매수를 하려는 투자수요가 몰린 것으로 진단됐다.

 

실제로 지난 5일 코스피 지수가 8.77%나 떨어진 이른바 '블랙 먼데이' 당시 하루 만에 2조366억원(360조1천539억원→358조1천173억원)의 요구불예금이 한꺼번에 빠져나갔다.

 

가계대출 증가세도 쉽게 꺾이지 않고 있다. 증가 속도를 늦추기 위해 은행들이 아무리 잇따라 대출금리를 올려도, 부동산·주식 등 자산 투자 열기가 더 뜨겁기 때문이다.

 

8일 기준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718조2천130억원으로, 7월 말(715조7천383억원) 이후 8일간 2조4천747억원 더 불었다.

 

주택매매 회복과 함께 주택담보대출이 1조6천404억원 늘어난 데다, 신용대출까지 8천288억원 증가했다. 신용대출을 일반 신용대출과 마이너스통장(신용한도 대출)으로 나눠보면, 마이너스통장의 증가 폭(5천874억원)이 더 크다.

 

이렇게 불어난 신용대출도 마찬가지로 최근 폭락 장과 관계가 있다. 블랙 먼데이 당일 5대 은행의 신용대출(108조3천933억원)은 전월 말(102조6천68억원)보다 5조7천865억원이나 뛰었다.

 

특히 같은 날 4천31억원 늘어난 마이너스통장 잔액(39조6천666억원)은 8일 현재까지 비슷한 규모(39조6천678억원)를 유지하고 있다. 증시 변동성이 커지는 가운데 마이너스통장을 열어놓은 상태에서 다시 급락 등 투자 기회를 노리는 것으로 해석된다.

 

반대로 주식 시장 주변으로는 계속 돈이 흘러드는 추세다. 증시 대기 자금인 투자자 예탁금의 경우 블랙 먼데이 하루에만 5조6천197억원(53조8천679억원→59조4천876억원)이 증가했다. 이후 다소 줄었지만, 8일 현재(55조1천217억원) 여전히 7월 말(54조2천994억원)보다 8천223억원 많은 상태다.

 

개인투자자들은 대출 등으로 마련한 자금을 주로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ETF) 등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예를 들어 지난 5일 개인은 'KODEX 레버리지'와 'KODEX 코스닥150레버리지'를 각 4천382억원, 1천617억원어치나 순매수했다.

 

레버리지 ETF는 기초자산의 일 수익률의 2배를 추종하는 상품으로, 결국 개인 투자자들이 은행 등으로부터 빌린 돈으로 최대한의 레버리지(차입투자) 효과를 추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기준금리 인하가 채 시작되기도 전에 다시 부는 이런 '영끌', '빚투' 열풍은 최근 당국의 가계대출 관리 압박에 은행권의 대출 금리가 계속 오르는 사실을 고려하면 더 이례적이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9일 기준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코픽스 기준)는 연 4.290∼6.514% 수준으로, 약 1주일 전인 지난 2일(연 4.030∼6.548%)보다 하단이 0.260%p 올랐다.

 

지표 금리인 코픽스는 3.520%에서 변화가 없었지만, 은행들이 앞다퉈 가산금리 추가 등을 통해 대출 금리를 인위적으로 인상한 결과다.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 금리(은행채 5년물 기준·연 3.280∼5.290%) 하단 역시 같은 기간 0.250%p 뛰었다. 오름폭이 주요 지표인 은행채 5년물 금리(+0.020%p)의 12배를 웃도는 셈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집값이나 주식의 기대 수익률이 높다면 현재 연 4% 남짓 수준의 대출 금리는 대출자들에게 큰 제약이 되지 못하는 것 같다"며 "금리 인상에도 지금 추세대로 가계대출이 계속 빠르게 늘어나면 은행 입장에서는 대출 취급 제한, 한도 축소 등의 조치가 필요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다른 은행 관계자도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하가 시행되기 전부터 영끌과 빚투의 열풍이 되살아나는 분위기”라며 “최근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관리 압박에 은행권의 대출금리를 지속 올린 점을 고려하면 더욱 이례적인 상황”이라고 말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문가 코너

더보기



[시론] 정치와 세금: 세법개정안의 쟁점과 정치적 함의
(조세금융신문=안경봉 국민대 법대 교수) 2024년 세법 개정안은 경제 활성화와 조세 정의 사이에서 균형을 찾으려는 노력의 결과로, 이를 둘러싼 정치적 논쟁이 뜨거웠다. 지난 12월 10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2024년 세법개정안은 총 13개였는데, 그 중 부가가치세법, 조세특례제한법은 정부안이 수정 가결되고, 상속세 및 증여세법은 정부안이 부결되었다. 상속세 과세 체계 개편 및 가업승계 활성화가 핵심이었던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정부개정안은 부결된 반면, 금융투자소득세 폐지와 가상자산 과세 2년 유예의 쟁점이 있었던 소득세법 개정안은 원안대로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다. 또한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세제지원 확대, 주주환원 촉진세제 도입, 통합고용세액공제 지원방식 개편, 전자신고세액공제 축소 등의 쟁점을 가진 조세특례제한법은 삭제 혹은 현행 유지하는 것으로 국회 본회의에서 결론이 났다. 이번 논의의 중심에 섰던 세제 관련 사안들은 단순히 세제 개편 문제를 넘어 정치적 함의를 담고 있다. 왜 세법은 매번 정쟁의 중심에 서게 되는가? 이 질문은 정치와 세금의 복잡한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세법 개정 논의의 주요 쟁점 이번 정기국회에서 가장 논란이
[초대석] ‘세금과 삶’ 법률사무소 전정일 변호사…국세청 15년 경험 살려 납세자 권리 구제 큰 역할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지난 2022년 파주세무서장으로 활약하던 전정일 변호사는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통일되면 개성세무서장을 맡고 싶다”라는 힘찬 포부를 밝혔다. 언제 통일이 이뤄질지 누구도 모르지만, 통일 대한민국 개성에서 국세 공무원의 소임을 다하고 싶다는 소망을 전한 것이었다. 그로부터 약 2년 후 전정일 전 파주세무서장은 서울지방국세청 국제조사관리과장을 끝으로 국세청을 나와 지난 22대 총선에서 파주시(을) 예비후보로 정치에 입문했고, 이후 준비기간을 거쳐 ‘세금과 삶’ 법률사무소를 열었다. 국세청에서 송무 업무는 물론 변호사 출신 최초로 대기업 등 세무조사 현장 팀장과 조사과장까지 역임한 그가 이제는 납세자를 위한 불복 소송 대리, 세무조사 대응, 신고 대리 등 정반대의 역할을 맡게 됐다. 국세청에서 전도유망했던 그가 꿈을 위해 도전장을 던진 파주는 물론 수도권과 전국의 납세자들을 위한 최상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한다는 포부를 갖고 문을 연 법률사무소 ‘세금과 삶’에서 전정일 변호사를 만났다. Q. 지난 연말 ‘세금과 삶’ 법률사무소를 열고 조세 전문 변호사로 새로운 출발을 하셨습니다. 소감을 먼저 전해주시죠. A. 지면으로 인사드리게 되어 기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