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9 (목)

  • 구름많음서울 18.2℃
기상청 제공

[상세프로필]천홍욱(千泓昱) 제28대 관세청장

[천홍욱(千泓昱) 28대 관세청장]

 

생년본관 :1960/ 경북 문경

주요경력

행시 제27(1983)

관세청 통관국·자료관리관실·정보관리관실 사무관,

서기관 (19841996)

주일본 대한민국대사관 관세협력관 (19972000)

관세청 수출통관과장, 종합심사과장, 기획예산담당관, 혁신기획관,

인천세관 조사감시국장 (20002005)

국방대학교 안보과정 수료 (2006)

관세청 감사관, 통관지원국장, 기획조정관, 심사정책국장,

서울본부세관장 (200520134)

관세청 차장 (2013420153)

국종망연합회 회장 (2015320165)

관세청장 (2016523)

 

학 력

한국외국어대학교 행정학과 졸업 (1984)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졸업 (1986년 행정학석사)

Syracuse대학교 Maxwell School 졸업 (1992년 행정학석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무역학과 박사과정 졸업 (1912년 경영학박사)

서울 동성고 

  

저 서 : 일본 관세행정 4기본법 및 기본 통달(1909)

 

가족사항 : 부인 오현숙 외 2

 

주요 업적

경제활성화를 위한 관세행정 지원대책을 수립하여 수출입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

중소기업의 FTA 활용, 통관애로 해소 등 세정지원.

지하경제양성화를 위해 법령개정 등 제도를 정비하고 탈세행위를 중점단속하는 한편,

집행상 부작용 최소화 장치를 마련.

국민기업에 불편을 주는 모든 불합리한 관세행정을 점검하고 체계적 규제개혁 시스템을 마련.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시론] 이재명 vs 김문수, 조세정책의 길을 묻다
(조세금융신문=안경봉 국민대 명예교수, 법무법인 율촌 상임고문) 2025년 대선을 앞두고 조세정책은 단순한 세금의 많고 적음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의 철학과 재정의 지속 가능성을 가늠하는 척도가 되고 있다. 세금은 사회계약의 이행 수단이며, 공공서비스의 재원일 뿐 아니라 미래세대와의 약속이라는 점에서 각 후보의 조세 비전은 중요한 정책 선택의 기준이 된다. 이재명 후보는 ‘조세 정의’와 ‘보편 복지’를, 김문수 후보는 ‘감세와 시장 자율’을 중심 기조로 내세운다. 이처럼 상반된 철학이 세금 정책으로 어떻게 구체화되는지를 살펴보는 일은 유권자에게 실질적 판단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이재명 후보: 분배 정의와 조세 환류 이재명 후보는 국토보유세, 금융소득 통합과세, 디지털세, 탄소세 등 자산과 환경에 기반한 새로운 세목의 신설 또는 기존 세목의 강화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과세를 통해 형성된 세수를 ‘조세환급형 기본소득’ 형태로 전 국민에게 보편적으로 환급함으로써, 소득 재분배와 소비 진작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금융소득 통합과세는 기존의 분리과세 방식을 폐지하고 이자‧배당 등 금융소득을 종합소득에 포함시켜 누진세를 적용함으